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범주성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혹은 '''자폐 범주성'''(自閉 帆柱性)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문제가 있거나 흥미의 범위가 좁은 등의 특징적 증상을 가지는 것을 얘기한다. 이 문서는 정도가 심각하여 [[발달장애]]로 인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다룬다.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혹은 '''자폐 범주성'''(自閉 帆柱性)은 [[발달장애]]의 일종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결함을 가지는 것을 얘기한다. 이 문서는 자폐의 정도가 심각하여 [[장애]]로 인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다룬다.


== 상세 ==
== 개요 ==
원래 DSM에서는<ref>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 발간하는 정신질환 진단에 관한 책이다.</ref>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비특이적 전반적 발달장애(PDD), [[레트 증후군]], 아동기 붕괴성 장애 5가지로 구분했었으나 [[레트 증후군]]은 정신질환이 아닌 X염색체 이상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전병]]임이 밝혀져 DSM-5에서 제외되었고, 나머지 4개의 진단명은 DSM-5에서 '''자폐스팩트럼(장애)'''으로 통합되었다.
원래 DSM에서는 자폐증, [[아스퍼거 증후군]], 비특이적 전반적 발달장애(PDD), [[레트 증후군]], 아동기 붕괴성 장애 5가지로 구분했었으나 [[레트 증후군]]은 정신질환이 아닌 X염색체 이상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유전병]]임이 밝혀져 DSM-5에서 제외되었고, 나머지 4개의 진단명은 DSM-5에서 '''자폐스팩트럼(장애)'''으로 통합되었다<ref>신석호, [https://autismkorea.kr/2014/bbs/board.php?bo_table=B30&wr_id=39&sca=%EC%9E%90%ED%8F%90%EC%84%B1%EC%9E%A5%EC%95%A0%EB%9E%80&page=1 새로이 발간되는 DSM-5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한국자폐인사랑협회, 2013.12.31.</ref>.


2018년 기준으로 한국 보건당국에 자폐성 장애인이 약 2만 6천명 가량 등록되어 있으며<ref>[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61_N001&conn_path=I2 전국 장애유형별,성별 등록장애인수], 보건복지부,「장애인현황」.</ref>, 당국은 등록되지 않은 10% 가량이 더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이 수치는 "중증"인 경우에 해당하며 의료기관들이 경증으로 분류한 자폐성 장애인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자폐 스펙트럼의 특징을 보이는 인구의 숫자는 더 많을 수 있다.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을지언정 사회생활에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는 이상 본인도 주변인도 알 수 없다. 비전형적([[자폐증]]이 아닌 경우) 자폐 스펙트럼에 속하는 경우 특히 더욱 그렇다. 일부 사람들은 자폐 스펙트럼을 의심하지만 검사 과정이 매우 오래 걸리고 비싸서 못 하는 경우도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한국 보건당국에 자폐성 장애인이 약 2만 6천명 가량 등록되어 있으며<ref>[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61_N001&conn_path=I2 전국 장애유형별,성별 등록장애인수], 보건복지부,「장애인현황」.</ref>, 당국은 등록되지 않은 10% 가량이 더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이 수치는 "중증"인 경우에 해당하며 의료기관들이 경증으로 분류한 자폐성 장애인이 없기 때문에 실제로 자폐 스펙트럼의 특징을 보이는 인구의 숫자는 더 많을 수 있다.


== 발생 원인 ==
== 발생 원인 ==
12번째 줄: 12번째 줄:


