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s Army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시리즈 정보
{{게임 시리즈 정보
|시리즈이름 = 아메리카스 아미
| 제목          = 아메리카스 아미
|원어이름  = America's Army
| 원제목        = America's Army
|배경색    =  
| 이미지        =  
|글자색    =  
| 설명          =  
|그림      =  
|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FPS]]
|그림설명  =
| 개발사       = [[미국 육군]]
|개발사     = [[미국 육군]]
| 발행사        = [[미국 육군]]
|배급사    = [[미국 육군]]
| 배급사        = [[미국 육군]]
|핵심인물  =  
| 플랫폼        = [[MS 윈도우즈]]<br>[[리눅스]]/[[Mac OS X]]
|장르      = [[1인칭 슈팅 게임|FPS]]
| 디자이너      =
|첫 게임   = 아메리카스 아미
| 첫 번째 게임   = 아메리카스 아미
|첫 출시일  =  
| 첫 번째 발매일 =  
|최신 게임 = 아메리카스 아미: 프로빙 그라운즈
| 최근 게임     = 아메리카스 아미: 프로빙 그라운즈
|최신 출시일=  
| 최근 발매일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비고      =  
}}
}}
《'''아메리카스 아미'''》(America's Army)는 [[미국 육군]]에서 군 홍보 목적 및 입대 유도용으로 개발한 비디오 게임이다.
《'''아메리카 아미'''》(America's Army)는 [[미국 육군]]에서 군 홍보 목적 및 입대 유도용으로 개발한 비디오 게임이다.


이 게임은 미군의 캐시 워딘스키 대령이 처음 생각한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아이디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미국 육군 경제 및 병력 분석부에서 제작을 추진하였다. 2002년 7월 4일에 Recon이라는 부재를 가진 PC 버전 1.0의 발매 이후 26여 개의 버전이 추가로 발매되었으며, PC 버전뿐만 아니라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 모바일 게임 그리고 만화의 형태로까지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미군의 캐시 워딘스키 대령이 처음 생각한 것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아이디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의 미국 육군 경제 및 병력 분석부에서 제작을 추진하였다. 2002년 7월 4일에 Recon이라는 부재를 가진 PC 버전 1.0의 발매 이후 26여 개의 버전이 추가로 발매되었으며, PC 버전뿐만 아니라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 모바일 게임 그리고 만화의 형태로까지 발매되었다.


== PC 게임 시리즈의 전체적인 특징 ==
= PC 게임 시리즈의 전체적인 특징 =
미 육군에서 제작된 홍보용 게임이며, 높은 수준의 고증과 리얼리티가 큰 장점이다. 거기다 모든것이 무료이며 과금적 요소가 없다. 게임 내에서도 스토리가 있으며, 외교적 및 정치적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작중에선 미국을 제외한 국가는 전부 다 가상의 국가로 설정하였다. 게임 속 무대는 Ostregal 이라는 가상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플레이 하는 캐릭터의 모습이 독특한데 자신의 모습과 화기는 미군의 것이지만 적군의 시점에서는 자신의 모습과 화기는 전부 다 적성군의 모습으로 보인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적군의 입장에선 자신의 모습과 화기는 미군의 것이지만 자신의 시점에서는 적군의 모습과 화기는 전부 다 적성군의 모습으로 보인다. 물론 관전 중에는 예외이다.
미 육군에서 제작된 홍보용 게임이며, 높은 수준의 고증과 리얼리티가 큰 장점이다. 거기다 모든것이 무료이며 과금적 요소가 없다. 게임 내에서도 스토리가 있으며, 외교적 및 정치적 문제를 피하기 위해 미국을 제외한 국가는 전부 다 가상의 국가이다. 게임 속 무대는 Ostregal 이라는 가상의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플레이 하는 캐릭터의 모습도 독특한데 자신의 모습과 화기는 미군의 것이지만 적군의 시점에서는 자신의 모습과 화기는 전부 다 적성군의 모습으로 보인다.


