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공항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의 관문역으로, 역사 위치와 용도에 따라서 다음 두 역으로 나뉘어 있다.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의 관문역으로, 역사 위치와 용도에 따라서 다음 두 역으로 나뉘어 있다.
* [[#장거리역|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역]]<ref>Fernbahn은 [[유럽의 철도#열차종별|장거리 열차]]를 뜻한다.</ref> <small>Frankfurt am Main Flughafen Fernbahnhof</small>
* [[#장거리역|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역]]<ref>Fernbahn은 [[유럽의 철도#열차종별|장거리 열차]]를 뜻한다.</ref> {{-1|Frankfurt am Main Flughafen Fernbahnhof}}
* [[#근거리역|프랑크푸르트 공항 근거리역]]<ref>Regionalbahn은 지역 내를 다니는 광역권 중·단거리 열차를 뜻한다. 다만 여기서는 근거리로 번역하였다.</ref> <small>Frankfurt (Main) Flughafen Regionalbahnhof</small>
* [[#근거리역|프랑크푸르트 공항 근거리역]]<ref>Regionalbahn은 지역 내를 다니는 광역권 중·단거리 열차를 뜻한다. 다만 여기서는 근거리로 번역하였다.</ref> {{-1|Frankfurt (Main) Flughafen Regionalbahnhof}}


두 철도역은 다른 역으로 취급되고<ref>사실 [[베를린 중앙역]] 같은 곳도 고가와 지하의 역이 엄밀하게는 다른 역으로 취급받지만, 프랑크푸르트 공항역은 역 단위로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ref> 있으며, 기능상으로도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두 역사는 같은 역사 주소를 공용하며, 크게는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을 위한 역 하나로 보기도 한다. 리브레 위키에서는 두 역 공히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의 관문역이며, 상호 역사간 환승이 자유로운 편<ref>그러나 이는 사실 구조상 오픈게이트기 때문에 자유 통행이 가능한 연결통로도 환승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 가장 크다. 영국이나 일본과 같은 폐쇄식 게이트 구조였다면 환승이 불가능한 구조가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거의 막장환승 축에 끼는 거리기도 하다.</ref>임을 감안하여, 양 역사를 이 문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두 철도역은 다른 역으로 취급되고<ref>사실 [[베를린 중앙역]] 같은 곳도 고가와 지하의 역이 엄밀하게는 다른 역으로 취급받지만, 프랑크푸르트 공항역은 역 단위로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ref> 있으며, 기능상으로도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두 역사는 같은 역사 주소를 공용하며, 크게는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을 위한 역 하나로 보기도 한다. 리브레 위키에서는 두 역 공히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의 관문역이며, 상호 역사간 환승이 자유로운 편<ref>그러나 이는 사실 구조상 오픈게이트기 때문에 자유 통행이 가능한 연결통로도 환승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 가장 크다. 영국이나 일본과 같은 폐쇄식 게이트 구조였다면 환승이 불가능한 구조가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거의 막장환승 축에 끼는 거리기도 하다.</ref>임을 감안하여, 양 역사를 이 문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9번째 줄: 10번째 줄:
== 장거리역 ==
== 장거리역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
|원어이름 = Frankfurt am Main Flughafen Fernbahnhof
|배경색  = {{독일 철도 노선색}}
|배경색  = {{독일 철도 노선색}}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F-Flughafen Fernbf Bahnsteige.jpg
|관할약칭 = DB
|그림설명 = 승강장
|역명    = 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역<br />Frankfurt am Main Flughafen Fernbahnhof
|그림alt  =  
|그림    = [[파일:F-Flughafen Fernbf Bahnsteige.jpg|thumb|center|승강장]]
|역번호  = [[국제철도역번호|IBNR]] 8070003
|역코드  = FFLF
|주소    =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ruby>공항구<rt>(플루크하펜)</rt></ruby> <ruby>Hugo-Eckener-Ring<rt>[[후고 에케너]] 순환로</rt></ruby> 1
|주소    =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ruby>공항구<rt>(플루크하펜)</rt></ruby> <ruby>Hugo-Eckener-Ring<rt>[[후고 에케너]] 순환로</rt></ruby> 1
|번호    = [[국제철도역번호|IBNR]] 8070003
|개업일  = [[1999년]] [[5월 30일]]
