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벌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Drone SC2 Art2.jpg]]  
[[File:Drone_SC2_Art2.jpg]]  


== 소개 ==  
== 소개 ==  
{{대사|'''엘더스타인(Eldersthine) 행성의 야생 가쉬르 말벌은 원래 자원 수집을 담당하기 위해 저그에 편입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말벌은 애벌레의 능력을 전수받아 일벌레(Drone)로 진화하였다. 일벌레는 [[애벌레 (스타크래프트)|애벌레]]처럼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변경하여 초기 형태의 저그 건물로 변신할 수 있다. 변신하려는 일벌레는 그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질을 공급받기 위해 반드시 점막 위에 있어야 한다. 애벌레와 마찬가지로 일벌레 역시 [[대군주 (스타크래프트)|대군주]]의 지배를 받는다. 대군주는 일종의 텔레파시로 일벌레의 성장을 관찰한다. 일벌레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도중에도 묵묵히 자신의 일에만 몰두할 정도로 그 성질이 단순하다.'''}}
{{대사|'''엘더스타인(Eldersthine) 행성의 야생 가쉬르 말벌은 원래 자원 수집을 담당하기 위해 저그에 편입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말벌은 애벌레의 능력을 전수받아 일벌레(Drone)로 진화하였다. 일벌레는 [[애벌레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처럼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변경하여 초기 형태의 저그 건물로 변신할 수 있다. 변신하려는 일벌레는 그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질을 공급받기 위해 반드시 점막 위에 있어야 한다. 애벌레와 마찬가지로 일벌레 역시 [[대군주(스타크래프트)|대군주]]의 지배를 받는다. 대군주는 일종의 텔레파시로 일벌레의 성장을 관찰한다. 일벌레는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도중에도 묵묵히 자신의 일에만 몰두할 정도로 그 성질이 단순하다.'''}}  


Drone  
Drone  
9번째 줄: 9번째 줄:


== [[스타크래프트]] ==  
==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저그 유닛}}
{{스타크래프트 저그 유닛}}  


=== 성능 ===  
=== 성능 ===  
17번째 줄: 17번째 줄:
| 그림        =  
| 그림        =  
| 그림 설명  =  
| 그림 설명  =  
<!-- 기본 정보 -->
| 영어명    = Drone
| 영어명    = Drone
| 종족    = [[저그]]
| 종족    = [[저그]]
44번째 줄: 45번째 줄:
| 추가 대미지    =
| 추가 대미지    =
<!-- 생산 정보 -->
<!-- 생산 정보 -->
| 생산 건물    = [[부화장|해처리]]<br />[[번식지|레어]]<br />[[군락|하이브]]
| 생산 건물    = [[부화장|해처리]]<br>[[번식지|레어]]<br>[[군락|하이브]]
| 요구 건물    =
| 요구 건물    =
| 미네랄    = 50
| 미네랄    = 50
52번째 줄: 53번째 줄:
| 단축키    = D
| 단축키    = D
<!-- 스킬 -->
<!-- 스킬 -->
| 기본 스킬    = 건물 변이<br />자원 채취
| 기본 스킬    = 건물 변이<br>자원 채취
| 부가 스킬    = 버로우
| 부가 스킬    = 버로우
}}
}}  


저그의 일꾼 유닛. 타 종족의 일꾼과 다른점은 건물을 지으면 드론 자체가 건물로 변이하여 일꾼 하나가 사라지고 보급품이 1 반환된다. 따라서 이런 매커니즘을 이용해 드론을 9기까지 생산하고 가스 익스트렉터를 건설한 뒤, 남는 라바를 드론으로 생산하고 건설중이던 익스트렉터를 취소해 10기의 드론을 굴리는 10드론 전술이 보편적이다. 물론 초반 주어진 4마리의 드론으로 자원으르 채취하다 스포닝 풀이 건설되는 자원이 모이면 건설하는 4드론, 5드론같은 초반 올인성 전략도 가능하다.
저그의 일꾼 유닛. 타 종족의 일꾼과 다른점은 건물을 지으면 드론 자체가 건물로 변이하여 일꾼 하나가 사라지고 보급품이 1 반환된다. 따라서 이런 매커니즘을 이용해 드론을 9기까지 생산하고 가스 익스트렉터를 건설한 뒤, 남는 라바를 드론으로 생산하고 건설중이던 익스트렉터를 취소해 10기의 드론을 굴리는 10드론 전술이 보편적이다. 물론 초반 주어진 4마리의 드론으로 자원으르 채취하다 스포닝 풀이 건설되는 자원이 모이면 건설하는 4드론, 5드론같은 초반 올인성 전략도 가능하다.  