== America's Army 2 버전 ==
= America's Army 2 버전 =
현재 가장 고평가를 받는 America's Army 시리즈이다. 조회수가 많은 America's Army 2 플레이 영상에서 보면 이때의 게임을 그리워하고 있는 코멘트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현재 America's Army 3의 출시 이후가 되자 공식적인 서버 업데이트를 중단하였으며, AAO25 같은 사설 서버 정도만 프리서버 비슷하게 운영 중이다.
현재 가장 고평가를 받는 America's Army 시리즈이다. 조회수가 많은 America's Army 2 플레이 영상에서 보면 이때의 게임을 그리워하고 있는 코멘트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현재 America's Army 3의 출시 이후가 되자 공식적인 서버 업데이트를 중단하였으며, AAO25 같은 사설 서버 정도만 프리서버 비슷하게 운영 중이다.


=== 등장 화기 및 장비 ===
== 등장하는 화기 및 장비 ==
2002~2003년도 쯤의 장비와 피복을 사용한다. M4A1 SOPMOD나 AKS-74UB 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총기 악세사리의 다양성과 설정이 거의 없다시피하지만 M4A1 SOPMOD 한정으론 America's Army 역사상 가장 많은 총기 부착물 설정이 가능하다.
2004~5 년도 쯤의 장비를 사용한다. M4A1 SOPMOD나 AK-74UB 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총기 악세사리의 다양성과 설정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등장 장비 ===
=== 미군의 등장 화기 ===
 
M9 Bettetta:
==== 미군의 등장 장비 ====
 
{| class="wikitable"
| 이름 || M9 Beretta
|-
| 종류 || 권총
|-
| 사용 탄종 || 9x19mm
|-
| 급탄방식 || 15발들이 탄창 (+1)
|-
| 발사 방식 ||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
| 특이사항 || 플레이어가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권총ㅐ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Makarov PM
|}
 
M9 Beretta: 미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권총이다. 이 권총은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권총이다. 적성군의 권총인 Makarov PM이 있긴 하지만 플레이어가 노획을 할 수 없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4A1 SOPMOD
|-
| 종류 || 단축형 돌격소총
|-
| 사용 탄종 || 5.56x45mm
|-
| 급탄방식 || 30발들이 STANAG 탄창 (+1)
|-
| 발사 방식 || 반자동, 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가능
|-
| 개조 가능 부착물 || ACOG 3x, ACOG Reflex, M68 CCO, M203A1, Harris bipod, M4QD Suppressor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총열덮개, 일반 총열
|-
| 특이사항 || 유일하게 플레이어가 직접 총기 부착물을 설정 가능, 멀티플레이에서 총기 위장도색이 맵에 따라 설정됨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AKS-74U, AKS-74UB
|}
 
M4A SOPMOD: America's Army 시리즈 중에서 플레이어가 가장 다양한 종류의 부착물들을 설정할 수 있는 총기이다. 특수전 사양이다보니까 조준경은 물론이고 소음기까지 사용 가능하며 맵에 따라서 총기에 위장도색이 자동 적용된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16A2
|-
| 종류 || 돌격소총
|-
| 사용 탄종 || 5.56x45mm
|-
| 급탄방식 || 30발들이 STANAG 탄창 (+1)
|-
| 발사 방식 || 반자동, 3점사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M203 (유탄수 보직의 경우에만 부착)
|-
| 특이사항 || 게임 상에서 나온 유일한 3점사 소총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AK-47(M203미부착 버전의 경우), AK-103(M203 부착 버전의 경우)
|}
 
