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당진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평택당진항.gif|thumb]]
*平澤唐津港
*平澤唐津港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걸쳐있는 국가관리 무역항이다. 아산만에 위치한다.
==개요==
==개요==
1986년 평택항으로 개항하였으며, 2000년~2004년 매립지 경계분쟁 이후 현재와 같은 이름이 되었다. 당시 매립지의 귀속권을 두고 [[평택시]]와 [[당진시]](당시 당진군) 그리고 아산만의 이름 유래가 된 [[아산시]]까지 숟가락을 얹으면서 [[헌법재판소]]까지 갔었던 사례가 있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면]]과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에 걸쳐있는 국가관리 무역항이다. 본래 시작은 평택항으로 1986년에 개항하였으나 2004년에 [[서해대교]] 아래쪽의 수면과 당진항쪽 수면을 매립하면서 신항만을 건설하여 이런 이름이 나오게 되었다. 당시 매립지의 귀속권을 두고 [[평택시]]와 [[당진시]](당시 당진군) 그리고 아산만의 이름 유래가 된 [[아산시]]까지 숟가락을 얹으면서 [[헌법재판소]]까지 갔었던 사례가 있다.


이쪽 항구는 [[인천항]]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선박들이 주로 이용하며, 수도권 및 중국 수출입 물류를 [[인천항]] 대신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초대형 LNG선을 비롯하여 [[자동차 운반선]], 국제여객선, 조개잡이 어선, 특수선, 심지어 군함까지 돌아다니는 항구로 정신이 없는 항구이다. 특히 항만의 입구에는 사주의 이동이 잦고 간조시에는 암초와 얕은 수심이 여기저기 산적해 있어서 항해시에는 주의가 요구되는 곳이다.
이쪽 항구는 [[인천항]]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선박들이 주로 이용하며, 수도권 및 중국 수출입 물류를 [[인천항]] 대신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초대형 LNG선을 비롯하여 [[자동차 운반선]], 국제여객선, 조개잡이 어선, 특수선, 심지어 군함까지 돌아다니는 항구로 정신이 없는 항구이다. 특히 항만의 입구에는 사주의 이동이 잦고 간조시에는 암초와 얕은 수심이 여기저기 산적해 있어서 항해시에는 주의가 요구되는 곳이다.


==시설현황==
==시설현황==
아산만을 사이에 두고 북쪽 평택시에 모래부두, 돌핀부두, 동부두(평택국제자동차부두)가 있으며 남쪽 당진시에 송악부두(현대제철부두), 고대부두가 있다. 그 사이에 인공섬 서부두가 있는데 이는 관할경계 분쟁중이며 헌법재판소 심판이 청구되어 있다. [[VTS]]는 동부두 근처 마린센터에 위치한다.
* 모래부두
*: 준설토를 적치하는 곳으로 2012년 완공했다.
* 돌핀부두
*: 한국가스공사 LNG 인수기지, 한국석유공사 LPG 비축기지, 한국서부발전 [[평택화력발전소]] 벙커C유 인수시설 등 석유화학제품을 취급하는 부두로 대형선박의 접안이 잦은 특성상 항만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 군항부두
*: 평택항에는 [[대한민국 해군]]의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제2함대]] 군항부두가 자리하고 있다. 뭐 아는 사람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이쪽으로 배를 끌고 잘못 들어갈 경우 항만 경비를 하는 수병들이 [[코렁탕|따끈한 국물을 대접]]해 줄 수 있다


* 동부두
==평택시-당진시간 관할권 분쟁문제==
*: 자동차산업의 메카로 [[자동차 운반선]]의 접안이 잦고, 그 외 컨테이너 및 잡화 취급 능력도 있다. 평택항 여객선터미널과 해경도 동부두에 위치한다.
* 1999년 11월 1일 평택시, 인공매립지 등기<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63235 경기도-충남도 평택항 매립터 소유권 갈등], 연합뉴스, 1999.11.01.</ref>
* 서부두
*: 인공섬을 매립하여 신규조성한 접안시설로 벌크 위주의 취급으로 시멘트, 사료, 양곡 등을 하역한다. [[서해대교]]의 교각을 일부 지탱한다.
* 고대부두
*: 동부제철 사설부두.
* 송악부두
*: 현대제철 사설부두.
 
