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태백선
|노선명  = 태백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번호    = 31503
|번호    = 31503
|구간    = [[제천역|제천]] ~ [[백산역|백산]]
|노선    =
|영업거리 = 104.1 km
|구간    = [[제천역|제천]] ~ [[백산역|백산]] <small>(104.1 km, 19개)</small>
|역수    = 19개
|개통일  = [[1955년]] [[12월 31일]]
|폐지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55년]] [[12월 31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제천 ~ [[입석리역|입석리]])<br />1 (입석리 ~ 백산)
|선로    = 2 (제천 ~ [[입석리역|입석리]])<br/>1 (입석리 ~ 백산)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신호    = [[ATS]]
|비고     =  
|최고속도 =
|차량기지 =
|주석     =  
}}
}}


'''태백선'''은 [[제천역]][[백산역]]을 연결하는 길이 104.1 km의 간선철도이다.
'''태백선'''은 [[제천역]]에서 시작하여 [[백산역]]까지 연결되는 길이 104.1 km의 간선철도이다.


==역사==
==역사==
태백선은 1949년에 착공하여 1955년에 완공된 '''영월선'''을 서쪽 구간의 기반으로, 한편으로 1962년에 건설된 '''황지지선'''을 동쪽 구간의 기반으로 하여 건설된 철도이다. 태백선의 성장은 광산 개발과 맥을 같이하는 형태로 진척되는데, 이는 별다른 동력자원이 없이 무연탄만이 유일한 자급가능 자원이던 여건이어서 국가의 중점 사업으로 이루어진 면이 강하다.
태백선은 1949년에 착공하여 1955년에 완공된 영월선을 서쪽 구간의 기반으로, 한편으로 1962년에 건설된 황지지선을 동쪽 구간의 기반으로 하여 건설된 철도이다. 태백선의 성장은 광산 개발과 맥을 같이하는 형태로 진척되는데, 이는 별다른 동력자원이 없이 무연탄만이 유일한 자급가능 자원이던 여건이어서 국가의 중점 사업으로 이루어진 면이 강하다.


여기에 언급되는 영월선은 1937년에 조선철도가 목재 및 무연탄의 개발을 목적으로 충북선의 연장선 개념으로 인가를 받았으며<ref>"충주, 영월선 실현". 동아일보, 1937년 7월 27일 보도.</ref>, 이후 1938년 시점에 20km의 운탄선로 부설을 위한 측량작업에 착수를 하였으나<ref>"석탄기아에 대처 삼척무연탄 채굴". 동아일보, 1938년 5월 14일 보도.</ref>, 이후 전쟁으로 인한 예산 및 자재 부족으로 실제 착공에는 이르지 못하였거나, 부분적인 착공 정도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 영월선은 해방 이후 전력부족에 긴급 대처를 위해 남한 최대의 발전소가 되었던 영월화력발전소의 증설공사에 맞춰 우선적으로 건설이 착수되었다. 이는 기존 영월탄광<ref>영월군 마차리 소재</ref>에서 [[삭도]]로 운반해 오던 석탄으로는 증설된 발전소의 석탄소비를 따라갈 수 없었기에 다른 무연탄광으로부터 석탄을 수급받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언급되는 영월선은 1937년에 조선철도가 충북선의 연장선 개념으로 인가를 받았으나, 실제 착공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43년에 영월 화력 발전소가 개소를 한 것으로 보아서는 일제강점기 당시에 발전소 인입철도로서 일부 시설물 건설이 있었을 개연성은 있어 보인다.


