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홍주읍성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건축물 정보
{{문화재
|건물이름 = 홍성 홍주읍성
|명칭 = 홍성 홍주읍성(홍주성)
|원어이름 =  
|한자 = 洪州邑城
|그림     = [[파일:홍주성.jpg|150px]]
|그림 = 홍주성.jpg
|그림설명 = 홍주읍성의 남문인 홍화문
|그림설명 = 홍주성 남문 홍화문
|종류    =
|종목 = [[사적]] 제231호
|주소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7, 108, 161, 412번지 등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소유    =
|수량 =  
|착공일  =
|면적 = 109,542㎡
|개장일  =
|날짜 = {{날짜/출력|1972-10-14}}
|철거일  =
|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7, 108, 161, 412번지 등
|건축    =
|시대 = 삼국시대
|설계    =
|소유 =
|건설    =
|관리 = 홍성군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대지면적 = 109,542 m<sup>2</sup>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사적]] 제231호
|지정일  = [[1972년]] [[10월 14일]]
|해제일  =  
}}
}}
}}
==개요==
==개요==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홍주는 과거 홍성군의 옛 이름{{ㅈ|홍성군이라는 이름은 홍주와 결성을 합친 이름이다}}이다. 성둘레 약 1,772m의 성벽이 있었으나 현재는 절반 정도 구간만 복원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간은 소실되어 있다.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홍주는 과거 홍성군의 옛 이름{{ㅈ|홍성군이라는 이름은 홍주와 결성을 합친 이름이다}}이다. 성둘레 약 1,772m의 성벽이 있었으나 현재는 절반정도 구간만 복원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간은 소실되어 있다.


성의 건축연대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길게는 삼국시대부터 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 백월산 중턱 해풍현이 현재 위치로 옮겨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때부터 성을 제대로 축조한 것으로 추측되며 당시 규모는 둘레 약 1300여척의 토성과 400여개의 성첩(여장)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격적으로 현재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은 조선 초기 무렵으로 세종 당시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하였을 때로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4,856척(약 1.5㎞), 높이는 11척(약 3.3m)이며 문은 4개가 있었고, 여장·적대 등의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안에는 우물 2개가 있었다고 한다.
성의 건축연대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길게는 삼국시대부터 성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 백월산 중턱{{ㅈ|홍성읍 서쪽에 위치한 산}} 해풍현이 현재 위치로 옮겨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때부터 성을 제대로 축조한 것으로 추측되며 당시 규모는 둘레 약 1300여척의 토성과 400여개의 성첩(여장)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본격적으로 현재의 모습이 나타나는 것은 조선 초기 무렵으로 세종 당시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하였을 때로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4,856척(약 1.5㎞), 높이는 11척(약 3.3m)이며 문은 4개가 있었고, 여장·적대 등의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안에는 우물 2개가 있었다고 한다.  


이후 수차에 걸쳐 확장공사를 하였으며 [[조선]] [[대한제국 고종|고종]] 7년에 홍주목사 [[한웅필]]이 성을 증보 및 석축하면서 650개의 여장(성첩)과 치, 곡성, 우물(4개소)를 새로 두었으며 동서에 수문을 두어 서문천의 물을 끌어들여 동편 수문을 거쳐 [[남문천]]과 [[금마천]]으로 흐르게 하고 성문을 세우는 등의 공사를 하였으며 같은 해 4개의 문에 [[흥선대원군]]이 휘호한 문액이 문에 걸리게 되었다.
이후 수차에 걸쳐 확장공사를 하였으며 조선 고종당시에는 홍주목사 한웅필이 성을 증보 및 석축하면서 650개의 여장(성첩)과 치, 곡성, 우물(4개소)를 새로 두었으며 동서에 수문을 두어 서문천의 물을 끌어들여 동편 수문을 거쳐 남문천과 금마천으로 흐르게 하고 성문을 세우는 등의 공사를 하였으며 같은 해 4개의 문에 [[흥선대원군]]이 휘호한 문액이 문에 걸리게 되었다.


홍주읍성과 홍주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문화재청의 명칭 변경에 따라 2011년 홍성 홍주읍성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한동안 홍주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문화재청의 명칭 변경에 따라 2011년 홍성 홍주읍성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성의 훼손과 복원==
==성의 훼손과 복원==
최대길이 1,772m에 달하던 꽤 큰 성이었으나 일제의 읍성철폐령으로 810m만 남아있다. 당시 일제는 성내의 각종 시설과 서문(경의문)과 북문(망화문)을 철거하고 동문마저 철거하려 하였으나 당시 주민들의 격렬한 반발로 조양문은 철거를 면할 수 있었다.(남문인 홍화문은 고지대에 위치하여 평소에 사용하는 문이 아니라 먼저 문의 기능을 상실하였음)
최대길이 1,772m에 달하던 꽤 큰 성이었으나 일제의 읍성철폐령으로 810m만 남아있다. 당시 일제는 성내의 각종 시설과 서문(경의문)과 북문(망화문)을 철거하고 동문마저 철거하려 하였으나 당시 주민들의 격렬한 반발로 조양문은 철거를 면할 수 있었다.(남문인 홍화문은 고지대에 위치하여 평소에 사용하는 문이 아니라 먼저 문의 기능을 상실하였음)


[[1978년]] [[10월 7일]] 발생한 [[1978년 홍성 지진|홍성 지진]]으로 성곽의 일부가 붕괴된 것을 계기로 성곽 주변 가옥 64동을 철거하고 토지를 매입하면서 주변정비를 한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복원공사를 시행, 1975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조양문을 복원하고 지속적인 발굴 조사와 복원을 진행하면서 2012년에는 남문인 홍화문을 복원하였으며 2015년에는 서쪽 성벽의 수구를 발굴하여 고지도의 수문을 확인하였으며 2019년에는 북문인 망화문의 복원공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북쪽 성벽 일부구간도 복원에 들어갔다.
1978년 10월 7일 발생한 [[홍성지진]]으로 성곽의 일부가 붕괴된 것을 계기로 성곽 주변 가옥 64동을 철거하고 토지를 매입하면서 주변정비를 한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복원공사를 시행, 1975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조양문을 복원하고 지속적인 발굴 조사와 복원을 진행하면서 2012년에는 남문인 홍화문을 복원하였으며 2015년에는 서쪽 성벽의 수구를 발굴하여 고지도의 수문을 확인하였으며 2019년에는 북문인 망화문의 복원공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북쪽 성벽 일부구간도 복원에 들어갔다.


==참조==
==참조==
45번째 줄: 33번째 줄:
*[[홍주성 전투]]
*[[홍주성 전투]]


{{각주}}
{{주석}}
[[분류:읍성]]
[[분류:읍성]]
[[분류:한국의 성]]
[[분류:사적]]
[[분류:사적]]
{{리브레 맵스 마커|36.599999419730786|126.6611742891115|11|홍성 홍주읍성}}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