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교회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7번째 줄: 67번째 줄:


==한국의 정교회==
==한국의 정교회==
러시아 한인들의 이민 초기 1860년대 당시 러시아 제국의 국교 정교를 한인들이 자발적으로 받아 들이고 영세하기 시작하였다. 이윽고 1897년 러시아 황제 성 니콜라이 2세 (Николай II)의 윤허 아래 신성종무회의의 교령으로 러시아 정교회 조선선교회가 창립되어, 1900년 선교회 관리자 흐리산프 솃콥스키 (Хрисанф Щетковский) 대수도사제가 한국에 도착, 예배를 거행함으로서 우리나라에 정교회가 건립되었다. 셋콥스키 신부는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일본군에 의하여 한국에서 추방되어 선교가 일시 중단되었고, 전후 1906년 새 선교회장 파벨 이바놉스키 (Павел Ивановский) 대수도사제가 한국에 입국하여 재개되었다. 이바놉스키 신부는 1912년까지 남녀 도합 322명을 세례하고 최초의 조선인 성직자 요한 강탁(姜倬; 1911년 보제수품, 1912년 사제수품) 신부를 배출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1917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러시아 정교회가 공산당의 탄압 아래 놓이자 해외선교도 위기에 처하였고, 이에 따라 1923년 러시아 정교회 조선선교회는 러시아인 일본대주교 세르기 티호미로프 (Сергий Тихомиров)의 관할 하로 이관, 1924년 부동산를 포함한 재산을 일본정교회재단에 신탁등기함으로서 존속에 성공하였다.
러시아 한인들의 이민 초기 1860년대 당시 러시아 제국의 국교 정교를 한인들이 자발적으로 받아 들이고 영세하기 시작하였다. 이윽고 1897년 러시아 황제 성 니콜라이 2세 (Николай II)의 윤허 아래 신성종무회의의 교령으로 러시아 정교회 조선선교회가 창립되어, 1900년 선교회 관리자 흐리산프 솃콥스키 (Хрисанф Щетковский) 대수도사제가 한국에 도착, 예배를 거행함으로서 우리나라에 정교회가 건립되었다. 셋콥스키 신부는 1904년 러일전쟁으로 일본군에 의하여 한국에서 추방되어 선교가 일시 중단되었고, 전후 1906년 새 선교회장 파벨 이바놉스키 (Павел Ивановский) 대수도사제가 한국에 입국하여 재개되었다. 이바놉스키 신부는 1912년까지 남녀 도합 322명을 세례하고 최초의 조선인 성직자 요한 강탁(姜倬; 1911년 보제수품, 1912년 사제수품) 신부를 배출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1917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러시아 정교회가 공산당의 탄압 아래 놓이자 해외선교도 위기에 처하였고, 이에 따라 1923년 러시아 정교회 조선선교회는 러시아인 일본대주교 세르기 티호미로프 (Сергий Тихомиров)의 관할 하로 이관, 1924년 부동산를 포함한 재산을 일본정교회재단에 신탁등기함으로서 존속에 성공하였다.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패배로 종결되고 우리나라가 해방되었으나 승전국인 미국과 소련에 의하여 남북한이 분단되었고 그 과정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한국선교도 강제중단되었다. 1948~1949년 러시아 정교회 한국선교회장 폴리카르프 프리마크 (Поликарп Приймак) 대수도사제는 남한에서 추방되었고, 새로이 선교회를 관할한 한국인 알렉세이 김의한(金義漢) 사제는 1950년 한국전쟁기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에게 체포, 납북되었다. 이 때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그리스군 종군사제들이 한국의 정교회를 발견하고 납북된 알렉세이 김의한 신부 대신 보리스 문이춘 (Борис 文履春) 신부가 일본정교회에서 서품되는 것을 방조하는 등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1955년 12월 25일 한국인 신도총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로의 소속 이전을 결의하였고, 이듬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시나고라스 1세가 수락하였다.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패배로 종결되고 우리나라가 해방되었으나 승전국인 미국과 소련에 의하여 남북한이 분단되었고 그 과정에서 러시아 정교회의 한국선교도 강제중단되었다. 1948~1949년 러시아 정교회 한국선교회장 폴리카르프 프리마크 (Поликарп Приймак) 대수도사제는 남한에서 추방되었고, 새로이 선교회를 관할한 한국인 알렉세이 김의한(金義漢) 사제는 1950년 한국전쟁기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에게 체포, 납북되었다. 이 때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그리스군 종군사제들이 한국의 정교회를 발견하고 납북된 알렉세이 김의한 신부 대신 보리스 문이춘 (Борис 文履春) 신부가 일본정교회에서 서품되는 것을 방조하는 등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1955년 12월 25일 한국인 신도총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로의 소속 이전을 결의하였고, 이듬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시나고라스 1세가 수락하였다.  