태백선은 노선이 단계적으로 건설되다 보니 노선 명칭이 확립된 것은 최초 건설선으로부터 거의 20년이 지난 시점에 이루어졌다. 초기에 [[함백선]]과 [[정선선]]이 분리될 당시에 이를 태백선이라 명명하겠다는 1963년 당시의 교통부 장관의 언급이 있으나<ref>"咸白線(함백선) 太白線(태백선)으로 金交通(김교통) 改稱(개칭)을示唆(시사)". 경향신문 1963.06.14. 보도.</ref> 실제로 명칭 자체가 처음으로 사용된건 [[제천역|제천]]~증산(현 [[민둥산역]])~[[고한역|고한]] 간이 개통되면서 안내명칭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증산~고한간은 고한선으로 부르기도 하는 등 선명 자체는 좀 확정적이진 않았으나, 이후 고한~황지(이후의 [[태백역]])간이 개통되어 전구간이 완공되면서 태백선이라는 이름이 확립되었다.
태백선은 노선이 단계적으로 건설되다 보니 노선 명칭이 확립된 것은 최초 건설선으로부터 거의 20년이 지난 시점에 이루어졌다. 초기에 [[함백선]]과 [[정선선]]이 분리될 당시에 이를 태백선이라 명명하겠다는 1963년 당시의 교통부 장관의 언급이 있으나<ref>"咸白線(함백선) 太白線(태백선)으로 金交通(김교통) 改稱(개칭)을示唆(시사)". 경향신문 1963.06.14. 보도.</ref> 실제로 명칭 자체가 처음으로 사용된건 [[제천역|제천]]~증산(현 [[민둥산역]])~[[고한역|고한]] 간이 개통되면서 안내명칭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증산~고한간은 고한선으로 부르기도 하는 등 선명 자체는 좀 확정적이진 않았으나, 이후 고한~황지(이후의 [[태백역]])간이 개통되어 전구간이 완공되면서 태백선이라는 이름이 확립되었다.
47번째 줄: 42번째 줄:
* 1966년 1월 15일: [[예미역|예미]] ~ [[고한역|고한]] 구간 개통과 함께, 제천 ~ 증산(현 [[민둥산역|민둥산]]) 구간 노선 명칭을 '''태백선'''으로 변경, 기존 함백선을 예미 ~ 함백으로 변경하고, 증산 ~ 고한 구간은 '''고한선'''으로 신설<ref>철도청고시 제207호, 제208호</ref>
* 1966년 1월 15일: [[예미역|예미]] ~ [[고한역|고한]] 구간 개통과 함께, 제천 ~ 증산(현 [[민둥산역|민둥산]]) 구간 노선 명칭을 '''태백선'''으로 변경, 기존 함백선을 예미 ~ 함백으로 변경하고, 증산 ~ 고한 구간은 '''고한선'''으로 신설<ref>철도청고시 제207호, 제208호</ref>
* 1967년 1월 20일: 증산 ~ [[정선역|정선]]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1622호, 제1623호, 제1624호, 철도청고시 제303호, 제304호</ref>
* 1967년 1월 20일: 증산 ~ [[정선역|정선]]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1622호, 제1623호, 제1624호, 철도청고시 제303호, 제304호</ref>
* 1969년 10월 8일: 정선 ~ [[나전역|나전]]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2786호 제2787호 제2788호, 철도청고시 제151호</ref>
* 1969년 10월 8일: 정선 ~ [[나전역|나전]]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2786호 제2787호 제2788호, 철도청고시 제151호</reF>
* 1967년 6월 1일: 제천과 송학 사이에 [[장락역|장락임시승강장]] 개업<ref>철도청고시 제332호</ref>
* 1967년 6월 1일: 제천과 송학 사이에 [[장락역|장락임시승강장]] 개업<ref>철도청고시 제332호</ref>
* 1971년 5월 21일: 나전 ~ 여량(현 [[아우라지역|아우라지]])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3240호,철도청고시 제23호, 제24호</ref>
* 1971년 5월 21일: 나전 ~ 여량(현 [[아우라지역|아우라지]]) 구간 개통<ref>철도청훈령 제3240호,철도청고시 제23호, 제24호</ref>
68번째 줄: 63번째 줄:
이 철도는 [[강원도]] 산간지역의 지하자원과 [[시멘트]] 수송의 역할이 강한 산업철도이다. 이로 인해 일찍부터 전철화가 이루어진 노선이다. 그만큼 1970년대의 대한민국 산업에 있어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철도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실 이 노선은 여객수송이 부가기능이고, 화물수송이 주 기능인 노선이다. 여객 수요가 사실상 망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보통역의 지위를 유지하는 역들이 있는 이유도 이러한 화물 수송기능이 여객 수송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원래 태백선의 여객 수송은 화물을 수송하면서 남는 선로용량에 여객을 끼워넣은 것에 가까웠다)
이 철도는 [[강원도]] 산간지역의 지하자원과 [[시멘트]] 수송의 역할이 강한 산업철도이다. 이로 인해 일찍부터 전철화가 이루어진 노선이다. 그만큼 1970년대의 대한민국 산업에 있어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철도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실 이 노선은 여객수송이 부가기능이고, 화물수송이 주 기능인 노선이다. 여객 수요가 사실상 망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보통역의 지위를 유지하는 역들이 있는 이유도 이러한 화물 수송기능이 여객 수송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원래 태백선의 여객 수송은 화물을 수송하면서 남는 선로용량에 여객을 끼워넣은 것에 가까웠다)


