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6번째 줄: 36번째 줄:
한국에서 남녀 서로 한국 여성의 권리가 높다거나 낮다면서 유엔(UN)의 성차별지수(GII)이나 세계경제포럼(WEF)의 성격차지수(GGI)의 통계를 들고 오면서 갈등을 일삼는데 서로 제시한 통계의 모순을 생각 하지 않은 듯 하다. [http://m.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 오죽하면 유엔 통계와 세계경제포럼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가 있을 정도다.] 이러한 점 때문에 대안 우파 성향의 학자인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가 선진국 여성들은 이미 성평등이 실현 됐다고 주장을 한 적도 있다.
한국에서 남녀 서로 한국 여성의 권리가 높다거나 낮다면서 유엔(UN)의 성차별지수(GII)이나 세계경제포럼(WEF)의 성격차지수(GGI)의 통계를 들고 오면서 갈등을 일삼는데 서로 제시한 통계의 모순을 생각 하지 않은 듯 하다. [http://m.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 오죽하면 유엔 통계와 세계경제포럼 문제점을 지적한 기사가 있을 정도다.] 이러한 점 때문에 대안 우파 성향의 학자인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가 선진국 여성들은 이미 성평등이 실현 됐다고 주장을 한 적도 있다.


참고로 위에 대한 결론을 말하자면 실제로는 둘 다 유효하다. UN의 GII는 10위 안으로 비교적 높은데, WEF의 GGI는 120위 밖으로 둘 사이에 격차가 심하다. 이렇게 된데는 대한민국 여성이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보다는 상대적으로 보장을 잘 받지만, 아직 일부 사항(임금격차,여성 고위직 비율,여성 정치인 비율)등에선 해결이 되지 않았기에 생기는 일이다. 또한 GGI에서는 남성의 군복무 2년도 교육기간의 일환으로 판단하여 여성보다 남성이 더 오래 교육을 받는다고 측정하였다. 사실 대한민국의 사회가 급격히 성장했고, 성평등을 위한 구체적인 여성운동은 빨라봐야 20세기 초반으로 다른 나라보다 늦기에, 제도적으로는 여성인권이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심층적으로 보자면  출산, 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등 여러 가지 여성의 불이익 요소가 아직은 있어서 저런 극과 극인 수치가 나온 것이다.
참고로 위에 대한 결론을 말하자면 실제로는 둘 다 유효하다. UN의 GII는 10위 안으로 비교적 높은데, WEF의 GGI는 120위 밖으로 둘 사이에 격차가 심하다. 이렇게 된데는 대한민국 여성이 아프리카,남아시아 등보다는 상대적으로 보장을 잘 받지만, 아직 일부 사항(임금격차,여성 고위직 비율,여성 정치인 비율)등에선 해결이 되지 않았기에 생기는 일이다. 또한 GGI에서는 남성의 군복무 2년도 교육기간의 일환으로 판단하여 여성보다 남성이 더 오래 교육을 받는다고 측정하였다. 사실 대한민국의 사회가 급격히 성장했고, 성평등을 위한 구체적인 여성운동은 빨라봐야 20세기 초반으로 다른 나라보다 늦기에,제도적으로는 여성인권이 이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선되었지만,심층적으로 보자면  출산,육아 등으로 인한 경력단절등 여러 가지 여성의 불이익 요소가 아직은 있어서 저런 극과 극인 수치가 나온 것이다.


