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토막글}} == 개요 == 천주(天主)는 가톨릭 교회에서 유일신을 일컫는 한자 표기이다. 오늘날에는 하느님이라는 표기를 더 자주 쓰지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틀:종교}}
{{토막글}}
{{토막글}}
== 개요 ==
== 개요 ==

2015년 7월 13일 (월) 03:10 판

틀:종교 틀:토막글

개요

천주(天主)는 가톨릭 교회에서 유일신을 일컫는 한자 표기이다. 오늘날에는 하느님이라는 표기를 더 자주 쓰지만, 폐기된 표기법은 아니다.

유례

중국에 가톨릭이 처음 소개되던 시절, 선교사 마태오 리치는 그리스도교의 유일신(Deus)을 한자어로 번역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사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자면 그냥 한자 신(神)으로 번역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리치는 결코 그렇게 번역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본래 한자 신(神)은 영혼, 귀신, 정령 등 '초자연적인 인격체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지, 서양의 Deus 개념과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이다.[1] 때문에 리치는 당시 중국에서 초월자를 일컫던 말인 '천주(天主)'를 번역어로 채택한다.[2]

또 다른 표기법

리치의 시대때 중국 가톨릭 교회에서는 천주 말고도 '천', '상제'라는 표현도 쓰였다. 다만 원칙적으로는 Deus의 번역을 '천주'로 하였고, 상제와 천을 허용하는 형태였다. 천주를 원칙으로 정한 이유는, '천'은 범신론적 세계질서의 의미가 강하였고 '상제'는 도교의 '옥황'과 동일시될 수 있었기 떄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허용은 하였기 때문에, 한자문화권에는 익숙치 않은 Deus라는 개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데 공헌하였다. 천(天)은 일찍이 주나라에서 초월자를 일컫던 말이었고 논어나 맹자에도 주구장창 나오는 말이였기에, 당시 중국인 가톨릭 신자들에게 Deus는 '서양 오랑캐들이 믿는 잡귀'가 아니라 '요, 순, 탕 등이 섬기던 초월자'로 인식되었다. 또한 덕분에 조선인들 역시도 Deus개념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었고,[3] 이는 조선 천주교회의 자생적인 형성의 바탕이 되었다. 사실 애초에 오늘날 그리스도교에서 유일신을 하느님이라고 부르는 것도 Deus를 '천'으로 번역한 영향이다.


주석

  1. 신은 Deus보다는 한자 영(靈)에 더 가까운 개념이다. 때문에 과거에는 '성령'을 '성신'이라고 불렀다.
  2. 본래 천주는 불교에서 대자재천(시바)과 제석천(인드라)을 일컫던 말이었으나, 리치의 시대에는 불교적 색체가 빠져나가 '초월자'를 일컫던 말로 쓰였다.
  3. 조선 천주교회에서는 춘추시대의 고전 유학 경전에서 발견되는 '천'개념을 가톨릭과 연관지어서, "천주교는 유학의 기초와 모순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더 풍부한 이해를 돕는다"는 논지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유론'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