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0,077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5년 11월 15일 (일) 17:30: James223 (토론 | 기여)님이 테러리스트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정의=
테러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신념 및 기타 목적달성을 목표로 한 집단.
==테러리스트의 범위==
테러리스트를 정의하는 기준은 정말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제국주의 및 식민지 시절을 겪은 오늘날에는 민족해방전선 쪽 집단이 가장 상대성을 지닌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령,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마스 제퍼슨과 보스턴 차 사건 당시 주동자들도 미국입장에서야 독립투사지만 영국 입장에서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도 서방세계에서는 테러집단이지만 팔레스타인 人들이나 무슬림들에게는 민족 및 이슬람 투사들이라 할 수 있다.
수법으로 보자면, 폭탄투척이나 저격 등 고전적인 수단부터 인터넷 크래킹 행위도 테러범주에 들어간다.
=활동분야=
==민족해방전선==
제국주의, 식민지, 민족주의가 팽배하던 시절에 탄생한 집단. 물론, 현재도 존재한다. 그리고 과거에도 존재했다.
==종교==
종교적 신념을 토대로 한 테러활동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현대에서는 냉전시절부터 존재했을 걸로 보고있다.
이 분야에 대표적 집단이 현재로서는 알 카에다나 PLO같은 <s>자칭</s>지하드 계열들이다.
==기타 정치적 신념==
주로 미국 및 유럽 등지에 존재했던 집단으로 무권위주의를 내세운 아나키스트들과 자본주의 체제에 반발한 공산주의 계열이 있다.
=실존했던 테러집단=
대륙별로 서술한다.
==유럽==
===공산주의 계열===
* 붉은 여단: 냉전시기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적색계열 테러집단. 2000년대 중반까지 존재했던 걸로 보이며 당시에도 그저 명맥을 잇는 수준에 그쳤다.
* 독일 적군파(RAF): 다른 말로 바더 마인호프 갱이라 하며 냉전이 끝난 후 거의 멸족되었다.
===민족해방전선===
* IRA: 아일랜드 독립군. 영국이 아일랜드의 독립을 허락해준 지금은 북아일랜드 독립군으로 따로 떨어져나왔다. 이들을 다룬 영화가 꽤 많기에 대중에게도 많이 알려진 집단.
* ETA: 스페인 바스크 지방을 중심으로한 바스크人들의 투쟁단체.
* EOKA: 터키가 키프로스를 두고 그리스와 마찰을 빚던 당시에 활동한 단체.
===기타 정치적 신념===
* OAS: 한국말로는 프랑스 육군 비밀결사대. 드 골정부가 알제리를 독립시켜준 것에 반발한 극우집단으로, 드 골 대통령 암살미수사건에도 개입되어있다.
==중동==
==아시아==
==아메리카==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177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James223'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7627324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테러리스트'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테러리스트'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정의= 테러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신념 및 기타 목적달성을 목표로 한 집단. ==테러리스트의 범위== 테러리스트를 정의하는 기준은 정말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제국주의 및 식민지 시절을 겪은 오늘날에는 민족해방전선 쪽 집단이 가장 상대성을 지닌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령,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마스 제퍼슨과 보스턴 차 사건 당시 주동자들도 미국입장에서야 독립투사지만 영국 입장에서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도 서방세계에서는 테러집단이지만 팔레스타인 人들이나 무슬림들에게는 민족 및 이슬람 투사들이라 할 수 있다. 수법으로 보자면, 폭탄투척이나 저격 등 고전적인 수단부터 인터넷 크래킹 행위도 테러범주에 들어간다. =활동분야= ==민족해방전선== 제국주의, 식민지, 민족주의가 팽배하던 시절에 탄생한 집단. 물론, 현재도 존재한다. 그리고 과거에도 존재했다. ==종교== 종교적 신념을 토대로 한 테러활동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현대에서는 냉전시절부터 존재했을 걸로 보고있다. 이 분야에 대표적 집단이 현재로서는 알 카에다나 PLO같은 <s>자칭</s>지하드 계열들이다. ==기타 정치적 신념== 주로 미국 및 유럽 등지에 존재했던 집단으로 무권위주의를 내세운 아나키스트들과 자본주의 체제에 반발한 공산주의 계열이 있다. =실존했던 테러집단= 대륙별로 서술한다. ==유럽== ===공산주의 계열=== * 붉은 여단: 냉전시기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적색계열 테러집단. 2000년대 중반까지 존재했던 걸로 보이며 당시에도 그저 명맥을 잇는 수준에 그쳤다. * 독일 적군파(RAF): 다른 말로 바더 마인호프 갱이라 하며 냉전이 끝난 후 거의 멸족되었다. ===민족해방전선=== * IRA: 아일랜드 독립군. 영국이 아일랜드의 독립을 허락해준 지금은 북아일랜드 독립군으로 따로 떨어져나왔다. 이들을 다룬 영화가 꽤 많기에 대중에게도 많이 알려진 집단. * ETA: 스페인 바스크 지방을 중심으로한 바스크人들의 투쟁단체. * EOKA: 터키가 키프로스를 두고 그리스와 마찰을 빚던 당시에 활동한 단체. ===기타 정치적 신념=== * OAS: 한국말로는 프랑스 육군 비밀결사대. 