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dic Number: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다음 편집자를 위해 출처를 기재해 주세요.)
잔글 (→‎소개)
3번째 줄: 3번째 줄:
== 소개 ==
== 소개 ==
보통 실수는 0.12341289473248...같이 소숫점 아래로 이어지지 ...4859285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는 수가 있을까?? ''p''가 소수고 ''p''진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 가능하다!! ''p''가 소수여야 하는 이유는 소수가 아니라면 ''0''이 아닌 어떤 숫자가 역원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보통 실수는 0.12341289473248...같이 소숫점 아래로 이어지지 ...4859285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는 수가 있을까?? ''p''가 소수고 ''p''진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 가능하다!! ''p''가 소수여야 하는 이유는 소수가 아니라면 ''0''이 아닌 어떤 숫자가 역원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처음보면 생소할 수 있는 이 수체계는 정수론에서 아주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쓸모있는 수체계이다.


==간단 definition==
==간단 definition==

2015년 4월 29일 (수) 11:06 판

틀:학술 관련 정보

소개

보통 실수는 0.12341289473248...같이 소숫점 아래로 이어지지 ...4859285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렇게 왼쪽으로 나아가는 수가 있을까?? p가 소수고 p진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 가능하다!! p가 소수여야 하는 이유는 소수가 아니라면 0이 아닌 어떤 숫자가 역원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처음보면 생소할 수 있는 이 수체계는 정수론에서 아주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쓸모있는 수체계이다.

간단 definition

우리는 실수를 정의할 때 유리수에서 점을 하나씩 채운다. 그리고 그 채우는 방법은 Cauchy sequence를 이용하거나, least upper bound property를 이용하던가. least upper property는 ordered field에서만 얘기할 수 있으므로 Cauchy sequence를 이용하자.

[math]\displaystyle{ \Bbb{Q} }[/math]에 norm이란 것을 준다. norm은 k가 field일 때

  • [math]\displaystyle{ \|\cdot\|:k \to \Bbb{R}^{+}\cup \{0\}=\{x:x\ge 0\} }[/math]인 함수
  • 모든 [math]\displaystyle{ x,y\in k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xy|=|x||y| }[/math]
  • 모든 [math]\displaystyle{ x,y,z\in k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x+y|\le |x|+|y| }[/math]

를 만족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k 안의 sequence [math]\displaystyle{ \{x_n\} }[/math]가 Cauchy sequence라는 것을

  • 모든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서 적당한 N이 있어서 [math]\displaystyle{ \|x_m-x_n\|\lt \varepsilon }[/math] for all [math]\displaystyle{ m,n\ge N }[/math]

을 만족하는 sequence를 말한다고 하자. 그리고 두 Cauchy sequence [math]\displaystyle{ \{x_n\},\{y_n\} }[/math]이 서로 equivalent하다는 것을

  • 모든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서 적당한 N이 있어서 [math]\displaystyle{ \|x_n-y_n\|\lt \varepsilon }[/math] for all [math]\displaystyle{ n\ge N }[/math]

이라는 것이다. 이는 좀 더 강력해 보이는 조건

  • 모든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서 적당한 N이 있어서 [math]\displaystyle{ \|x_m-y_n\|\lt \varepsilon }[/math] for all [math]\displaystyle{ m,n\ge N }[/math]

하고 동치인데, converse는 자명하고 나머지는

[math]\displaystyle{ |x_m-x_n|\lt \frac{\varepsilon}{2},|x_n-y_n|\lt \frac{\varepsilon}{2} }[/math]

이 되도록 하는 자연수들을 각각 [math]\displaystyle{ N_1,N_2 }[/math]라고 하고 [math]\displaystyle{ \max\{N_1,N_2\} }[/math]를 생각하자.

우리는 [math]\displaystyle{ \Bbb{Q} }[/math]로 돌아오자. 어떤 숫자가 p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자릿수가 어떻게 되는지 표현할 수 있을까?? 대충

[math]\displaystyle{ x=a_np^n+a_{n-1}p^{n-1}+\cdots+a_ip^i }[/math]

이라고 어떤 자연수를 p진법으로 표현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displaystyle{ |x|_p=p^{-i} }[/math]

라고 정의하자. 이는 어디에서 자릿수가 끝나는지 알려주는 표식 역할을 한다. 그리고 더 일반적으로 [math]\displaystyle{ x=p^i\frac{a}{b} }[/math]꼴이고 [math]\displaystyle{ a,b }[/math]모두 p하고 서로소라고 하자. 그렇다면

[math]\displaystyle{ |x|_p=p^{-i} }[/math]

라고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는 norm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 그리고 더 강력한

[math]\displaystyle{ |x+y|_p\le \max\{|x|_p,|y|_p\} }[/math]

도 만족한다. 그리고 우리는 실수를 정의하듯이 이렇게 정의하자.

[math]\displaystyle{ \Bbb{Q}_p=\{\{x_n\}|x_n \text{ is Cauchy sequence on }\Bbb{Q}\text{ with respect to norm }\|\cdot\|_p\}/\sim }[/math]

라고 하자. 여기에서 ~는 위에서 정의한 Cauchy sequence의 equivalent다. 그렇다면 이것은 잘 정의된 field가 된다. 이것의 원소를 p-adic number라고 하자. 그리고

[math]\displaystyle{ \Bbb{Z}_p=\{x\in \Bbb{Q}_p||x|_p\le 1\} }[/math]

이라고 정의하자. 이것의 원소를 p-adic integer라고 하자.

