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유형 ==
== 유형 ==
=== 사회적 혐오 ===
=== 사회적 혐오 ===
그런데 원초적 대상에 대한 혐오는 이후 이성적인 검토를 거의 거치지 않고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확장된다. 이렇게 확장된 혐오를 '투사적 혐오'라고 부른다. 사회는 구성원들 중 몇몇을 이른바 '오염원'으로 규정하도록 가르친다. 즉 투사적 혐오는 사회적 기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진짜 위험과 신뢰할 만한 연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투사적 혐오는 '''망상'''을 먹고 자라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일종의 예속을 만들어낸다. 이는 악취와 진액, 부패, 세균 등 원초적 대상에서 역겹다고 느껴지는 속성을 특정한 사람이나 집단, 계층 등에 전가하는 방식으로써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투사에는 '''아무런 실제적 근거도 없다'''.
그런데 원초적 대상에 대한 혐오는 이후 이성적인 검토를 거의 거치지 않고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으로 확장된다. 이렇게 확장된 혐오를 '투사적 혐오'라고 부른다. 사회는 구성원들 중 몇몇을 이른바 '오염원'으로 규정하도록 가르친다. 즉 투사적 혐오는 사회적 기준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진짜 위험과 신뢰할 만한 연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 투사적 혐오는 '''망상'''을 먹고 자라며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일종의 예속을 만들어낸다. 이는 악취와 진액, 부패, 세균 등 원초적 대상에서 역겹다고 느껴지는 속성을 특정한 사람이나 집단, 계층 등에 전가하는 방식으로써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투사에는 '''아무런 실제적 근거도 없다'''.  


특히 사회에는 '''취약한 소수자'''들에게 낙인을 찍는 수많은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혐오만이 낙인을 찍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혐오는 낙인을 찍는 강력하고도 중심적인 방식이며, 혐오가 사라지는 경우에는 '''위계질서'''도 함께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인종적 소수자와의 신체 접촉을 피하는 일이 사라지면 인종차별도 사라진다.{{ㅈ|"혐오에서 인류애로" 마샤 C 누스바움 중}} 또한 혐오라는 것은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 대한 감정의 투사로 인한 것이지 사회적 소수자나 약자가 권력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집단을 혐오하는 것은 혐오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사회에는 '''취약한 소수자'''들에게 낙인을 찍는 수많은 방식이 있으며, 이러한 혐오만이 낙인을 찍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혐오는 낙인을 찍는 강력하고도 중심적인 방식이며, 혐오가 사라지는 경우에는 '''위계질서'''도 함께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인종적 소수자와의 신체 접촉을 피하는 일이 사라지면 인종차별도 사라진다.{{ㅈ|"혐오에서 인류애로" 마샤 C 누스바움 중}} 또한 혐오라는 것은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 대한 감정의 투사로 인한 것이지 사회적 소수자나 약자가 권력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집단을 혐오하는 것은 혐오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보통 권력이나 위계질서 관계에서 약자가 강자를 조롱하거나 비웃는 것, 그리고 더럽다면서 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권력에 대한 조롱이나 감정 표출, 혹은 위계질서에 대한 반항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떤 강자로 보이는 대상에 대한 혐오는 절대 성립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분 제도가 없는) 현대 사회에서 강자와 약자를 구분하는 요소는 한두 가지가 아니므로, 다른 상대적인 약자성(성별, 학력, 나이, 직업, 소득, 출신지역, 장애 등)을 가진 타인-약자에 대한 혐오가 성립하고 (사안의 심각성은 경우에 따라 다르며, 개인마다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다), 여러 약자성으로 인해 다중적으로 억압받기도 하고,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인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혐오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어떤 집단이나 조직 속에서는 강자였으나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ref>예를 들면 남성혐오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해서 개별 남성에 대한 혐오가 성립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비장애인 여성이 장애인 남성을, 상대적으로 잘사는 여성이 빈민 남성을, 다수인종 여성이 소수인종 남성을 혐오할 수 있으며, 이는 [[메갈리아]]/[[워마드]]가 자행하는 추태의 일종이기도 하다. 메갈리아/워마드는 자신들이 비방하는 대상이 강자인 남성이기 때문에 남성혐오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전우용 말대로 여성이지만 다른 다수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고, 그부분에 있어서 자신이 비방하는 남성이 소수자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거나, 그 소수자성으로 비난한다면 혐오가 성립된다.</ref>
보통 권력이나 위계질서 관계에서 약자가 강자를 조롱하거나 비웃는 것, 그리고 더럽다면서 피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권력에 대한 조롱이나 감정 표출, 혹은 위계질서에 대한 반항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떤 강자로 보이는 대상에 대한 혐오는 절대 성립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분 제도가 없는) 현대 사회에서 강자와 약자를 구분하는 요소는 한두 가지가 아니므로, 다른 상대적인 약자성(성별, 학력, 나이, 직업, 소득, 출신지역, 장애 등)을 가진 타인-약자에 대한 혐오가 성립하고 (사안의 심각성은 경우에 따라 다르며, 개인마다 인식하는 정도가 다르다), 여러 약자성으로 인해 다중적으로 억압받기도 하고,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인 집단 내에서 다른 구성원에 대한 혐오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어떤 집단이나 조직 속에서는 강자였으나 다른 곳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ref>예를 들면 남성혐오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해서 개별 남성에 대한 혐오가 성립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비장애인 여성이 장애인 남성을, 상대적으로 잘사는 여성이 빈민 남성을, 다수인종 여성이 소수인종 남성을 혐오할 수 있으며, 이는 [[메갈리아]]/[[워마드]]가 자행하는 추태의 일종이기도 하다. 메갈리아/워마드는 자신들이 비방하는 대상이 강자인 남성이기 때문에 남성혐오가 성립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전우용 말대로 여성이지만 다른 다수자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고, 그부분에 있어서 자신이 비방하는 남성이 소수자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거나, 그 소수자성으로 비난한다면 혐오가 성립된다.</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