|노선    =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쾰른-라인/마인 고속선]] <small>169.3 km</small>
|폐지일  =
|관할    = [[독일철도|DB Netze]]
|관할    = [[독일철도|DB Netze]]
|개업일  = [[1999년]] [[5월 30일]]
|폐지일  =
|코드    = FFLF
|승강장  = 2면 4선
|승강장  = 2면 4선
|관련역  =  
|운임구역 =
|참고     =  
|노선     =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쾰른-라인/마인 고속선]] <small>169.3 km</small>
|비고    =
|하위 틀  =
}}
}}
'''명실상부 독일을 대표하는 공항역'''
{{+1|Frankfurt am Main Flughafen Fernbahnhof}}<br />프랑크푸르트 공항 장거리 열차역<br />'''명실상부 독일을 대표하는 공항역'''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본 터미널(1터미널)에서 공항이 자리잡고 있는 일반도로 휴고 에케너 순환로(Hugo-Eckener-Ring) 및 [[아우토반 3호선]]을 건너 횡단하는 북쪽 연결통로를 지나 독일 연방43번 국도과 아우토반 3호선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역으로,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을 위해 지어진 역이다. 그러나 역사 자체는 고속선이 개통하기 3년 전인 1999년 5월 30일에 선행 개업하였다.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본 터미널(1터미널)에서 공항이 자리잡고 있는 일반도로 휴고 에케너 순환로(Hugo-Eckener-Ring) 및 [[아우토반 3호선]]을 건너 횡단하는 북쪽 연결통로를 지나 독일 연방국도 43호선과 아우토반 3호선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역으로,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을 위해 지어진 역이다. 그러나 역사 자체는 고속선이 개통하기 3년 전인 1999년 5월 30일에 선행 개업하였다.


이름 그대로 정차하는 거의 모든 열차는 장거리 열차(Fernbahn)다. 그러나 새벽 시간대 일부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방면 [[라인-마인 S반]] 셔틀 열차가 이 역까지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름 그대로 정차하는 거의 모든 열차는 장거리 열차(Fernbahn)다. 그러나 새벽 시간대 일부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방면 [[라인-마인 S반]] 셔틀 열차가 이 역까지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37번째 줄: 33번째 줄:
[[루프트한자]]를 이용하는 경우, [[뒤셀도르프 중앙역]],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쾰른 본 공항역]] 3개역에 설치된 체크인 센터를 이용해 짐을 부치고 이 역에서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일종의 [[도심공항터미널]]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이 경우는 시내에서 체크인을 하고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고속선을 이용해 지역을 넘어선 광역권에서의 국제공항 수요를 흡수하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루프트한자]]를 이용하는 경우, [[뒤셀도르프 중앙역]],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쾰른 본 공항역]] 3개역에 설치된 체크인 센터를 이용해 짐을 부치고 이 역에서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일종의 [[도심공항터미널]]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이 경우는 시내에서 체크인을 하고 국제공항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고속선을 이용해 지역을 넘어선 광역권에서의 국제공항 수요를 흡수하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 시설 ===
=== 역 구조 ===
아우토반 3호선을 따라가는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상의 역이다보니, 아우토반 3호선 옆에 딱 붙어있다. 덤으로 북쪽으로는 바로 독일 연방43번 국도이 지나가 그 사이에 끼인 구조다. 역사는 전형적인 [[유리궁전]] 형태로, 지상 2층과 3층에 위치한 선상역사 구조를 띠고 있다. 승강장의 지상 1층이지만 주변보다는 다소 기면이 다소 낮으며 [[자연채광]] 구조를 띠고 있음에도 비교적 어두운 편이다.
아우토반 3호선을 따라가는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상의 역이다보니, 아우토반 3호선 옆에 딱 붙어있다. 덤으로 북쪽으로는 바로 독일 연방국도 43호선이 지나가 그 사이에 끼인 구조다. 역사는 전형적인 [[유리궁전]] 형태로, 지상 2층과 3층에 위치한 선상역사 구조를 띠고 있다. 승강장의 지상 1층이지만 주변보다는 다소 기면이 다소 낮으며 [[자연채광]] 구조를 띠고 있음에도 비교적 어두운 편이다.


역사와 국제공항 터미널까지는 다소 거리가 있는 편으로, 도보로 약 10–20분 정도 걸리며, 상하 이동을 요구한다. 다행히 에스컬레이터를 갖추고 있기는 하다.
역사와 국제공항 터미널까지는 다소 거리가 있는 편으로, 도보로 약 10–20분 정도 걸리며, 상하 이동을 요구한다. 다행히 에스컬레이터를 갖추고 있기는 하다.