[[당진화력발전소]] 석탄부두는 여기 말고 [[대산항]] 항계로 친다.
 
== 관할 분쟁 ==
=== 경기도·충남도 ===
[[파일:당진항.jpg|thumb]]
평택항이 평택시·당진시·아산시에 걸쳐 있는 아산만에 있다보니 항내 매립지가 행정구역에 걸치게 되었는데, 이를 평택시에서 일방적으로 귀속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시작은 당진군-평택시의 싸움이었으나 광역자치단체(경기도-충남도) 힘겨루기로 비화하여 문서고를 뒤적이며 누가 오랫동안 그 해안을 관리했는지 유치한 싸움을 했다.
; 1단계 매립지 분쟁
* 1998년 3월 23일 평택시, 1단계 서부두 인공매립지 등기<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63235 경기도-충남도 평택항 매립터 소유권 갈등], 연합뉴스, 1999.11.01.</ref>
* 1998년 3/4분기 한국도로공사, 관계기관에 [[서해대교]] 경계표지 설치계획 통보
* 2000년 3월 평택시, 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 분쟁조정 청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057515 평택시-당진군 '내땅 싸움' 끝이 안보인다], 동아일보, 2001.04.08.</ref>
* 2000년 3월 평택시, 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 분쟁조정 청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057515 평택시-당진군 '내땅 싸움' 끝이 안보인다], 동아일보, 2001.04.08.</ref>
* 2000년 9월 7일 당진군, 헌법재판소 권한쟁의 심판청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29884 평택시, 당진군과의 경계 분쟁 강력 대응], 연합뉴스, 2001.10.04.</ref>
* 2000년 9월 7일 당진군, 헌법재판소 권한쟁의 심판청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29884 평택시, 당진군과의 경계 분쟁 강력 대응], 연합뉴스, 2001.10.04.</ref>
* 2000년 10월 4일 당진군, 당진항 분리 요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284513 "당진항 평택서 분리를" .. 당진군 정부에 건의], 한국경제, 2000.10.04.</ref>
* 2004년 9월 23일 당진군, 권한쟁의 심판에서 승소<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771838 당진군, 평택시 권한쟁의 심판서 승소(종합)], 연합뉴스, 2004.09.23.</ref>
* 2004년 9월 23일 당진군, 권한쟁의 심판에서 승소<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771838 당진군, 평택시 권한쟁의 심판서 승소(종합)], 연합뉴스, 2004.09.23.</ref>
* 2004년 12월 21일 평택항→평택당진항으로 이름 변경<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15073 평택항‘평택 당진항’으로 변경], 대전일보, 2004.12.21.</ref>
* 2004년 12월 21일 평택항→평택당진항으로 이름 변경<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9&aid=0000015073 평택항‘평택 당진항’으로 변경], 대전일보, 2004.12.21.</ref>
* 2005년 1월 28일 평택당진항 송악부두 준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0898011 '당진항 명명식' INI스틸 부두서 열려], 연합뉴스, 2015.01.28.</ref>
[[서해대교]]의 행정구역 경계표지를 어디다 세우냐는 문제에서 당진군과 평택시가 문제를 인식하면서 분쟁이 시작되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36555 서해대교 도(道) 경계표지판 놓고 힘겨루기], 연합뉴스, 2000.11.10.</ref>. 당시에는 서해대교 아래의 인공섬만 있었는데, 이 인공섬은 누가 봐도 당진군 경계 내에 있었기 때문에 당진군의 승리으로 일단락되고 기여도를 인정받아 이름에도 당진이 포함되는 등 쏠쏠한 이득을 챙겼다.


