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관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차량 정보
{{철도차량 정보
|차량이름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관차
|차량명 = 코레일 7000호대 디젤 기관차
|원어이름 =  
|배경색 =
|그림     = [[파일:7001호.jpg]]
|글자색 =  
|그림 = 7001호.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운영    = [[한국철도공사]]
|량수 =
|설계    = [[EMD]]
|편성구조 =
|제작    = [[현대정공]]
|동력방식 = 디젤-전기식
|전기방식 =
|제어방식 =
|기관형식 = {{ㅊ|16-645F3B}}<br/>16-645E3
|전동기형식 =
|기어비 =
|차륜배열 = Co'Co'
|차륜직경 =
|기동가속도 =
|영업최고속도 = 150
|설계최고속도 =
|감속도 =
|기관출력 =
|전동기출력 =
|편성출력 =
|출력 =
|견인력 =
|용도 = 여객견인
|차량정원 =
|편성정원 =
|편성길이 =
|전장 = 20,982
|전폭 = 3,150
|전고 = 4,000
|차량중량 = 118
|편성중량 =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표준궤]] 1,435
|구동장치 =
|MT비 =
|보안장치 =
|구동방식 =
|제동방식 =
|설계사 = EMD
|제작사 = 현대정공
|제작연도 =  
|제작연도 =  
|생산량  = 15량
|운영회사 = 한국철도공사
|정원    =
|생산량 = 15량
|편성구조 =
|사용량 =
|편성길이 =
|도입단가 =
|전장    = 20,982 mm
|비고 =  
|전폭    = 3,150 mm
|전고    = 4,000 mm
|중량    = 118 t
|궤간    = 1,435 mm ([[표준궤]])
|최고속도 = 150 km/h
|엔진    =
|출력    =
|견인력  =
|가속도  =
|감속도  =
|제동    =
|전기    =  
|제어    =  
|보안    =  
|비고     =  
}}
}}
{{대사|빛났던 과거}}
{{대사|빛났던 과거}}
== 개요 ==
== 개요 ==
1980년대의 국제 행사인 86 아시안 게임, 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해 여객 서비스 품질 향상 목적으로 도입한 디젤기관차.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속칭 구특전) 견인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동시기 도입된 [[DHC]]에 밀려 15량만 도입되고 새마을호에서 물러나 막 구르다가 2012년 전량 퇴역했다.
1980년대의 국제 행사인 86 아시안 게임, 88 서울 올림픽을 대비해 여객 서비스 품질 향상 목적으로 도입한 디젤 기관차.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속칭 구특전) 견인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동시기 도입된 [[DHC]]에 밀려 15량만 도입되고 새마을호에서 물러나 막 구르다가 2012년 전량 퇴역했다.


== 특징 ==
== 특징 ==
영국의 [[HST]]와 유사한 전두부가 특징으로 기존에 도입되었던 디젤기관차들과 달리 장폐단, 단폐단 구분이 없어 운전실 하나로 양방향 운전이 불가능하다. 기관사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워 퇴행시 안전을 위해 25km/h의 속도 제한이 걸렸다. 또한 유선형 디자인을 위해 DHC처럼 연결기를 내부에 수납했었지만 정비가 힘들어 외부 고정형으로 바꿨다.
영국의 [[HST]]와 유사한 전두부가 특징으로 기존에 도입되었던 디젤 기관차들과 달리 장폐단, 단폐단 구분이 없어 운전실 하나로 양방향 운전이 불가능하다. 퇴행시 안전을 위해 25km/h의 속도 제한이 걸렸으며, 기관사의 후방 주시가 힘들었다. 또한 유선형 디자인을 위해 DHC처럼 연결기를 내부에 수납했었지만 정비가 힘들어 외부 고정형으로 바꿨다.


특대형에서 승차감 문제로 자주 지적받았던 전이제어를 없애면서 고속 주행력을 유지하기 위해 직병렬 전환 과정을 없애고 동력 회로를 병렬 회로로 고정했다. 전이제어의 충격은 없어졌으나, 고속에 특화된 회로 구성으로 초반 가속시 힘이 없어 빌빌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문에 화물 견인으로는 투입되지 않았다.
특대형에서 승차감 문제로 자주 지적받았던 전이제어를 없애면서 고속 주행력을 유지하기 위해 직병렬 전환 과정을 없애고 동력 회로를 병렬 회로로 고정했다. 전이제어의 충격은 없어졌으나, 고속에 특화된 회로 구성으로 초반 가속시 힘이 없어 빌빌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문에 화물 견인으로는 투입되지 않았다.


한국 철도 역사상 최초로 [[객차전원공급장치]](HEP)를 장착했으나, 주 기관과 동축으로 연결된 HEP를 유지하려면 엔진을 고출력으로 유지해야 했고, 이는 심각한 소음과 연료 소모를 가져왔다. 이후 HEP를 전량 탈거했으며, 디젤기관차에 HEP를 절대 넣지 않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철도 역사상 최초로 [[객차전원공급장치]](HEP)를 장착했으나, 주 기관과 고정 기어비로 연결돼 HEP를 유지하려면 엔진을 고출력으로 유지해야 했고, 이는 심각한 소음과 연료 소모를 가져왔다. 이후 HEP를 전량 탈거했으며, 디젤 기관차에 HEP를 절대 넣지 않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저런 문제들이 많았던 기관차로, 특히 벤치마크 대상이었던 [[HST]]와 달리 고정편성을 운용하지 않은 것이 운용애로를 불러와 조기 폐차라는 패착을 남기게 되었다.


== 현황 ==
== 현황 ==
47번째 줄: 67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분류:디젤기관차]]
[[분류:디젤 기관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