=== 현재 대한민국의 여성학은 후진적일까 선진적일까? ===
=== 현재 대한민국의 여성학은 후진적일까 선진적일까? ===
사실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이승만의 기독교 우호, 반공주의 등으로 인하여 페미니즘의 진행속도가 천천히 흘러갔다가 1980년대부터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서구권과 비교하기엔 좀 애매하다.하지만 현재 한국의 페미니즘 경향을 보면 가장 권력이 큰 학계와 정치권의 페미니즘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및 성적 차이 페미니즘이 대세임을 감안하면  2010년대 지금 상황에선 후진적도 선진적도 아니고 시대에 잘 따라가고 있는 셈, 단 기독교 보수주의, 성리학 교조주의, 급진적 페미니즘, 경제적 불황 등이 남긴 성적 보수주의와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남성에 대한 역차별 등 여러 가지 장애물을 어떻게 해결하냐에 따라서 진보가 될 수도 있고, 퇴보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안티페미니스트와 기독교 보수주의 계열이 교류하고 있는 현대 대한민국에선 더더욱 그렇다. 페미니즘의 정착에 성공한 미국과 서유럽, 북유럽과 비슷해지느냐, 아니면 보수주의 계열의 백래시로 인하여 페미니즘이 퇴보했던 일본처럼 되나는 건 페미니즘, 진보 정치권은 물론이고 국민들이 어떻게 대처하냐 일것이다.<ref>동아시아 사회와 서구 사회의 문화의 차이점을 잘 융화시키는 것 역시도 하나의 쟁점이 될 것이다.</ref> 사실 [[문화상대주의]]에 따르면 선진적이냐 후진적이냐 하는 논의 역시 편협한 시각이 있을 수 있다.
사실 대한민국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이승만의 기독교 우호, 반공주의 등으로 인하여 페미니즘의 진행속도가 천천히 흘러갔다가 1980년대부터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에 서구권과 비교하기엔 좀 애매하다.하지만 현재 한국의 페미니즘 경향을 보면 가장 권력이 큰 학계와 정치권의 페미니즘은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및 성적 차이 페미니즘이 대세임을 감안하면  2010년대 지금 상황에선 후진적도 선진적도 아니고 시대에 잘 따라가고 있는 셈, 단 기독교 보수주의, 성리학 교조주의, 급진적 페미니즘, 경제적 불황 등이 남긴 성적 보수주의와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남성에 대한 역차별 등 여러 가지 장애물을 어떻게 해결하냐에 따라서 진보가 될 수도 있고, 퇴보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안티페미니스트와 기독교 보수주의 계열이 교류하고 있는 현대 대한민국에선 더더욱 그렇다. 페미니즘의 정착에 성공한 미국과 서유럽, 북유럽과 비슷해지느냐, 아니면 보수주의 계열의 백래시로 인하여 페미니즘이 퇴보했던 일본처럼 되나는 건 페미니즘, 진보 정치권은 물론이고, 국민들이 어떻게 대처하냐 일것이다.


=== 대한민국의 페미니스트들이 왜 이런 취급을 받는가 ===
=== 대한민국의 페미니스트들이 왜 이런 취급을 받는가 ===
50번째 줄: 50번째 줄:
사실 1960-1970년대 서구에서는 남녀 임금 격차 해소, 여성의 고용 확대, 성폭력범 강력 처벌 등과 같은 강력한 여성 운동이 있었지만 한국에서는 이것이 1980 ~ 1990년대가 되어서야 이뤄졌다. 대표적으로 진보권 여성단체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이 1982년에 생겼는데, 비슷한 기능을 하는 전미여성기구가 1966년대에 생긴 걸 감안하면 매우 늦은 편이다. 그 덕분에 상호교차성이 주류가 된 서구권과 달리 래디컬 페미니즘이 주류가 된 것이다. 이후 1990년대 후반에 IMF라는 경제적으로 불황이 와버리고, 너나네나 공무원,교사 등 안정적인 직업을 찾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때 태어난 2030대 남성들이 인터넷에서 보이는 메갈리아,워마드 등의 [[급진적 페미니즘|래디컬 페미니스트들]]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하는 바람에 남성혐오 사상으로 찍혀버리고<ref>마치 좌파라는 말이 1950-1960년대 남북 갈등과 6.25 전쟁과 그 이후 반공주의의 영향으로 60세 이상의 노년층에게 좌파가 종북으로 찍힌 것과 같다.</ref>, 꿀빠니즘, 뷔페미니즘이라고 조롱받게 된 것이다.
사실 1960-1970년대 서구에서는 남녀 임금 격차 해소, 여성의 고용 확대, 성폭력범 강력 처벌 등과 같은 강력한 여성 운동이 있었지만 한국에서는 이것이 1980 ~ 1990년대가 되어서야 이뤄졌다. 대표적으로 진보권 여성단체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이 1982년에 생겼는데, 비슷한 기능을 하는 전미여성기구가 1966년대에 생긴 걸 감안하면 매우 늦은 편이다. 그 덕분에 상호교차성이 주류가 된 서구권과 달리 래디컬 페미니즘이 주류가 된 것이다. 이후 1990년대 후반에 IMF라는 경제적으로 불황이 와버리고, 너나네나 공무원,교사 등 안정적인 직업을 찾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때 태어난 2030대 남성들이 인터넷에서 보이는 메갈리아,워마드 등의 [[급진적 페미니즘|래디컬 페미니스트들]]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이 만연하는 바람에 남성혐오 사상으로 찍혀버리고<ref>마치 좌파라는 말이 1950-1960년대 남북 갈등과 6.25 전쟁과 그 이후 반공주의의 영향으로 60세 이상의 노년층에게 좌파가 종북으로 찍힌 것과 같다.</ref>, 꿀빠니즘, 뷔페미니즘이라고 조롱받게 된 것이다.