; 2단계 매립지 분쟁
평택항이 평택시 남단에 자리 잡아 당진시(당시 당진군)와 인접하다 보니, 행정구역경계가 항계와 상이한 상황이 발생했으며 이는 경기도-충남도 힘겨루기로 비화하여 문서고를 뒤적대며 누가 오랫동안 그 해안을 관리했는지 유치한 싸움을 했다. 같은 시기 [[서해대교]]의 행정구역 경계표지를 어디다 세우냐는 문제로 번지기도 했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0036555 서해대교 도(道) 경계표지판 놓고 힘겨루기], 연합뉴스, 2000.11.1.0.</ref>.
* 2010년 2월 9일 경기도, 2단계 서부두 인공매립지 분쟁조정 청구<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084826 평택당진항 경계분쟁 또다시 점화], 뉴시스, 2010.02.10.</ref>
* 2015년 4월 13일 경기도, 분쟁조정에서 승소<ref>[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50414/70686265/1 서해대교 매립지, 평택 68만m²-당진 28만m² 분할 귀속], 동아일보, 2015.04.14.</ref>
* 2015년 5월 18일 충남도, 분쟁조정 취소소송 제기<ref>[https://www.yna.co.kr/view/AKR20150518182900063?input=1195m 당진-평택항 매립지 문제 '소송전' 돌입], 연합뉴스, 2014.05.18.</ref>
* 2015년 6월 29일 충남도, 분쟁조정 권한쟁의 심판청구<ref>[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506290248 충남도 '매립지 반환' 권한쟁의 심판청구], 중도일보, 2019.06.30.</ref>
이후 5년간 잠잠했다가, 1단계와 비교도 할 수 없는 규모의 2단계 매립지를 두고 1단계의 판정을 깨기 위해 경기도가 나섰다. 행정안전부 분쟁조정에서는 신규 지역을 모두 평택시의 관할로 인정했기 때문에, 충남도가 이에 불복하여 사법부에 제소했다. 지역갈등으로 비화하면서 [[당진화력발전소]]와 평택시 산업단지를 잇는 [[HVDC]] 시설에 당진시가 어깃장을 놓는다거나<ref>[https://www.yna.co.kr/view/AKR20151222179100063?input=1195m 당진 송전시설 추가건설 두고 갈등 증폭…소송전 비화], 연합뉴스, 2015.12.22.</ref>, 당진소방서가 삽교천과 아산만 방조제를 건너서 평택소방서가 초기진화를 한 현장에 출동해 인계받는<ref>[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358 평택당진항 매립지 관할권 결정 임박], 금강일보, 2015.03.02.</ref> 등 웃지못할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아산시도 꼽사리 끼어있긴 한데 규모가 작다보니 관망하는 모양새다.


=== 평택시·화성시 ===
법적 분쟁은 당진시의 판정승으로 일단락되고 이름에도 당진이 포함되는 등 이름뿐인 승리로 정리되었으며, 실질적인 항계 복원을 위한 지자체의 분쟁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항만 북쪽에 모래부두를 새로 축조했는데, 행정경계상 [[화성시]] 경계를 일부 침범하여 화성시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 심판을 청구했으나, 인프라 구조상 평택시에 귀속되는 것이 옳다고 결정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828_0012316019&cID=10305&pID=10300 정부 "당진항 모래부두 매립지는 평택 땅" 결정], 뉴시스, 2013,08.28.</ref>.
 
==군항==
 
[[평택시]]쪽 부두 일부는 [[대한민국 해군]]의 2함대 군항부두가 자리하고 있다. 뭐 아는 사람은 다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이쪽으로 배를 끌고 잘못 들어갈 경우 항만 경비를 하는 수병들이 [[코렁탕|따끈한 국물을 대접]]해 줄 수 있다


{{주석}}
{{주석}}
{{대한민국의 항구}}
{{대한민국의 항구}}
[[분류:무역항]]
[[분류:무역항]]
{{리브레 맵스 마커|36.95057770956291|126.83329582214355|8|평택당진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