드 골정부가 알제리를 독립시켜준 것에 반발한 극우집단으로, 드 골 대통령 암살미수사건에도 개입되어있다. ==중동== ==아시아== ==아메리카=='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28 @@ - +=정의= +테러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신념 및 기타 목적달성을 목표로 한 집단. +==테러리스트의 범위== +테러리스트를 정의하는 기준은 정말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제국주의 및 식민지 시절을 겪은 오늘날에는 민족해방전선 쪽 집단이 가장 상대성을 지닌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령,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마스 제퍼슨과 보스턴 차 사건 당시 주동자들도 미국입장에서야 독립투사지만 영국 입장에서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도 서방세계에서는 테러집단이지만 팔레스타인 人들이나 무슬림들에게는 민족 및 이슬람 투사들이라 할 수 있다. +수법으로 보자면, 폭탄투척이나 저격 등 고전적인 수단부터 인터넷 크래킹 행위도 테러범주에 들어간다. +=활동분야= +==민족해방전선== +제국주의, 식민지, 민족주의가 팽배하던 시절에 탄생한 집단. 물론, 현재도 존재한다. 그리고 과거에도 존재했다. +==종교== +종교적 신념을 토대로 한 테러활동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현대에서는 냉전시절부터 존재했을 걸로 보고있다. +이 분야에 대표적 집단이 현재로서는 알 카에다나 PLO같은 <s>자칭</s>지하드 계열들이다. +==기타 정치적 신념== +주로 미국 및 유럽 등지에 존재했던 집단으로 무권위주의를 내세운 아나키스트들과 자본주의 체제에 반발한 공산주의 계열이 있다. +=실존했던 테러집단= +대륙별로 서술한다. +==유럽== +===공산주의 계열=== +* 붉은 여단: 냉전시기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적색계열 테러집단. 2000년대 중반까지 존재했던 걸로 보이며 당시에도 그저 명맥을 잇는 수준에 그쳤다. +* 독일 적군파(RAF): 다른 말로 바더 마인호프 갱이라 하며 냉전이 끝난 후 거의 멸족되었다. +===민족해방전선=== +* IRA: 아일랜드 독립군. 영국이 아일랜드의 독립을 허락해준 지금은 북아일랜드 독립군으로 따로 떨어져나왔다. 이들을 다룬 영화가 꽤 많기에 대중에게도 많이 알려진 집단. +* ETA: 스페인 바스크 지방을 중심으로한 바스크人들의 투쟁단체. +* EOKA: 터키가 키프로스를 두고 그리스와 마찰을 빚던 당시에 활동한 단체. +===기타 정치적 신념=== +* OAS: 한국말로는 프랑스 육군 비밀결사대. 드 골정부가 알제리를 독립시켜준 것에 반발한 극우집단으로, 드 골 대통령 암살미수사건에도 개입되어있다. +==중동== +==아시아== +==아메리카== '
새 문서 크기 (new_size)
2674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정의=', 1 => '테러행위를 통해 자신들의 신념 및 기타 목적달성을 목표로 한 집단. ', 2 => '==테러리스트의 범위==', 3 => '테러리스트를 정의하는 기준은 정말 상대적이라 할 수 있다. 제국주의 및 식민지 시절을 겪은 오늘날에는 민족해방전선 쪽 집단이 가장 상대성을 지닌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가령,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마스 제퍼슨과 보스턴 차 사건 당시 주동자들도 미국입장에서야 독립투사지만 영국 입장에서는...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도 서방세계에서는 테러집단이지만 팔레스타인 人들이나 무슬림들에게는 민족 및 이슬람 투사들이라 할 수 있다. ', 4 => '수법으로 보자면, 폭탄투척이나 저격 등 고전적인 수단부터 인터넷 크래킹 행위도 테러범주에 들어간다.', 5 => '=활동분야=', 6 => '==민족해방전선==', 7 => '제국주의, 식민지, 민족주의가 팽배하던 시절에 탄생한 집단. 물론, 현재도 존재한다. 그리고 과거에도 존재했다.', 8 => '==종교==', 9 => '종교적 신념을 토대로 한 테러활동이 언제부터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현대에서는 냉전시절부터 존재했을 걸로 보고있다. ', 10 => '이 분야에 대표적 집단이 현재로서는 알 카에다나 PLO같은 <s>자칭</s>지하드 계열들이다. ', 11 => '==기타 정치적 신념==', 12 => '주로 미국 및 유럽 등지에 존재했던 집단으로 무권위주의를 내세운 아나키스트들과 자본주의 체제에 반발한 공산주의 계열이 있다.', 13 => '=실존했던 테러집단=', 14 => '대륙별로 서술한다.', 15 => '==유럽==', 16 => '===공산주의 계열===', 17 => '* 붉은 여단: 냉전시기 이탈리아에서 활동했던 적색계열 테러집단. 2000년대 중반까지 존재했던 걸로 보이며 당시에도 그저 명맥을 잇는 수준에 그쳤다.', 18 => '* 독일 적군파(RAF): 다른 말로 바더 마인호프 갱이라 하며 냉전이 끝난 후 거의 멸족되었다.', 19 => '===민족해방전선===', 20 => '* IRA: 아일랜드 독립군. 영국이 아일랜드의 독립을 허락해준 지금은 북아일랜드 독립군으로 따로 떨어져나왔다. 이들을 다룬 영화가 꽤 많기에 대중에게도 많이 알려진 집단.', 21 => '* ETA: 스페인 바스크 지방을 중심으로한 바스크人들의 투쟁단체.', 22 => '* EOKA: 터키가 키프로스를 두고 그리스와 마찰을 빚던 당시에 활동한 단체. ', 23 => '===기타 정치적 신념===', 24 => '* OAS: 한국말로는 프랑스 육군 비밀결사대. 드 골정부가 알제리를 독립시켜준 것에 반발한 극우집단으로, 드 골 대통령 암살미수사건에도 개입되어있다.', 25 => '==중동==', 26 => '==아시아==', 27 => '==아메리카=='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47576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