== 증상 ==
== 증상 ==
'자폐 스펙트럼'이라고 불리듯이 발병 형태가 너무나 다양해서 뚜렷한 범주를 형성하기 매우 어려우며 증상 또한 완벽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고기능'(일상생활이 비교적 쉬움), '저기능'(일상생활이 비교적 어려움)과 같은 라벨에는 큰 의미가 부여되지 않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ref>[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1362361319852831 The misnomer of ‘high functioning autism’: Intelligence is an imprecise predictor of functional abilities at diagnosis]</ref> 또한 아래 증상은 자폐인이 아니라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아래 증상 자료는 주의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  
'자폐 스펙트럼'이라고 불리듯이 발병 형태가 너무나 다양해서 뚜렷한 범주를 형성하기 매우 어려우며 증상 또한 완벽하게 특정하기는 어렵다. '고기능'(일상생활이 비교적 쉬움), '저기능'(일상생활이 비교적 어려움)과 같은 라벨에는 큰 의미가 부여되지 않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ref>[https://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1362361319852831 The misnomer of ‘high functioning autism’: Intelligence is an imprecise predictor of functional abilities at diagnosis]</ref> 또한 아래 증상은 자폐인이 아니라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아래 증상 자료는 주의해서 읽을 필요가 있다. 특히 아래 개별적 특징을 가졌다고 자폐성 장애로 [[자가진단|판단]]하는 건 본인에게나 타인에게나 [[차별|해]]가 된다.


자폐 범주성에 포함되는 경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난독증]], [[OCD]]와 같은 다른 발달장애를 함께 가지는 경우도 많다. 다른 증상과 자폐 범주성 증상을 혼동하지 않도록 역시 주의할 것.
자폐 범주성을 가진 경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같은 다른 발달장애를 함께 가지는 경우도 많다. 다른 증상과 자폐 범주성 증상을 혼동하지 않도록 역시 주의할 것.


=== 주요 증상 ===
* 상호교류의 어려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 상호교류의 어려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다만 행동이나 생각이 [[반사회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 시선을 피함
** 시선을 피함
** 자신만의 [[세계관]]과 [[문화]]의 존재
** 자신만의 세계관과 문화의 존재
** 특정한 관심사에 강한 열정  
** 특정한 관심사에 강한 열정
** 반복적인 자기 교정 행동<ref>서구 의학계 내에서 부정적인 시각의 입장과 국내 의학계의 입장에서는 지나친 과몰입 혹은 집착이라고 평한다.</ref>
** 반복적인 자기 교정 행동<ref>서구 의학계 내에서 부정적인 시각의 입장과 국내 의학계의 입장에서는 지나친 과몰입 혹은 집착이라고 평한다.</ref>
* 과민감 혹은 과소감각 ([[시각]], [[청각]], [[촉각]] 등): 자폐 스펙트럼에 속한 사람들 상당수는 청각, 후각, 청각, 촉각 등 감각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거나 부족한 경우가 있다.
* 과민감 혹은 과소감각 (시각, 청각, 촉각 등): 자폐 스펙트럼에 속한 사람들 상당수는 청각, 후각, 청각, 촉각 등 감각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거나 부족한 경우가 있다.


== 보조 ==
== 보조 ==
자폐증을 [[치료]]한다는 것에 대중들은 자폐증을 없앤다는 것으로 오인하는데 자폐증은 현재 의학기술로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며, 흔히 말하는 치료는 대중들이 생각하는 치료가 아닌 [[행동교정]]과 관련된 요법에 가깝다. 그러나 소위 "자폐적 행동"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강압적 치료 담론에 대해서도 여러 인권단체들과 진보주의자들의 비판이 상당하다.
자폐증을 [[치료]]한다는 것에 대중들은 자폐증을 없앤다는 것으로 오인하는데 자폐증은 현재 의학기술로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며, 흔히 말하는 치료는 대중들이 생각하는 치료가 아닌 [[행동교정]]과 관련된 요법에 가깝다. 그러나 소위 "자폐적 행동"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강압적 치료 담론에 대해서도 여러 인권단체들과 진보주의자<ref>더 가디언, 뉴욕타임스 등</ref>들의 비판이 상당하다.