M16A2: 3점사가 되는 돌격소총이다. 여러 가지 부착물을 적용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유탄수 보직으로 플레이 하는 것을 제외하면 사용률이 높지는 않다. 다만 M16A2 특유의 긴 총열 덕분에 점 표적 사격시의 유효사거리가 50미터 더 길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249
|-
| 종류 || 경기관총
|-
| 사용 탄종 || 5.56x45mm
|-
| 급탄방식 || 100발들이 탄띠 박스
|-
| 발사 방식 || 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양각대 (일부 버전에서는 없을 수도 있음)
|-
| 특이사항 ||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병화기 중 가장 많은 장탄수를 보유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RPK
|}
 
M249 SAW: 게임 내에서 가장 많은 장탄수를 보유하였다. 그래서 중요 지점에서 적을 제압사격하기에 알맞지만 급탄 방식이 탄띠 방식이라서 장전 속도가 길고 적의 표적이 될 위험이 매우 크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K.12 mod 0 SPR (Special Purpose Rifle)
|-
| 종류 || 지정사수 소총, 저격소총
|-
| 사용 탄종 || 5.56x45mm
|-
| 급탄방식 || 20발들이 STANAG 탄창 (+1)
|-
| 발사 방식 ||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Harris bipod, Leupold Mark 4 scope
|-
| 특이사항 || M4A1 SOPMOD를 제외하면 유일하게 소음기 적용이 가능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VSS Vintorez
|}
 
Mk.12 mod 0 SPR: 저격소총, 지정사수 소총 중에서 유일하게 소음기 적용이 가능하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24 Sniper Weapon System
|-
| 종류 || 볼트액션 저격소총
|-
| 사용 탄종 || 7.62x51mm
|-
| 급탄방식 || 5발 내부탄창
|-
| 발사 방식 || 볼트액션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Harris bipod, Scope (이름 불명)
|-
| 특이사항 || 게임 내에서 미군측 무장 중에 가장 정확도가 좋은 보병화기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Mosin Nagant M91/30
|}
 
M-24 Sniper Weapon System: 볼트액션 방식의 저격소총이다. 급탄방식이 M24A3 같이 박스 탄창식이 아니라 내부탄창식이라서 장전이 조금 오래걸릴 수 있다. 하지만 볼트액션 방식을 사용하기때문에 게임 내에서 정확도가 가장 좋은 저격소총인데 Barrett M82A1은 표적지에 정확히 조준했지만 가끔씩 살짝살짝 빗나가는 일이 있지만 M24 Sniper Weapon System은 빗나가는 일이 거의 없다.
 
{| class="wikitable"
| 이름 || Barrett M82A1
|-
| 종류 || 반자동 저격소총
|-
| 사용 탄종 || .50 BMG (12.7x99mm)
|-
| 급탄방식 || 10발들이 박스탄창
|-
| 발사 방식 ||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Bipod (이름 불명), Scope (이름 불명)
|-
| 특이사항 ||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군측 보병화기 중 가장 높은 데미지를 보유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FPK / PSL Sniper Rifle
|}
 
Barrett M82A1: 게임 내에서 가장 위력이 높은 저격소총이다. 발끝같은 부위를 제외하면 대체로 1방에 적을 사살 가능하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203
|-
| 종류 || 언더바렐 유탄발사기
|-
| 사용 탄종 || 40x46mm 유탄
|-
| 장탄수 || 1발
|-
| 적용 가능 총기류 || M16A2
|-
| 특이사항 || 없음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GP-30
|}
 
M203: M16A2 소총에 언더바렐형으로 부착이 가능한 유탄발사기이다. 사용률이 낮은 M16A2를 사용하게 만드는 주 이유중 하나이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203A1
|-
| 종류 || 언더바렐 유탄발사기
|-
| 사용 탄종 || 40x46mm 유탄
|-
| 장탄수 || 1발
|-
| 적용 가능 총기류 || M4A1 SOPMOD
|-
| 특이사항 || 없음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GSN-19
|}
 
M203A1: M4A1 SOPMOD 카빈에서 사용이 가능한 언더바렐형 유탄발사기이다. M203을 숏배럴로 만든 물건이다. 성능에 대한 고증을 해줬을 경우 사거리가 M203보다 부족하게 될것으로 예상된다.
 
