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tack of 100 dollar bills.jpg|thumb|right|thumb|자본주의의 상징 [[미국 달러]]]]
[[파일:240px-VegasBitch198.jpg|thumb|right|thumb|자본주의의 상징 [[미국 달러]]]]
'''자본주의'''(資本主義, {{영어|Capitalism}})는 [[재화]]의 [[재산권|사적 소유권]]을 [[사회]] 구성원의 양도 불가능한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ref>Screms, John (2004). Understanding Principles of Politics and the State. PageFree Publishing, 234. </ref> 또는,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로 정의하기도 한다.<ref>민중국어사전 </ref>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하는 것<ref>Obrinsky, Mark (1983). Profit Theory and Capital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
'''자본주의'''(資本主義, {{llang|en|Capitalism}})는 [[재화]]의 [[재산권|사적 소유권]]을 [[사회]] 구성원의 양도 불가능한 [[기본권]]으로 인정하는 [[사회 구성체]]이다.<ref>Screms, John (2004). Understanding Principles of Politics and the State. PageFree Publishing, 234. </ref> 또는, 생산 수단을 가진 자본가 및 기업가 계급이 그 이익 추구를 위해 생산 활동을 하도록 보장하는 사회 경제 체제로 정의하기도 한다.<ref>민중국어사전 </ref> 재화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인정은 곧바로 재화의 매매, 양도, 소비 및 [[이윤]]의 처분 등에 대한 결정을 [[개인]]에게 일임하는 것<ref>Obrinsky, Mark (1983). Profit Theory and Capital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
</ref> 이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사적 소유권을 기반으로한 [[경제 체제]]이기도 하다.<ref>사적 소유권은 개인의 소유권과 [[법인]]의 소유권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ref>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ref> 이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사적 소유권을 기반으로한 [[경제 체제]]이기도 하다.<ref>사적 소유권은 개인의 소유권과 [[법인]]의 소유권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ref> 자본주의 경제 체계에서는 [[상품]] 또는 [[용역]]의 [[가격]], [[투자]], [[분배]] 등이 주로 [[시장 경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42번째 줄: 42번째 줄:


=== 독일 역사학파 및 오스트리아 학파 ===
=== 독일 역사학파 및 오스트리아 학파 ===
{{참고|역사학파|오스트리아 학파}}
{{참조|역사학파|오스트리아 학파}}
[[파일:Ddf.jpg|thumb|루트비히 폰 미제스]]
[[파일:Ddf.jpg|thumb|루트비히 폰 미제스]]
독일의 [[역사학파]]의 관점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시장 (경제)|시장]]을 위한 생산 체계이다. 이들의 주장은 여러면에서 베버와 비슷한 측면이 있으나 [[시장 (경제)|시장]]과 [[화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ref>Burnham, Peter (2003). Capitalism: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ref> 독일 역사학파는 자본주의의 형성을 본질적으로 화폐와 신용에 대한 제한이 있던 중세의 전통적 경제활동에서 근대 [[금융]] 체계로 변화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여러 복잡한 경로를 거치며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 이윤 추구를 지적한다.
독일의 [[역사학파]]의 관점에 따르면 자본주의는 본질적으로 [[시장 (경제)|시장]]을 위한 생산 체계이다. 이들의 주장은 여러면에서 베버와 비슷한 측면이 있으나 [[시장 (경제)|시장]]과 [[화폐]]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ref>Burnham, Peter (2003). Capitalism: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ref> 독일 역사학파는 자본주의의 형성을 본질적으로 화폐와 신용에 대한 제한이 있던 중세의 전통적 경제활동에서 근대 [[금융]] 체계로 변화하는 과정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여러 복잡한 경로를 거치며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으로 이윤 추구를 지적한다.
59번째 줄: 59번째 줄:


=== 신고전경제학과 시카고 학파 ===
=== 신고전경제학과 시카고 학파 ===
{{참고|신고전경제학|시카고 학파}}
{{참조|신고전경제학|시카고 학파}}
21세기의 경제학 이론 가운데 [[신고전경제학]]이 미국을 중심으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은 소유권의 유지에 촛점을 두고 비교적 중립적인 형태를 보이는 정부 시책과 광범위한 시장 조정을 선호하며, [[노동 시장]] 유연화, 대주주에 의한 기업 지배, 정부 금융보다는 [[자본 시장]]에 기반을 둔 자금 운용 등을 제안한다.
21세기의 경제학 이론 가운데 [[신고전경제학]]이 미국을 중심으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은 소유권의 유지에 촛점을 두고 비교적 중립적인 형태를 보이는 정부 시책과 광범위한 시장 조정을 선호하며, [[노동 시장]] 유연화, 대주주에 의한 기업 지배, 정부 금융보다는 [[자본 시장]]에 기반을 둔 자금 운용 등을 제안한다.


81번째 줄: 81번째 줄:
=== 산업혁명 ===
=== 산업혁명 ===
{{본문|산업혁명}}
{{본문|산업혁명}}
산업혁명(産業革命, {{영어|Industrial Revolution}})은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이로 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혁을 일컫는다. 산업혁명은 후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세계를 크게 바꾸어 놓게 된다.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아놀드 토인비]]가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산업혁명(産業革命, {{llang|en|Industrial Revolution}})은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이로 인해 일어난 사회, 경제 등의 큰 변혁을 일컫는다. 산업혁명은 후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세계를 크게 바꾸어 놓게 된다.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아놀드 토인비]]가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자본주의 ===
===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자본주의 ===
88번째 줄: 88번째 줄:
=== 대공황 ===
=== 대공황 ===
{{본문|대공황}}
{{본문|대공황}}
대공황(大恐慌, {{영어|the Great Depression, the Great Slump}})은 1928년부터 일부 국가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의 대폭락에 의한 이른바 검은 목요일에 의하여 촉발되어 세계로 확대된 전 세계적 공황을 의미한다. 이로 인하여 기업들의 도산, 대량 실업, 디플레이션 등이 초래되었다. 개별 국가경제가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고, 자본의 흐름도 자유로웠기 때문에 공황은 세계적 규모로 짧은 시간 내에 확대된 반면, 시장을 통제할 수 있는 규제는 그 당시 아직 발전되어 있지 못하여 피해의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세계자본주의는 대공황에 의하여 1920년대의 황금기가 종언을 고하였다.
대공황(大恐慌, {{llang|en|the Great Depression, the Great Slump}})은 1928년부터 일부 국가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의 대폭락에 의한 이른바 검은 목요일에 의하여 촉발되어 세계로 확대된 전 세계적 공황을 의미한다. 이로 인하여 기업들의 도산, 대량 실업, 디플레이션 등이 초래되었다. 개별 국가경제가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고, 자본의 흐름도 자유로웠기 때문에 공황은 세계적 규모로 짧은 시간 내에 확대된 반면, 시장을 통제할 수 있는 규제는 그 당시 아직 발전되어 있지 못하여 피해의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세계자본주의는 대공황에 의하여 1920년대의 황금기가 종언을 고하였다.


=== 수정자본주의 ===
=== 수정자본주의 ===
101번째 줄: 101번째 줄:
* [[반자본주의]]
* [[반자본주의]]
** [[공산주의]]
** [[공산주의]]
** [[극단적 전통주의]](너무 극단인 나머지 근현대적 자본주의에 반한다.)
* [[아나코 캐피탈리즘]]([[아나키즘|무정부]] 자본주의)
* [[아나코 캐피탈리즘]]([[아나키즘|무정부]] 자본주의)
* [[도시사회주의]]
* [[도시사회주의]]
107번째 줄: 106번째 줄:
* [[신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막스 베버]]
* [[막스 베버]]
** [[천민 자본주의]]({{독일어|Paria-Kapitalismus}}, {{영어|pariah capitalism}})
** [[천민 자본주의]]({{llang|de|Paria-Kapitalismus}}, {{llang|en|pariah capitalism}})
* [[경제민주화]]([[wikipedia:Economic democracy]])
* [[경제민주화]]([[wikipedia:Economic democracy]])
* [[사회적 기업]]
* [[사회적 기업]]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3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