러시아 정교회 시절부터 거점이었던 정동 부지를 1966년 매각하고 아현동으로 이사하여 그리스 양식의 성 니콜라오스 성당을 착공, 1968년 완공하였다. 1969년 보리스 문이춘 신부는 건강상의 이유로 주임사제직으로부터 은퇴하였고, 미국으로부터 파송된 유진  파파스(Eugene N. Pappas) 신부가 1973년까지 봉직하였다. 그리고 1975년 그리스로부터 파송된 대수도사제 소티리오스 트람바스(Σωτήριος Τράμπας)가 서울 성 니콜라스 성당 주임사제 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 정교동방선교회의 회장으로 부임하였다. 1981년 부산과 인천에서 성공회 성당을 빌려 성찬예배를 거행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부산에서는 개신교회 예배당을 구입해 성모희보성당으로 개조했으며, 인천에서는 1983년 새 부지를 구입해 성 바울로 성당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1986년에는  경기도 가평에 첫 수도원을, 1988년 강원도, 1990년 전주, 2003년 울산과 춘천에 사목구들을 건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총 영세자수는 3천여 명에 달하였다. 소티리오스 신부는 1993년 주교로 승품되었고, 2004년 4월 2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 한국관구가 형성되자 그 초대 관구장주교로 착좌하였다. 소티리오스 관구장주교는 2008년에 은퇴하였고, 그 후임으로 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Ἀμβρόσιος Ἀριστοτέλης Ζωγράφος)<ref>한국명 조성암.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어학과 교수이기도 하다!</ref>가 한국관구장주교좌에 착좌해 현재까지 봉직하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 시절부터 거점이었던 정동 부지를 1966년 매각하고 아현동으로 이사하여 그리스 양식의 성 니콜라오스 성당을 착공, 1968년 완공하였다. 1969년 보리스 문이춘 신부는 건강상의 이유로 주임사제직으로부터 은퇴하였고, 미국으로부터 파송된 유진  파파스(Eugene N. Pappas) 신부가 1973년까지 봉직하였다. 그리고 1975년 그리스로부터 파송된 대수도사제 소티리오스 트람바스(Σωτήριος Τράμπας)가 서울 성 니콜라스 성당 주임사제 겸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 정교동방선교회의 회장으로 부임하였다. 1981년 부산과 인천에서 성공회 성당을 빌려 성찬예배를 거행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부산에서는 개신교회 예배당을 구입해 성모희보성당으로 개조했으며, 인천에서는 1983년 새 부지를 구입해 성 바울로 성당을 건립하였다. 그리고 1986년에는  경기도 가평에 첫 수도원을, 1988년 강원도, 1990년 전주, 2003년 울산과 춘천에 사목구들을 건립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총 영세자수는 3천여 명에 달하였다. 소티리오스 신부는 1993년 주교로 승품되었고, 2004년 4월 2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교구 한국관구가 형성되자 그 초대 관구장주교로 착좌하였다. 소티리오스 관구장주교는 2008년에 은퇴하였고, 그 후임으로 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Ἀμβρόσιος Ἀριστοτέλης Ζωγράφος)<ref>한국명 조성암.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어학과 교수이기도 하다!</ref>가 한국관구장주교좌에 착좌해 현재까지 봉직하고 있다.  


한편 해외 러시아 정교회<ref>러시아 혁명 후 러시아 정교회는 소련 공산당에 대한 입장차이로 본국파와 해외파도 분열되었고 후자는 '해외 러시아 정교회'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라고 불린다. 2007년 양측은 재통합, 이후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본국의 모스크바 총대주교 산하의 자주관리교회로서 존속하고 있다.</ref>도 1994년부터 '한국 러시아 정교회'라고 불리는 자체의 대한선교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선교회는 현재 바울로 강영광 대사제가 관리하고 있다.
한편 해외 러시아 정교회<ref>러시아 혁명 후 러시아 정교회는 소련 공산당에 대한 입장차이로 본국파와 해외파도 분열되었고 후자는 '해외 러시아 정교회'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라고 불린다. 2007년 양측은 재통합, 이후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본국의 모스크바 총대주교 산하의 자주관리교회로서 존속하고 있다.</ref>도 1994년부터 '한국 러시아 정교회'라고 불리는 자체의 대한선교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선교회는 현재 바울로 강영광 대사제가 관리하고 있다.  


또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2006년 북한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평양에 성삼위일체 성당을 세웠다. 이 성당은 북한인들에게 '정백사원'이라고 불리며 하바롭스크 신학교에 유학한 2명의 북한인 사제들이 봉직하고 있으며, 초창기 소티리오스 주교가 이끄는 남한의 정교회로부터도 협력을 받았다. 2016년 10월 21일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의 결정으로 모스크바 총대주교 대리 세르기 차신(Сергий Чашин) 주교가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내 모스크바 총대교구 사목구군 관할자로 임명, 11월 20일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세르지오 대주교는 2017년 6월 15~18일 서울을 방문, 주대한민국 러시아 연방 대사 알렉산드르 티모닌(Александр Тимонин), 콘스탄티누폴리스 정교회 암브로시오스 한국관구장주교, 한국천주교회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장 이경호 베드로 주교, 박원순 서울시장 등을 예방하였다. 이리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대한민국에서의 선교를 재개할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또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2006년 북한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평양에 성삼위일체 성당을 세웠다. 이 성당은 북한인들에게 '정백사원'이라고 불리며 하바롭스크 신학교에 유학한 2명의 북한인 사제들이 봉직하고 있으며, 초창기 소티리오스 주교가 이끄는 남한의 정교회로부터도 협력을 받았다. 2016년 10월 21일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의 결정으로 모스크바 총대주교 대리 세르기 차신(Сергий Чашин) 주교가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내 모스크바 총대교구 사목구군 관할자로 임명, 11월 20일 대주교로 승품되었다. 세르지오 대주교는 2017년 6월 15~18일 서울을 방문, 주대한민국 러시아 연방 대사 알렉산드르 티모닌(Александр Тимонин), 콘스탄티누폴리스 정교회 암브로시오스 한국관구장주교, 한국천주교회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히지노 대주교, 대한성공회 서울교구장 이경호 베드로 주교, 박원순 서울시장 등을 예방하였다. 이리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대한민국에서의 선교를 재개할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