{| class="wikitable"
| 이름 || M67
|-
| 종류 || 수류탄
|-
| 사용 작약 || 컴포지션 B
|-
| 사용 방식 || 투척
|-
| 특이사항 || 없음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RGD-5
|}
 
M67: 지연신관식 기폭 방법을 적용한 파편식 수류탄이다. 위력과 유효 범위가 매우 좋지만 사용률은 훨씬 더 정확하고 사거리가 긴 유탄에 밀린다.
 
==== 적성군의 장비 ====
 
{| class="wikitable"
| 이름 || Makarov PM
|-
| 종류 || 권총
|-
| 사용 탄종 || 9x18mm
|-
| 급탄방식 || 8발 들이 탄창
|-
| 발사 방식 ||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
| 특이사항 || 플레이어는 이 권총을 노획할 수가 없다.
|-
| 이와 대응되는 미군의 화기 체계 || M9 Beretta
|}
 
Makarov PM: 미군의 베레타 권총에 대응되는 적성군의 권총이다. 오직 3인칭 모델로만 볼 수 있으며 사용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노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class="wikitable"
| 이름 || AKS-74 U, AKS-74 UB
|-
| 종류 || 단축형 돌격소총
|-
| 사용 탄종 || 5.45x39mm
|-
| 급탄방식 || 30발들이 탄창 (+1)
|-
| 발사 방식 || 반자동, 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가능
|-
| 개조 가능 부착물 || PSO-1, Kobra sight, GSN-19, bipod, BS-1 Suppressor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총열덮개(?), 일반 총열
|-
| 특이사항 || 적성군 화기중에 가장 다양한 부착물을 보유
|-
| 이와 대응되는 미군의 화기 체계 || M4A1 SOPMOD
|}
 
AKS-74U, AKS-74UB: 여러 부착물들을 지원하는 적성군의 화기이다. 미군의 M4A1 SOPMOD 보다 유효사거리가 짧다.
 
{| class="wikitable"
| 이름 || AK-47
|-
| 종류 || 돌격소총
|-
| 사용 탄종 || 7.62x39
|-
| 급탄방식 || 30발들이 탄창
|-
| 발사 방식 || 자동,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
| 특이사항 || 3점사, 단발만 지원되는 M16A2와는 달리 이 총은 자동사격이 지원된다.
|-
| 이와 대응되는 적성군의 화기 체계 || M16A2 (M203 비무착 버전)
|}
 
AK-47: M16A2와는 달리 자동사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력이 뛰어나서 플레이어들이 종종 애용한다. 다만 300M를 벗어나면 교전이 매우 어려워서 근거리에서만 사용해야한다.
 
{| class="wikitable"
| 이름 ||
|-
| 종류 || 경기관총
|-
| 사용 탄종 || 7.62x39
|-
| 급탄방식 || 75발들이 드럼탄창
|-
| 발사 방식 || 자동, 반자동
|-
| 개조 가능 여부 || 불가능
|-
| 기본 적용 부착물 || 기계식 조준기, 양각대
|-
| 특이사항 || 장탄수가 M249보다 25발 적지만 근거리 화력은 M249보다 좋다.
|-
| 이와 대응되는 미군의 화기 체계 || M249
|}
 
| class="wikitable"
| 종류 ||
|-
| 사용 탄종 ||
|-
| 급탄방식 ||
|-
| 발사 방식 ||
|-
| 개조 가능 여부 ||
|-
| 기본 적용 부착물 ||
|-
| 특이사항 ||
|-
| 이와 대응되는 미군의 화기 체계 ||
|}


{{각주}}
{{각주}}
[[분류:FPS]]
[[분류:FPS]]
[[분류:전쟁 게임]]
[[분류:미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