태백선은 험준한 강원도 산악지형을 넘나드는지라 기본적으로 20퍼밀이 넘어가는 급경사와 이로 인한 급구배는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심한 경우 철도차량의 한계 경사인 30퍼밀을 살짜쿵 넘나드는 구간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고속화는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며, 과거 전철화가 되기 전이나, [[전기기관차]]의 힘이 [[8000호대 전기기관차|시원찮던 시절]]에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 주는 보조기관차를 달고서야 운행이 가능했을 정도로 험한 구간이다. 물론 기관차의 힘이 좋아진 21세기에도 열차에 화물을 좀 실었다 하면 중련 총괄제어는 기본으로 해야 하는 동네이다. 참고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역인 [[추전역]]도 이 태백선상에 위치해 있다.
태백선은 험준한 강원도 산악지형을 넘나드는지라 기본적으로 20퍼밀이 넘어가는 급경사와 이로 인한 급구배는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심한 경우 철도차량의 한계 경사인 30퍼밀을 살짜쿵 넘나드는 구간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고속화는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며, 과거 전철화가 되기 전이나, [[전기 기관차]]의 힘이 [[8000호대 전기 기관차|시원찮던 시절]]에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 주는 보조기관차를 달고서야 운행이 가능했을 정도로 험한 구간이다. 물론 기관차의 힘이 좋아진 21세기에도 열차에 화물을 좀 실었다 하면 중련 총괄제어는 기본으로 해야 하는 동네이다. 참고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역인 [[추전역]]도 이 태백선상에 위치해 있다.


== 운행 ==
== 운행 ==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누리로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현재 운행되는 태백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중앙선]] 및 [[영동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무궁화호]]와 [[누리로]]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정차역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1630, 1640): ''[[청량리역|청량리]] - [[양평역 (양평)|양평]] - [[용문역|용문]] - [[서원주역|서원주]] - [[원주역|원주]] -'' [[제천역|제천]] - [[영월역|영월]] - [[예미역|예미]] - [[민둥산역|민둥산]] - [[사북역|사북]] - [[고한역|고한]] - [[태백역|태백]] - ''[[도계역|도계]] - [[동해역|동해]]'' (1일 5왕복<ref>전구간은 4왕복</ref>)
* '''무궁화호 · 누리로''' (1630, 1640): ([[중앙선]] 경유 [[청량리역|청량리]] 발착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영동선]] 경유 [[동해역|동해]] 발착)


=== 관광열차 ===
=== 관광열차 ===
* [[정선아리랑열차]] (2540)
; [[정선아리랑열차]]
: (중앙선 구간) - 제천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정선선]] 구간)


== 역 목록 ==
== 역 목록 ==
* '''무''': 무궁화호
* '''무''': 무궁화호 및 누리로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104번째 줄: 100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8" | {{세로|[[강원특별자치도]]}}
| rowspan="18" | {{세로|[[강원도]]}}
| rowspan="7" | [[영월군]]
| rowspan="7" | [[영월군]]
|-
|-
201번째 줄: 197번째 줄:


== 지선 ==
== 지선 ==
지선이 많지 않으므로, 본문에서 같이 서술한다.
* [[함백선]]
* [[함백선]]
* [[정선선]]
* [[정선선]]
* [[#태백삼각선|태백삼각선]]


=== 태백삼각선 ===
=== 태백삼각선 ===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태백삼각선
|노선명  = 태백삼각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1503
|번호    = 31503
|구간    = 분기점 ~ [[동백산역|동백산]]
|노선    =
|영업거리 = 1.3 km
|구간    = 분기점 ~ [[동백산역|동백산]] <small>(1.3 km, 1개)</small>
|역수    = 1개
|개통일  = 불명
|폐지일  =  
|소유자  =  
|소유자  =  
|운영자  =  
|운영자  =  
|개통일  = 불명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궤간    =  
|선로    =  
|선로    =  
|전기    =  
|전기    =  
|신호    =  
|신호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태백선과 동일
|최고속도 =
|차량기지 =
|주석     = 나머지 정보는 태백선과 동일
}}
}}


243번째 줄: 234번째 줄: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153에서 31503으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153에서 31503으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
|-
264번째 줄: 255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태백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