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3번째 줄: 53번째 줄:


평균적인 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3.7~4.6m, 어깨높이는 1.5~1.8m에 몸무게는 수컷이 1,500kg, 암컷이 1,300kg으로 수컷에 비해 암컷이 다소 작으며, 육상동물 중 [[코끼리]]와 [[흰코뿔소]] 다음으로 덩치가 크다.
평균적인 하마의 크기는 몸길이 3.7~4.6m, 어깨높이는 1.5~1.8m에 몸무게는 수컷이 1,500kg, 암컷이 1,300kg으로 수컷에 비해 암컷이 다소 작으며, 육상동물 중 [[코끼리]]와 [[흰코뿔소]] 다음으로 덩치가 크다.
== 분류 및 진화 ==
{| style="float: right;"
| [[파일: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laurasiatherian mammals as used in molecular evolution analyses.jpg|x235px|섬네일|하마와 고래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낸 도표]]
|}
하마와 고래는 약 6,000만 년 전 우제류에서 떨어져나온 메소닉스속의 반수생 동물을 공통 조상으로 두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공통 조상이 5,400만 년 전 다시 두 갈래로 쪼개져서 각각 하마의 조상뻘인 '''안트라코테리움'''(Anthracotheres)과 동물들과 고래의 조상뻘인 고대고래아목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시 하마라고 볼 수 있는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은 현대의 하마와는 달리 앞뒤로 늘씬한 체형에 말처럼 머리와 턱, 주둥이가 비교적 협소하여 하마보다는 마치 주둥이 긴 멧돼지나 맥을 연상시키는 외형을 지니고 있었다.
이 가운데 몇몇 종이 하마과로 분화되어, 플리오세를 거쳐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을 대신하여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통틀어 번성하게 된다. 가장 먼저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하마과 동물은 약 1,500~900만 년 전 케냐에서 서식한 '''케냐포타무스'''(Kenyapotamus)다. 현대 하마의 직계 조상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생물은 약 750~180만 년 전에 중동과 아프리카 지방에 살았던 '''아르카이오포타무스'''(Archaeopotamus)로, 이후 플라이스토세 중기 끝무렵에 이르러 현생 하마가 나타나게 된다.
하마는 현재 하마속에 속한 동물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으로, 상위 분류군인 하마과로 범위를 넓혀봐도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 생물학적 특징 ==
== 생물학적 특징 ==
[[파일:Flickr - Rainbirder - Eye to eye with a Kelpie..jpg|230px|섬네일|수면 위로 윗얼굴을 내밀고 있는 하마]]
[[파일:Flickr - Rainbirder - Eye to eye with a Kelpie..jpg|230px|섬네일|수면 위로 윗얼굴을 내밀고 있는 하마]]
70번째 줄: 80번째 줄:
물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까닭에 다른 육상동물들과 비교하여 다리가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의외로 보기보다 빠른 동물로 육상에서 순간적으로 시속 30km에 달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비록 오랜 기간 동안 달릴 수 없으며 몸무게 탓에 뜀뛰기는 할 수 없지만, 가파른 강기슭 따위를 맞닥뜨렸을 때 기어 올라갈 정도는 된다.
물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까닭에 다른 육상동물들과 비교하여 다리가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의외로 보기보다 빠른 동물로 육상에서 순간적으로 시속 30km에 달하는 속도로 달릴 수 있다. 비록 오랜 기간 동안 달릴 수 없으며 몸무게 탓에 뜀뛰기는 할 수 없지만, 가파른 강기슭 따위를 맞닥뜨렸을 때 기어 올라갈 정도는 된다.


== 분류 및 진화 ==
{| style="float: right;"
| [[파일: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laurasiatherian mammals as used in molecular evolution analyses.jpg|x235px|섬네일|하마와 고래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낸 도표]]
|}
하마와 고래는 약 6,000만 년 전 우제류에서 떨어져나온 메소닉스속의 반수생 동물을 공통 조상으로 두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공통 조상이 5,400만 년 전 다시 두 갈래로 쪼개져서 각각 하마의 조상뻘인 '''안트라코테리움'''(Anthracotheres)과 동물들과 고래의 조상뻘인 고대고래아목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측된다. 원시 하마라고 볼 수 있는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은 현대의 하마와는 달리 앞뒤로 늘씬한 체형에 말처럼 머리와 턱, 주둥이가 비교적 협소하여 하마보다는 마치 주둥이 긴 멧돼지나 맥을 연상시키는 외형을 지니고 있었다.
이 가운데 몇몇 종이 하마과로 분화되어, 플리오세를 거쳐 안트라코테리움과 동물들을 대신하여 유라시아 및 아프리카에서 통틀어 번성하게 된다. 가장 먼저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하마과 동물은 약 1,500~900만 년 전 케냐에서 서식한 '''케냐포타무스'''(Kenyapotamus)다. 현대 하마의 직계 조상으로 강력히 추정되는 생물은 약 750~180만 년 전에 중동과 아프리카 지방에 살았던 '''아르카이오포타무스'''(Archaeopotamus)로, 이후 플라이스토세 중기 끝무렵에 이르러 현생 하마가 나타나게 된다.
하마는 현재 하마속에 속한 동물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으로, 상위 분류군인 하마과로 범위를 넓혀봐도 피그미하마와 더불어 유이하게 현존하는 종이다.
== 생태 ==
== 생태 ==
하마는 박명박모성 및 [[야행성]] 동물로 황혼과 밤에 주로 활동한다. 햇볕이 강한 낮에는 하마는 하루 종일 낮잠을 자거나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하루에 최대 18시간이 넘도록 쉬기도 한다. 휴식 장소로는 수심이 1.3~1.5m 정도 되는 호수나 강가를 선호한다. 늦은 오후에서부터 해가 차츰 지기 시작할 때까지, 즉 오후 4~7시 사이에는 주로 수중 활동이 일어난다. 해가 지고 늦저녁이 되어 주변이 어둑해지면 육상으로 올라와서 먹이를 찾아 6시간 동안 헤매고 다니면서 식사를 하며, 새벽이 되면 다시 물 속으로 복귀한다. 대기 중의 습도가 높을수록 하루 일과 중 물 밖에서 활동하거나 먹이를 찾는 기간이 빈번해지며, 암컷보다 수컷이 하루 일과 중에서 휴식을 취하는 기간이 더 길다.
하마는 박명박모성 및 [[야행성]] 동물로 황혼과 밤에 주로 활동한다. 햇볕이 강한 낮에는 하마는 하루 종일 낮잠을 자거나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며, 하루에 최대 18시간이 넘도록 쉬기도 한다. 휴식 장소로는 수심이 1.3~1.5m 정도 되는 호수나 강가를 선호한다. 늦은 오후에서부터 해가 차츰 지기 시작할 때까지, 즉 오후 4~7시 사이에는 주로 수중 활동이 일어난다. 해가 지고 늦저녁이 되어 주변이 어둑해지면 육상으로 올라와서 먹이를 찾아 6시간 동안 헤매고 다니면서 식사를 하며, 새벽이 되면 다시 물 속으로 복귀한다. 대기 중의 습도가 높을수록 하루 일과 중 물 밖에서 활동하거나 먹이를 찾는 기간이 빈번해지며, 암컷보다 수컷이 하루 일과 중에서 휴식을 취하는 기간이 더 길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