46번째 줄: 42번째 줄:
== 근거리역 ==
== 근거리역 ==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프랑크푸르트 공항 근거리
|원어이름 = Frankfurt (Main) Flughafen Regionalbahnhof
|배경색  = {{독일 철도 노선색}}
|배경색  = {{독일 철도 노선색}}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F-Flughafen Regionalbf Bahnsteige.jpg
|관할약칭 = DB
|그림설명 = 승강장
|역명    = 프랑크푸르트 공항 근거리역<br />Frankfurt (Main) Flughafen Regionalbahnhof
|그림alt  =  
|그림    = [[파일:F-Flughafen Regionalbf Bahnsteige.jpg|thumb|center|승강장]]
|역번호  = [[국제철도역번호|IBNR]] 8070002
|역코드  = FFLU
|주소    =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ruby>공항구<rt>(플루크하펜)</rt></ruby> <ruby>Hugo-Eckener-Ring<rt>[[후고 에케너]] 순환로</rt></ruby> 1
|주소    =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br /><ruby>공항구<rt>(플루크하펜)</rt></ruby> <ruby>Hugo-Eckener-Ring<rt>[[후고 에케너]] 순환로</rt></ruby> 1
|번호    = [[국제철도역번호|IBNR]] 8070002
|개업일  = [[1972년]] [[3월 14일]]
|노선    =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small>11.4 km</small>
|폐지일  =
|관할    = [[독일철도|DB Netze]]
|관할    = [[독일철도|DB Netze]]
|개업일  = [[1972년]] [[3월 14일]]
|폐지일  =
|코드    = FFLU
|승강장  = 2면 3선
|승강장  = 2면 3선
|관련역  =
|운임구역 = RMV '''5090'''
|참고    = RMV '''5090'''
|노선     = [[프랑크푸르트 공항선]] <small>11.4 km</small>
|비고     =  
|하위 틀  =
}}
}}
'''가장 개념찬 공항역'''
{{+1|Frankfurt (Main) Flughafen Regionalbahnhof}}<br />프랑크푸르트 공항 근거리 열차역<br />'''가장 개념찬 공항역'''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본 터미널(1터미널)에 위치한 역으로, 이 역이 개통한 1972년부터 장거리역이 개통한 1999년까지는 단순히 '''프랑크푸르트 공항역'''(Bahnhof Frankfurt (Main) Flughafen)였으나, 장거리역이 개통한 이후로는 장거리 열차의 정차역 기능을 넘겨준 채, 지역 열차(근거리 열차) 위주로만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열차가 근거리 열차인 것은 아니며, 임시 열차 편성 등의 이유나 선로 보수 등의 이유로 장거리 열차가 편성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야간 열차인 [[유로나이트]]는 이 역을 쓴다.
[[프랑크푸르트 국제공항]] 본 터미널(1터미널)에 위치한 역으로, 이 역이 개통한 1972년부터 장거리역이 개통한 1999년까지는 단순히 '''프랑크푸르트 공항역'''(Bahnhof Frankfurt (Main) Flughafen)였으나, 장거리역이 개통한 이후로는 장거리 열차의 정차역 기능을 넘겨준 채, 지역 열차(근거리 열차) 위주로만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열차가 근거리 열차인 것은 아니며, 임시 열차 편성 등의 이유나 선로 보수 등의 이유로 장거리 열차가 편성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야간 열차인 [[유로나이트]]는 이 역을 쓴다.
72번째 줄: 63번째 줄:
[[라인-마인 교통조합]]의 운임구역 상 프랑크푸르트 시내의 여타 역들의 운임구역은 5000이지만 공항역만 '''5090'''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공항에 오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구간을 이용하는 할증된 요금을 내야한다. 이 사실을 모르고 시내 전용 티켓으로 공항에 왔다가는 부정승차로 적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라인-마인 교통조합]]의 운임구역 상 프랑크푸르트 시내의 여타 역들의 운임구역은 5000이지만 공항역만 '''5090'''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공항에 오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구간을 이용하는 할증된 요금을 내야한다. 이 사실을 모르고 시내 전용 티켓으로 공항에 왔다가는 부정승차로 적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시설 ===
=== 역 구조 ===
정말 국제공항을 위해서 지어진 역인데, 1터미널 바로 밑에 자리잡고 있다. 출발층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바로 접근 가능하며, 도착층에서는 짐을 찾고 세관을 나와서 1분 정도 직진하면 바로 역사가 나오는 수준이다. 역사는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있다.
정말 국제공항을 위해서 지어진 역인데, 1터미널 바로 밑에 자리잡고 있다. 출발층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바로 접근 가능하며, 도착층에서는 짐을 찾고 세관을 나와서 1분 정도 직진하면 바로 역사가 나오는 수준이다. 역사는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