저그 유저는 드론의 숫자를 시경써서 관리해야 한다. 타 종족이 생산 건물을 늘려서 공격 유닛을 쑥쑥 뽑아도 저그는 멀티를 많이 가져가 해처리 숫자를 늘리는 타이밍 이전에는 많아야 해처리 2~3개를 돌리기에 드론을 뽑으면 그만큼 공격 유닛을 뽑을 라바가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저그 유저는 드론의 숫자를 시경써서 관리해야 한다. 타 종족이 생산 건물을 늘려서 공격 유닛을 쑥쑥 뽑아도 저그는 멀티를 많이 가져가 해처리 숫자를 늘리는 타이밍 이전에는 많아야 해처리 2~3개를 돌리기에 드론을 뽑으면 그만큼 공격 유닛을 뽑을 라바가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67번째 줄: 68번째 줄:
* 건물 건설
* 건물 건설
: 단축키 B, 기본 건물을 건설한다. 저그의 경우 건물을 하나 건설하면 드론 하나가 소모되므로 타 종족보다 일꾼 숫자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해처리만 있는 상태에서 건설 가능한 건물은 익스트렉터, 스포닝 풀, 크립 콜로니이다.
: 단축키 B, 기본 건물을 건설한다. 저그의 경우 건물을 하나 건설하면 드론 하나가 소모되므로 타 종족보다 일꾼 숫자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해처리만 있는 상태에서 건설 가능한 건물은 익스트렉터, 스포닝 풀, 크립 콜로니이다.
* 고급 건물 건설
* 고급 건물 건설
: 단축키 V, 고급 건물을 건설한다. 고급 건물은 레어가 필수적이고, 하이브 테크 건물까지 포함한다.
: 단축키 V, 고급 건물을 건설한다. 고급 건물은 레어가 필수적이고, 하이브 테크 건물까지 포함한다.
* 자원 채취
* 자원 채취
: 단축키 G, 미네랄이나 가스를 채취한다. 가스 채취를 위해서는 익스트렉터가 건설되어야 한다.
: 단축키 G, 미네랄이나 가스를 채취한다. 가스 채취를 위해서는 익스트렉터가 건설되어야 한다.
112번째 줄: 115번째 줄:
{{스타크래프트 2 저그 유닛}}
{{스타크래프트 2 저그 유닛}}


[[파일:SC2 Zerg Drone.png]]  
[[File:SC2 Zerg Drone.png]]  


[[파일:SC2 Zerg Drone Portrait.png]]  
[[File:SC2 Zerg Drone Portrait.png]]  


=== 성능 ===  
=== 성능 ===  
122번째 줄: 125번째 줄:
| 그림        =  
| 그림        =  
| 그림 설명  =  
| 그림 설명  =  
<!-- 기본 정보 -->
| 영어명    = Drone
| 영어명    = Drone
| 종족    = [[저그]]
| 종족    = [[저그]]
149번째 줄: 153번째 줄:
| 추가 대미지    =
| 추가 대미지    =
<!-- 생산 정보 -->
<!-- 생산 정보 -->
| 생산 건물    = [[부화장]]<br />[[번식지]]<br />[[군락]]
| 생산 건물    = [[부화장]]<br>[[번식지]]<br>[[군락]]
| 요구 건물    =
| 요구 건물    =
| 미네랄    = 50
| 미네랄    = 50
157번째 줄: 161번째 줄:
| 단축키    = D
| 단축키    = D
<!-- 스킬 -->
<!-- 스킬 -->
| 기본 스킬    = 건물 변이<br />자원 채취
| 기본 스킬    = 건물 변이<br>자원 채취
| 부가 스킬    = 잠복
| 부가 스킬    = 잠복
}}
}}  


전작과 큰 차이점은 없다. 하지만 스타 2에서 자원 채취 방식이 변화해서 가스 추출장을 2개 건설하는 게 보편적이고, 전작처럼 광물 채집 효율이 높았던 특징이 사라지고 최대한 많은 일벌레를 광물에 붙여주는 게 효율성이 높게 변화했다. 즉 그렇지않아도 일꾼 생산하면 유닛 생산에 차질에 생기는 저그의 특성상 더더욱 일벌레 숫자 관리가 중요하게 변했다.
전작과 큰 차이점은 없다. 하지만 스타 2에서 자원 채취 방식이 변화해서 가스 추출장을 2개 건설하는 게 보편적이고, 전작처럼 광물 채집 효율이 높았던 특징이 사라지고 최대한 많은 일벌레를 광물에 붙여주는 게 효율성이 높게 변화했다. 즉 그렇지않아도 일꾼 생산하면 유닛 생산에 차질에 생기는 저그의 특성상 더더욱 일벌레 숫자 관리가 중요하게 변했다.
170번째 줄: 174번째 줄:
* 건물 건설
* 건물 건설
: 단축키 B, 기본 건물을 건설한다. 저그의 경우 건물을 하나 건설하면 드론 하나가 소모되므로 타 종족보다 일꾼 숫자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해처리만 있는 상태에서 건설 가능한 건물은 익스트렉터, 스포닝 풀, 크립 콜로니이다.
: 단축키 B, 기본 건물을 건설한다. 저그의 경우 건물을 하나 건설하면 드론 하나가 소모되므로 타 종족보다 일꾼 숫자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해처리만 있는 상태에서 건설 가능한 건물은 익스트렉터, 스포닝 풀, 크립 콜로니이다.
* 고급 건물 건설
* 고급 건물 건설
: 단축키 V, 고급 건물을 건설한다. 고급 건물은 레어가 필수적이고, 하이브 테크 건물까지 포함한다.
: 단축키 V, 고급 건물을 건설한다. 고급 건물은 레어가 필수적이고, 하이브 테크 건물까지 포함한다.
* 자원 채취
* 자원 채취
: 단축키 G, 미네랄이나 가스를 채취한다. 가스 채취를 위해서는 익스트렉터가 건설되어야 한다.
: 단축키 G, 미네랄이나 가스를 채취한다. 가스 채취를 위해서는 익스트렉터가 건설되어야 한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