사실 페미니즘 = 꿀빠니즘,뷔페미니즘 = 워마드, 메갈리아으로 취급받는 또 다른 이유는 한국은 서구와 달리 [[서프러제트]](Suffragette)나 [[프랑스 5월 혁명]] 같은 혁명이 없었으며<ref>[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865766.html#cb 세상 읽기 68혁명 50주년과 한국의 특수한 길 / 김누리], 한겨레, 2018. 10. 14. </ref> 한국의 페미니즘은 영미권에서 수입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얼치기로 페미니즘을 배운 일부 한국 여성들 중에 페미니즘 = 여성에게만 이익을 주는 것이라고 잘못 알게 되었고, 이것도 사실도 페미니즘 = 꿀빠니즘으로 낙인 찍히는 원인이 된 것이다.
사실 페미니즘 = 꿀빠니즘,뷔페미니즘 = 워마드, 메갈리아으로 취급받는 또 다른 이유는 한국은 서구와 달리 [[서프러제트]](Suffragette)나 [[프랑스 5월 혁명]] 같은 혁명이 없었으며<ref>[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865766.html#cb 세상 읽기 68혁명 50주년과 한국의 특수한 길 / 김누리], 한겨례, 2018. 10. 14. </ref> 한국의 페미니즘은 영미권에서 수입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얼치기로 페미니즘을 배운 일부 한국 여성들 중에 페미니즘 = 여성에게만 이익을 주는 것이라고 잘못 알게 되었고, 이것도 사실도 페미니즘 = 꿀빠니즘으로 낙인 찍히는 원인이 된 것이다.


또한 이는 언론이나 페미니스트의 행동도 적잖게 영향을 미쳤는 데 [[슬로우뉴스]] 같은 언론과 [[노동자연대]] 등의 운동 단체, 페미니스트 윤김지영 교수<ref>[http://m.kmib.co.kr/view.asp?arcid=0012533079 “워마드도 ‘페미니스트’, 일방적 비난보단 이해를…”], 국민일보, 2018. 07. 18.</ref> 등이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페미니즘 단체로 취급해 이들의 증오 행위들을 옹호하 자신의 입지를 정당화 했다.그래서 이후 몇몇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메갈리아, 워마드와 연관 시키지 말자고 이야기가 나오지만<ref>[http://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43734.html#cb “‘홍대 누드모델 사진 유출’ 워마드는 페미니즘이 아니다”], 한겨레, 2018. 05. 08.</ref><ref>[http://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180713_0000363073 워마드 흙탕물 맞은 한국 페미니즘…"전체 매도 안 돼"], 뉴시스, 2018. 07. 13.</ref> 이들의 의견을 무시가 되는 것이다. 말그대로 6.25전쟁과 북한과 연계된 좌익 성향 단체들을 많이 만나고 이후 박정희 정부에게 반공교육을 듣게 된 60대 이상 노년층에게 종북 = 좌파로 찍힌 것과 마찬가치로 페미니즘 = 워마드,메갈리아,꿀빠니즘, 뷔페니즘이라는 말이 2030대 남성들에게 찍힌 것이다.
또한 이는 언론이나 페미니스트의 행동도 적잖게 영향을 미쳤는 데 [[슬로우뉴스]] 같은 언론과 [[노동자연대]] 등의 운동 단체, 페미니스트 윤김지영 교수<ref>[http://m.kmib.co.kr/view.asp?arcid=0012533079 “워마드도 ‘페미니스트’, 일방적 비난보단 이해를…”], 국민일보, 2018. 07. 18.</ref> 등이 메갈리아와 워마드를 페미니즘 단체로 취급해 이들의 증오 행위들을 옹호하 자신의 입지를 정당화 했다.그래서 이후 몇몇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메갈리아, 워마드와 연관 시키지 말자고 이야기가 나오지만<ref>[http://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43734.html#cb “‘홍대 누드모델 사진 유출’ 워마드는 페미니즘이 아니다”], 한겨례, 2018. 05. 08.</ref><ref>[http://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180713_0000363073 워마드 흙탕물 맞은 한국 페미니즘…"전체 매도 안 돼"], 뉴시스, 2018. 07. 13.</ref> 이들의 의견을 무시가 되는 것이다. 말그대로 6.25전쟁과 북한과 연계된 좌익 성향 단체들을 많이 만나고 이후 박정희 정부에게 반공교육을 듣게 된 60대 이상 노년층에게 종북 = 좌파로 찍힌 것과 마찬가치로 페미니즘 = 워마드,메갈리아,꿀빠니즘, 뷔페니즘이라는 말이 2030대 남성들에게 찍힌 것이다.