또한 자폐를 "앓는다" 또는 "(자폐증) 환우"라고 표현하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자폐는 소위 걸리는 질병이나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게 아닌 선천적으로 자리잡고 있는<ref>[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making-sense-autistic-spectrum-disorders/201607/autism-epidemic-or-explosion-and-why-it-matters Autism: Epidemic or Explosion? (And Why It Matters)]</ref><ref>[https://www.spectrumnews.org/news/large-swedish-study-casts-doubt-on-autism-epidemic/ Large Swedish study casts doubt on autism ‘epidemic]</ref> 장애이기 때문이다. 보다 적절한 표현은 "-를 가지고 있다", "-에 속한다", "자폐인" 정도이다.
또한 자폐를 "앓는다" 또는 "(자폐증) 환우"라고 표현하는 것도 부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자폐는 소위 걸리는 질병이나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게 아닌 선천적으로 자리잡고 있는<ref>[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making-sense-autistic-spectrum-disorders/201607/autism-epidemic-or-explosion-and-why-it-matters Autism: Epidemic or Explosion? (And Why It Matters)]</ref><ref>[https://www.spectrumnews.org/news/large-swedish-study-casts-doubt-on-autism-epidemic/ Large Swedish study casts doubt on autism ‘epidemic]</ref> 장애이기 때문이다. 보다 적절한 표현은 "-를 가지고 있다", "-에 속한다", "자폐인" 정도이다.
* 행동치료
* 행동치료
*: 발달장애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문제행동을 하면 벌을 주는 것'을 하며 당근과 채찍의 법칙에 따라 문제행동을 하지 않거나 옳은 행동을 하면 당근을 주긴 한다. [[응용행동분석]]을 비롯해 몇가지 방법이 나와 있다.
*: 발달장애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문제행동을 하면 벌을 주는 것'을 하며 당근과 채찍의 법칙에 따라 문제행동을 하지 않거나 옳은 행동을 하면 당근을 주긴 한다. [[응용행동분석]]을 비롯해 몇가지 방법이 나와 있다.
* 약물치료
* 약물치료
*: 아동기~청소년기에 투약할 수 있는 약물 몇가지가 임상실험을 통과해 시판 중이다.
*: 아동기~청소년기에 투약할 수 있는 약물 몇가지가 임상실험을 통과해 시판 중이다.
36번째 줄: 37번째 줄:


[[자폐 권리 운동|자폐 관련 인권단체]]에서는 이러한 강압적 교정/치료을 반대한다. 치료시 원칙적으로는 행동치료사-본인-부모가 협의를 한다지만 실상은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되더라도 당사자의 목소리가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자폐 권리 운동|자폐 관련 인권단체]]에서는 이러한 강압적 교정/치료을 반대한다. 치료시 원칙적으로는 행동치료사-본인-부모가 협의를 한다지만 실상은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되더라도 당사자의 목소리가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 자폐 범주성에 속하는 인물 ==
* [[그레타 툰베리]]
* [[요네즈 켄시]]
* 템플 그랜딘(Temple Grandin) - 미국의 동물학자. 그가 개발한 가축시설은 미국 농장의 60%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46번째 줄: 42번째 줄:
* [[자폐증]]
* [[자폐증]]
* [[아스퍼거 증후군]]
* [[아스퍼거 증후군]]
* [[카산드라 증후군]]
* [[신경다양성]]
* [[신경다양성]]
* [[자폐증 암흑망]] - 자폐인들에 강압적 치료를 옹호하고, 자폐인들에 대한 차별/혐오에 기반한 세력을 지칭하는 신조어.
* [[존경성 정치]]
 
* [[자폐증 암흑망]] - 자폐인들에 강압적 치료를 옹호하고, 자폐인들에 대한 차별/혐오에 기반한 극우 세력을 가리키는 표현.
== 외부 참조 ==
* [[wikipedia:en:Autism spectrum|Autism spectrum]] - [[영어 위키백과]]


== 외부 링크 ==
* [[RationalWiki]] - [https://rationalwiki.org/wiki/Autism Autism] 문서
* 영어 위키백과 - [https://en.wikipedia.org/wiki/Autism_spectrum Autism spectrum] 문서
{{각주}}
{{각주}}
[[분류:자폐]]
[[분류:자폐|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