다른 definition

이렇게 정의할 수도 있다. n이 자연수라면

[math]\displaystyle{ \Bbb{Z}/p^{n+1}\Bbb{Z}\longrightarrow \Bbb{Z}/p^n\Bbb{Z} }[/math]

[math]\displaystyle{ x+p^{n+1}\Bbb{Z}\longmapsto x+p^n\Bbb{Z} }[/math]

로 정의하자. 이는 natural projection인데, 이는 자연스럽게 surjective homomorphism이 되고,

[math]\displaystyle{ \Bbb{Z}_p=\varprojlim \Bbb{Z}/p^n\Bbb{Z} }[/math]

라고 정의하자. 이것은 integral domain이 된다. 그리고 [math]\displaystyle{ \Bbb{Q}_p }[/math]는 이것의 field of quotient라고 정의하자. 이것은 대수학에서 더욱 많이 쓰는 정의다.

정수론에서 쓰임

정수론에서 볼 때 p-adic number는 소수 p에 대한 정보를 요란한 방법으로 알려주는 숫자다. 이것을 쓰는 결정적 이유는 이것에 topology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Hensel's lemma는 이것에 대해서 아는 것은 mod p로 어떤 정수를 나눴을 때 나머지를 아는 것과 같음을 알려주고, p-adic numbers 위엔 topology. 특히 적분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정의되는 적분은 보통 실수에서 정의되는 적분보다 계산도 쉽다. 이는 topology가 특이해서 그런데, topology가 실수 위의 topology보다 단순하다. 그리고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로 대표되는 초등정수론에서 local property와 global property의 연결은 p-adic numbers에선 adéle이라는 것으로 만들어진다. 보통 쓰던 도구가 가지고 있는 것을 그대로 쓸 수 있고, topology라는 도구가 하나 더 추가되었으니 안 쓸 수가 없다.

또 하나의 이유는 뒤에 있는데, field extension 때문이다.

field extension

p-adic number의 field extension은 적어도 [math]\displaystyle{ \Bbb{Q} }[/math]의 field extension보다는 훨씬 단순하지만 [math]\displaystyle{ \Bbb{R} }[/math]보단 복잡하다. [math]\displaystyle{ \Bbb{R} }[/math]의 field extension은 정말로 단순해서 algebraic closure가 degree 2 extension인 [math]\displaystyle{ \Bbb{C} }[/math]이고, 이것은 complete이기까지 하지만, 똑같은 completion인 [math]\displaystyle{ \Bbb{Q}_p }[/math]는 infinite algebraic extension이 있고, 그 algebraic closure는 complete가 아니다. 그리고 그걸 또 completion하면 다행히 algebraically closed field라는 성질은 유지되는데, locally compact가 아니라서 적분을 정의 못 한다는... 또 하나의 시련에 시달린다. 이 field를 [math]\displaystyle{ \Bbb{C}_p }[/math]라고 자주 쓰는데, 신기한 성질은 이것은 [math]\displaystyle{ \Bbb{C} }[/math]하고 field isomorphic하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다르게 completion했고 다른 길을 걸었지만 사실 복소수들의 집합과 [math]\displaystyle{ \Bbb{C}_p }[/math]는 완전히 같은 집합에 완전히 같은 field structure를 주고서 topology만 다르게 준 것이다. 그러니까 [math]\displaystyle{ \Bbb{C}_p }[/math]는 topology만 빼면 그냥 복소수 집합이다.

사실 field extension이 이렇게 복잡한 것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math]\displaystyle{ \Bbb{R} }[/math]의 field extension뿐만 아니라 finite field의 field extension보다도 복잡하다. 그 적당히 복잡하다는 성질로 [math]\displaystyle{ \Bbb{Q} }[/math]의 field extension의 성질을 더욱 더 많이 뽑을 수 있어서. [math]\displaystyle{ \Bbb{R} }[/math]처럼 단순했다면 수학자들 입장에선 너무 쉬울지 몰라도 그걸로 [math]\displaystyle{ \Bbb{Q} }[/math]에 대한 정보도 알아낼 수 없었을 것이다.

사실 [math]\displaystyle{ \Bbb{R} }[/math]의 field extension이 이렇게나 단순한 이유는 ordered field라는 성질 때문인데, [math]\displaystyle{ \Bbb{Q}_p }[/math]의 field extension이 복잡한 건 당연한 걸지도 모르겠다. Ramification theory를 보면 [math]\displaystyle{ \Bbb{Q}_p }[/math]의 field extension은 당연히 복잡해야 한다. 안 그러면 [math]\displaystyle{ \Bbb{Q} }[/math]의 field extension부터 엄청 단순했을 것이다.

Ostrowski theorem

Norm으로 만드는 [math]\displaystyle{ \Bbb{Q} }[/math]의 completion은 딱 두 가지라는 얘기다. [math]\displaystyle{ \Bbb{R} }[/math]하고 [math]\displaystyle{ \Bbb{Q}_p }[/math]. 증명 추가바람

레퍼런스

  • 독자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