참고로 한국에서 메갈리아, 워마드라는 증오 단체가 생긴 이유도 위의 경제 불황과 전혀 관련이 없는 건 아닌데, 한국 사회에서 가부장제와 성차별이 아직도 건재하고 불법촬영 등 여러 성폭력은 만연한데 비하여 이에 대한 처벌은 미비하고<ref>한국에서 솜방망이 처벌은 사법체계의 전반적인 문제이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에서 성폭력에 한해서 처벌이 강해진 편. 성인지감수성의 도입으로 인하여 역차별과 무고에 대한 공포로 2030남성들의 반발이 심해지게 되었다.</ref>, 이에 IMF와 2008년 금융위기등 경제적인 불황이 맞물려, 다양성에 대한 포용이 떨어지게 되었고 소수자 혐오가 만연해지니 남성혐오, 심지어 성소수자 혐오 성향 단체가 생겨나게 되었다. 즉 문화 지체 + 아직도 남아있는 전근대적인 여성관(가부장제 등) + 경제 불황이 만든 게 바로 워마드 등 단체인 것이다. 다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및 2023년의 미국 인플레이션의 악영향을 받은 전 세계 물가상승으로 인해 남성혐오는 허수아비 공격이 될 가능성이 높아져 겉으로 보기에 잠잠해졌다.<ref>보강 설명을 하면 코로나와 미국 인플레이션으로 고생하여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맬 때 사회의 기득권 취급을 받은 여성단체는 무엇을 했냐는 비판이 일 수 있게 되었다. 트위터의 페미니즘 진영은 코로나발 불황기부터 예술가들(특히 여성주의 예술가들)이 굶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었지만 정책 구조상 모든 사회 구성원이 고생하는데 남은 사회적 자원을 편향적으로 지원할 수 없었기에 성과는 미비하였다. 경제 불황으로 인한 화풀이꾼들만 모아서 표심을 올리는 것도 정도껏 해야지 불황이 나아지지 않고 맨날 증오만 외치면 단순 화풀이일 뿐이다.</ref>
참고로 한국에서 메갈리아, 워마드라는 증오 단체가 생긴 이유도 위의 경제 불황과 전혀 관련이 없는 건 아닌데, 한국 사회에서 가부장제와 성차별이 아직도 건재하고 불법촬영 등 여러 성폭력은 만연한데 비하여 이에 대한 처벌은 미비하고<ref>한국에서 솜방망이 처벌은 사법체계의 전반적인 문제이다. 오히려 [[문재인 정부]]에서 성폭력에 한해서 처벌이 강해진 편. 성인지감수성의 도입으로 인하여 역차별과 무고에 대한 공포로 2030남성들의 반발이 심해지게 되었다.</ref>, 이에 IMF와 2008년 금융위기등 경제적인 불황이 맞물려, 다양성에 대한 포용이 떨어지게 되었고 소수자 혐오가 만연해지니 남성혐오, 심지어 성소수자 혐오 성향 단체가 생겨나게 되었다. 즉 문화 지체 + 아직도 남아있는 전근대적인 여성관(가부장제 등) + 경제 불황이 만든 게 바로 워마드 등 단체인 것이다.


== 논란과 비판 ==
== 논란과 비판 ==
100번째 줄: 100번째 줄:


그러나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상호교차성 페미니스트]]들은 과거 페미니스트들이 지지했던 남성가해자이론과 비서구 여성이 불쌍하다는 인종주의적 시각을 비판하고 있다. 남성들도 성차별을 겪는다는 맨박스 이론을 수용했으며 무슬림 여성이 노예마냥 탄압받고 사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여성들도 가부장제에 봉사하여 성차별을 지지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남성만 지탄해서는 성차별이 해결이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상호교차성 페미니스트]]들은 과거 페미니스트들이 지지했던 남성가해자이론과 비서구 여성이 불쌍하다는 인종주의적 시각을 비판하고 있다. 남성들도 성차별을 겪는다는 맨박스 이론을 수용했으며 무슬림 여성이 노예마냥 탄압받고 사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게다가 일부 여성들도 가부장제에 봉사하여 성차별을 지지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남성만 지탄해서는 성차별이 해결이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 [[반달리즘]] ===
주로 [[정치적 올바름]], [[Black Lives Matter]] 지지층과 같이 출판계에서 옛날 작품의 현재 시대에 맞지 않는 원전의 표현을 바꾸고 기존 원전의 기록을 말살하여 훼손된 원본만을 인권 운동의 가치에 맞는 원전이라고 강요하는 행위가 비판을 받는다. 기존 원본과 개정본으로 나누면 될 일을 기존 원전만 분서갱유하는 것은 오히려 진서(眞書)를 위서화하는 역사왜곡이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페미니즘 및 정치적 올바름 지지층은 한때 환단고기 등의 위서를 규탄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모순을 안게 되었다.


== 분파 ==
== 분파 ==
118번째 줄: 115번째 줄:
*[[성긍정 페미니즘]] - 유의어: [[립스틱 페미니즘]]
*[[성긍정 페미니즘]] - 유의어: [[립스틱 페미니즘]]
*[[보수주의 페미니즘]]
*[[보수주의 페미니즘]]
== 안티 ==
* [[안티 페미니즘]]


{{주석}}
{{주석}}


[[분류:페미니즘| ]]
[[분류:페미니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