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4번째 줄: 34번째 줄:


==규격==
==규격==
=== 국제표준 컨테이너 ===
=== 해상/육상 운송용 컨테이너 ===
[[파일:컨테이너.jpg|thumb|ISO 40피트 컨테이너]]
[[파일:컨테이너.jpg|thumb|ISO 40피트 컨테이너]]
{{본문|ISO 컨테이너}}
이른바 '''ISO 컨테이너'''라고 하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컨테이너 규격이다. 보통 컨테이너를 말하면 이쪽을 뜻하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컨테이너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대개 수출입화물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이른바 '''ISO 컨테이너'''라고 하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컨테이너 규격이다. 보통 컨테이너를 말하면 이쪽을 뜻하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컨테이너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대개 수출입화물 용도로만 쓰이고 있다.
1961년에 미국표준협회(ASA)에서 처음으로 폭과 높이를 8피트로, 그리고 길이를 10피트(6미터) 단위로 10ft, 20ft, 30ft, 40ft의 4개 규격을 정하였고, 이 규격이 1961년에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전세계 표준으로 공식 채택되었다. 이후 ISO규격에 유럽에서 통용되던 5피트 및 6⅔피트 규격을 1964년에 추가하였으며, 1969년에 8피트 6인치 높이 컨테이너를 추가하였다. 이후 1995년에는 10피트 부터 49피트 길이까지의 컨테이너들을 표준규격으로 인정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길이에 따라 10, 20, 40, 45 피트 컨테이너로 나뉘며, 컨테이너 적재량을 표현하는 TEU는 20피트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 단위이다. 가장 많이 보이는 규격은 2TEU에 해당하는 40피트 컨테이너. 줄여서 FEU라고 하기도 한다.
길이에 따라 10, 20, 40, 45 피트 컨테이너로 나뉘며, 컨테이너 적재량을 표현하는 TEU는 20피트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 단위이다. 가장 많이 보이는 규격은 2TEU에 해당하는 40피트 컨테이너. 줄여서 FEU라고 하기도 한다.
{{-}}
 
*10피트
*: 폭 8ft(2.348m) × 높이 8.6ft(2.62m) 또는 8ft(2.376m) × 길이 10ft(3.048m). 최대용적(CBM) 15.8. 자체중량 1.29톤, 적재가능 중량 8.71톤 까지. 연안 운송(본토↔도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20피트
*: 폭 8ft(2.348m) × 높이 8.6ft(2.62m) 또는 8ft(2.376m) × 길이 20ft(6.096m). 최대용적(CBM) 33.2. 자체중량 2.26톤, 적재가능 중량 21.74톤 까지. 흔히 말하는 “TEU”의 기준이다.
 
*40피트
*: 폭 8ft(2.348m) × 높이 8.6ft(2.62m) 또는 8ft(2.376m) × 길이 40ft(12.192m). 최대용적 67.11. 자체중량 3.74톤, 적재가능 중량 26.74톤. 흔히 말하는 “FEU”의 기준이다.
 
* 45피트
*: 폭 8ft(2.348m) × 높이 8.6ft(2.62m) × 길이 45ft(13.555m). 최대용적 85.77. 자체중량 4.88톤, 적재가능 중량 25.6톤.
 
* 53피트
*: 폭 8ft(2.348m) × 높이 9.6ft(2.92m) × 길이 53ft(16.154m). 최대용적 111.3. 자체중량 4.68톤, 적재가능 중량 25.8톤. 미국 육로수송에서나 볼 수 있는 사이즈.
 
* 하이큐빅
*: 높이가 8.6ft 이상으로 9ft(2.74m) 및 9.6ft(2.92m) 규격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구즈넥 샤시와 결합하면 높이가 4m 내외이기 때문에 도로에 따라 과적으로 단속될 수 있다.
 
