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관제

(전력관제에서 넘어옴)
Dispatching Heisdorf.jpg

전력관제(電力管制, Grid control)는 전력망의 수급균형, 품질유지 등을 도맡는 업무로, 한국에서는 전력거래소가 담당하고 있다. 현대의 전력관제는 컴퓨터 기반의 EMS(전력관제시스템)을 활용하여 컴퓨터의 송전망 오류 도출에 따라 운전원이 대응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업무[편집 | 원본 편집]

  • 수급균형
    전력망의 공급-수요 균형을 맞추는 업무다. 전력망의 공급량이 수요에 관계없이 일정해지면 교류의 주파수가 불안정해지면서 전기의 품질이 크게 나빠진다. 이를 막기 위해 발전소의 가동을 조정하면서 수요와 공급을 어느 정도 일치시키는 업무다.
  • 송전망 안정
    송전망의 용량을 산출하여 안전도를 설정하고 송전망이 과부하에 빠지지 않도록 송전망을 조정하는 업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로 대표되는 분산형 전원이 대거 설치되면서 이를 적절히 송전망에 흘려주는 것이 주요 과제가 되었다.
  • 계통보호
    예기치 못한 사고로 수요지역과 공급지역이 격리되거나 급격한 부하 불균형이 발생하면 송전망 우회, 유휴 발전기 투입, 순환정전 등으로 추가 피해를 억제하는 업무다. 특히 대규모 발전지역이 격리되면 과공급으로 순간적으로 주파수가 튀어오르고, 잉여전력이 역류하여 발전기로 들어가면 모터처럼 고속회전하면서 연결된 터빈 등의 발전시설이 파손될 수 있는 데, 발전소 자체를 송전망에서 격리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 전력시장 운영
    전력사업의 시장경제 도입으로 발전-송전 사업자 사이에서 거래 관련 업무를 겸하게 되었다.

신뢰도[편집 | 원본 편집]

EMS가 마비되면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므로, 전력관제센터(급전소)는 시스템을 2중으로 갖추고 센터도 최소 2개소 이상을 설치해 센터 한곳의 장애가 전력망으로 파급되는 일을 억제하고자 노력한다.

전력관제시스템의 신뢰도가 떨어지면 송전망의 불안정성을 즉시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대처능력이 떨어지며, 이는 2003년 미국 북동부 대규모 정전이나 2011년 대한민국 순환정전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국은 본토 전력관제센터를 3곳(본사, 중부지사, 경인지사), 제주도 전력관제센터를 1곳(제주) 두고 있으며, 2012년 국산최초개발 EMS를 운영에 투입하면서 신뢰도를 보강하기 위해 3번째 본토 전력관제센터를 개소했다. 기본적으로 전력거래소 본사가 주 센터, 중부지사가 제1 예비센터로 운영되며 경인지사가 제2 예비센터다. 경인지사는 개소 당시 감사원의 지적으로 전력관제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으나[1], 중부지사가 2017년 폭우로 침수되면서 어쩔 수 없이 경인지사의 예비센터 기능을 살리게 되었다[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