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진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0번째 줄: 30번째 줄:
조선시대 [[제주 3성 9진]]의 하나로 당시 제주도의 관문이었던 화북포구를 방어하고 관리위해 건설된 [[진성]]으로 1678년 지방관인 최관에 의해 축성된 성곽유적이다. 당시 화북진은 동편의 조천진과 함께 제주목에서 직접 관리하던 육지와의 교통로였기에 제주도 입장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관문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제주 3성 9진]]의 하나로 당시 제주도의 관문이었던 화북포구를 방어하고 관리위해 건설된 [[진성]]으로 1678년 지방관인 최관에 의해 축성된 성곽유적이다. 당시 화북진은 동편의 조천진과 함께 제주목에서 직접 관리하던 육지와의 교통로였기에 제주도 입장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관문이라 할 수 있다.


본래 화북포구는 수군 기지였던 화북수전소만이 설치되어 있었고 판옥선이 중부, 좌부, 우부 각 1척이 있었고 격군 180명, 포를 쏘는 사수 87명이 있었으나 바닥의 바윗돌이 날카롭고 태풍이 잦아 판옥선 운용이 쉽지 않았었다고 한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성의 규모는 606척(약 184m), 높이 10척(약 3m)로 동문과 서문의 2개 문이 있었으며 진 내부에는 진사, 공수, 사령방, 마방, 무기고 등이 있었다. 숙종 25년인 1699년에는 제주목사 남지훈이 객사인 환붕정을 지었고, 이후 헌종대에는 북쪽 성벽쪽에 망양정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어 성벽 일부만 남아있다.


1555년인 명종 10년 왜구의 침입으로 화북수전소가 함락당하고 이곳으로 상륙한 왜구가 [[제주읍성]]을 사흘간 포위하기도 하였다. 결국 이후 수전소를 방어할 성을 쌓게 되었는데 기록에 의하면 당시 성의 규모는 606척(약 184m), 높이 10척(약 3m)로 동문과 서문의 2개 문이 있었으며 진 내부에는 진사, 공수, 사령방, 마방, 무기고 등이 있었다. 숙종 25년인 1699년에는 제주목사 남지훈이 객사인 환붕정을 지었고, 이후 헌종대에는 북쪽 성벽쪽에 망양정이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어 성벽 일부만 남아있다.
화북진이 기능하던 당시에는 조방장 1인 치총 2인 방군 92인이 배치되었으며 병선으로는 사후선 1척을 배치하고 있었다.
 
이후 화북진성이 기능하던 당시에는 조방장 1인 치총 2인 방군 92인이 배치되었으며 병선으로는 사후선 1척을 배치하고 있었다.


==기타==
==기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