=== 항공 운송용 컨테이너 ===
=== 항공 운송용 컨테이너 ===
[[파일:Airbus A300 cross section.jpg|thumb]]
[[파일:Airbus A300 cross section.jpg|thumb]]
79번째 줄: 97번째 줄:
*: 컨테이너 골격에 원통형의 탱크를 얹어놓은 컨테이너. 화공품이나 장류, 유류같은 액체나 가스 수송에 사용한다. 20피트 컨테이너가 주류이며 지게차의 임의 취급을 막기 위해 포크 꽃는 구멍이 없다.
*: 컨테이너 골격에 원통형의 탱크를 얹어놓은 컨테이너. 화공품이나 장류, 유류같은 액체나 가스 수송에 사용한다. 20피트 컨테이너가 주류이며 지게차의 임의 취급을 막기 위해 포크 꽃는 구멍이 없다.
{{-}}
{{-}}
== 기능별 분류 ==
* 일반 컨테이너(G) [[파일:일반 컨테이너.jpg|thumb]]
*: 흔하디 흔한 박스형 컨테이너. 흔히 드라이 컨테이너라고도 부른다. 일반 잡화용도로, 통풍이나 보냉/보온의 필요가 없는 화물에 쓴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G0 || 밀폐된 컨테이너
|-
| G1 || 통풍구가 있는 컨테이너
|-
| G2 || 측면을 개방할 수 있는 컨테이너
|-
| G3 || 측면을 일부 개방할 수 있는 컨테이너
|}
* 통풍 컨테이너(V) [[파일:통풍 컨테이너.jpg|thumb]]
*: 농산물 용도로 주로 쓰는 컨테이너로, 통풍구가 측면에 나 있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V0 || 자연 통풍구가 있음
|-
| V2 || 기계 환풍기가 있음
|-
| V4 || 기계 환풍기가 부착되어 있음
|}
* 드라이벌크 컨테이너(B) [[파일:벌크 컨테이너.jpg|thumb]]
*: 곡물, 시멘트 등의 벌크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로, 배출을 위한 특수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고압 탱크는 탱크 컨테이너와 유사하게 생겼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B0 || 폐쇄됨
|-
| B1 || 밀폐됨
|-
| B3 || 수평 상태에서 배출하며, 권장압력 150kPa
|-
| B4 || 수평 상태에서 배출하며, 권장압력 265kPa
|-
| B5 || 기울인 상태에서 배출하며, 권장압력 150kPa
|-
| B6 || 기울인 상태에서 배출하며, 권장압력 265kPa
|}
* 특수 컨테이너(S)
*: 특수한 기능이 있으나 별도 분류되지 않는 컨테이너들이 이 코드를 받는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S1 || 가축 운반용
|-
| S2 || 자동차 운반용
|-
| S3 || 활어 운반용
|}
[[파일:냉동 컨테이너.jpg|섬네일|ISO 20피트 냉동 컨테이너]]
* 냉동 컨테이너(R)
*: ISO명명으로는 기기부착형 온도 컨테이너라고 한다. 냉동 또는 냉장 시설을 부착한 컨테이너로, 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물을 운송할 때 사용한다. 전력은 자체 발전기나 운송 수단에서 공급받는다. 흔히 리퍼(Reefer)라고 한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R0 || 냉동 컨테이너
|-
| R1 || 보온·냉동 컨테이너
|-
| R2 || 자체 전원이 있는 냉동 컨테이너
|-
| R3 || 자체 전원이 있는 보온·냉동 컨테이너
|}
* 보온·보냉 컨테이너(H)
*: [[단열재]]를 두껍게 바르고, 항온 장치는 탈부착 가능한 형태의 컨테이너를 말한다. 냉동 컨테이너는 항온 장치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는 점과 다른 부분.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H0 || 항온장치 외부부착, 열전도율 0.4W/㎡·K
|-
| H1 || 항온장치 내부부착, 열전도율 0.4W/㎡·K
|-
| H2 || 항온장치 외부부착, 열전도율 0.7W/㎡·K
|-
| H5 || 항온장치 미설치, 열전도율 0.4W/㎡·K
|-
| H6 || 항온장치 미설치, 열전도율 0.7W/㎡·K
|}
* 오픈탑 컨테이너(U) [[파일:오픈탑 컨테이너.jpg|thumb]]
*:주로 중량화물 수송 목적으로, 컨테이너 상부에서 화물을 취급할 수 있도록 지붕을 캔버스 천 덮개나 루프 판넬 같은걸로 대체한 컨테이너다. 출입문 상단 대들보를 제거할 수 있는 타입(U1)과 아닌 타입(U0)으로 나뉜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U0 || 일반 컨테이너
|-
| U1 || 출입문 상단 대들보 제거 가능
|-
| U2 || 측면이 개방되는 컨테이너
|-
| U3 || 출입문 상단 대들보 제거 가능한 측면이 개방되는 컨테이너
|-
| U4 || 한쪽 측면이 전부 개방되는 컨테이너
|-
| U5 || 개방되는 문이 없는 컨테이너
|}
[[파일:플랫랙 컨테이너.gif|섬네일|ISO 40피트 플랫랙 컨테이너]]
* 플랫폼 컨테이너(P)
*: 바닥(플랫폼·플랫랙)과 기둥(플랫랙)만 남겨놓은 타입. 심지어 양쪽 끝의 벽면도 골조만 남긴 경우가 많다. 기둥이 고정된 방식(P1)과 기둥이 접히는 방식(P3)으로 나뉜다. 컨테이너 규격을 초과하는 대형화물이나, 철제 빔, 파이프 등과 같은 장물(長物) 수송에 주로 사용된다. [[벌크선]]에서 구획을 나누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P0 || 바닥만 있음
|-
| P1 || 앞뒤로 벽이 있음
|-
| P2 || 기둥이 있음
|-
| P3 || 벽이 접힘
|-
| P4 || 기둥이 접힘
|-
| P5 || 측면 벽이 있고 앞뒤의 벽이 없음
|}
* 탱크 컨테이너(T) [[파일:탱크 컨테이너.jpg|thumb]]
*: 컨테이너 골격에 원통형의 탱크를 얹어놓은 컨테이너. 화공품이나 장류, 유류같은 액체나 가스 수송에 사용한다. 20피트 컨테이너가 주류이며 지게차의 임의 취급을 막기 위해 포크 꽃는 구멍이 없다.
:: {|class=wikitable
! 코드 || 상세
|-
| T0 || 위험물을 취급하지 않는 최고압력 45kPa 이하 탱크
|-
| T1 || 위험물을 취급하지 않는 최고압력 150kPa 이하 탱크
|-
| T2 || 위험물을 취급하지 않는 최고압력 265kPa 이하 탱크
|-
| T3 || 위험물을 취급하는 최고압력 150kPa 이하 탱크
|-
| T4 || 위험물을 취급하는 최고압력 265kPa 이하 탱크
|-
| T5 || 위험물을 취급하는 최고압력 400kPa 이하 탱크
|-
| T6 || 위험물을 취급하는 최고압력 600kPa 이하 탱크
|-
| T7 || 기체를 취급하는 최고압력 910kPa 이하 탱크
|-
| T7 || 기체를 취급하는 최고압력 2,200kPa 이하 탱크
|}
* {{ㅊ|컨테이너형 미사일 발사대}}
*:{{youtube|mbUU_9bOcnM}}


== 취급·운반 ==
== 취급·운반 ==
142번째 줄: 318번째 줄: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컨테이너 안전관리 지침서》, 2011년.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컨테이너 안전관리 지침서》, 2011년.
{{주석}}
{{주석}}
[[분류:컨테이너| ]]
[[분류:산업공학]]
[[분류:용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