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나라: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원'''(元)은 [[1260년]]부터 [[1368년]]까지 [[중국]]에 존재하던 [[나라|국가]]이다. [[몽골족]]이 지배하였으며 수도는 [[대도]]이다.
{{중국 통일 왕조}}
 
'''원'''(元)은 [[몽골제국]]이 분열된 후에 나온 여러 제국들의 하나로 [[1260년]]부터 [[1368년]]까지 [[중국]]에 존재했다. 수도는 [[대도]](大都)이다.


== 역사 ==
== 역사 ==
몽골 귀족들은 전형적인 유목민식 귀족 정치를 했다. 그들은 타국 귀족과 결탁하기도 했다. 그들은 농경민으로부터 체계적인 행정을 배워서 고려에까지 호구 조사를 요청하는 등 체계적인 착취 시도를 했다. 원나라는 자신들에게 투항한 고려와 금, 남송의 귀족 및 군벌들에게 원 국토의 3분의 1을 영지로 하사하고 자신들도 건들 수 없는 징세권과 징병권을 주고 자치를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임명된 귀족들이 사람을 마음대로 죽여도 죄를 묻지 않을 정도<ref>그래서 이런 귀족들은 의외로 원나라에 충성했다. 권문세족만 해도 무려 4차례나 입성책동 소동을 일으켜 고려를 완전히 원나라에 바치려고 했었다. 충선왕은 심왕이 된 후 아예 고려에 귀국하지 않고 원나라인들과 고려를 통치하다 실수를 하여 티베트에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ref><ref>고려에서도 원나라 장수인 타자알, 송만호 등이 별 이유없이 백성들을 노획하기도 했다. 고려 정부가 이것을 원나라 정부에 보고하자 소인배라고 까기도 한다.</ref>였다. 그들은 백성들을 상관하지 않고 황금씨족에 아부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백성들을 수탈하기도 했다. 그래서 비슷한 수준이던 유목민이 아닌 농경민들은 반원 감정을 가지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몽골 제국의 통치가 꼭 부정적으로만은 볼 수 없다고 박노자 교수가 주장하기도 했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hyh45&logNo=20122042254 #]
몽골 귀족들은 전형적인 유목민식 귀족 정치를 했다. 그들은 타국 귀족과 결탁하기도 했다. 그들은 농경민으로부터 체계적인 행정을 배워서 고려에까지 호구 조사를 요청하는 등 체계적인 착취 시도를 했다. 원나라는 자신들에게 투항한 고려와 금, 남송의 귀족 및 군벌들에게 원 국토의 3분의 1을 영지로 하사하고 자신들도 건들 수 없는 징세권과 징병권을 주고 자치를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임명된 귀족들이 사람을 마음대로 죽여도 죄를 묻지 않을 정도<ref>그래서 이런 귀족들은 의외로 원나라에 충성했다. 권문세족만 해도 무려 4차례나 입성책동 소동을 일으켜 고려를 완전히 원나라에 바치려고 했었다. 충선왕은 심왕이 된 후 아예 고려에 귀국하지 않고 원나라인들과 고려를 통치하다 실수를 하여 티베트에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ref><ref>고려에서도 원나라 장수인 타자알, 송만호 등이 별 이유없이 백성들을 노획하기도 했다. 고려 정부가 이것을 원나라 정부에 보고하자 소인배라고 까기도 한다.</ref>였다. 그들은 백성들을 상관하지 않고 황금씨족에 아부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백성들을 수탈하기도 했다. 그래서 비슷한 수준이던 유목민이 아닌 농경민들은 반원 감정을 가지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몽골 제국의 통치가 꼭 부정적으로만은 볼 수 없다고 박노자 교수가 주장하기도 했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ohyh45&logNo=20122042254 #]
== 관련 항목 ==
* [[몽골제국]]


{{각주}}
{{각주}}
[[분류:원나라| ]]
[[분류:원나라| ]]

2022년 6월 24일 (금) 10:42 기준 최신판

(元)은 몽골제국이 분열된 후에 나온 여러 제국들의 하나로 1260년부터 1368년까지 중국에 존재했다. 수도는 대도(大都)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몽골 귀족들은 전형적인 유목민식 귀족 정치를 했다. 그들은 타국 귀족과 결탁하기도 했다. 그들은 농경민으로부터 체계적인 행정을 배워서 고려에까지 호구 조사를 요청하는 등 체계적인 착취 시도를 했다. 원나라는 자신들에게 투항한 고려와 금, 남송의 귀족 및 군벌들에게 원 국토의 3분의 1을 영지로 하사하고 자신들도 건들 수 없는 징세권과 징병권을 주고 자치를 실시하도록 하였는데, 임명된 귀족들이 사람을 마음대로 죽여도 죄를 묻지 않을 정도[1][2]였다. 그들은 백성들을 상관하지 않고 황금씨족에 아부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백성들을 수탈하기도 했다. 그래서 비슷한 수준이던 유목민이 아닌 농경민들은 반원 감정을 가지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몽골 제국의 통치가 꼭 부정적으로만은 볼 수 없다고 박노자 교수가 주장하기도 했다.#

관련 항목[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그래서 이런 귀족들은 의외로 원나라에 충성했다. 권문세족만 해도 무려 4차례나 입성책동 소동을 일으켜 고려를 완전히 원나라에 바치려고 했었다. 충선왕은 심왕이 된 후 아예 고려에 귀국하지 않고 원나라인들과 고려를 통치하다 실수를 하여 티베트에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2. 고려에서도 원나라 장수인 타자알, 송만호 등이 별 이유없이 백성들을 노획하기도 했다. 고려 정부가 이것을 원나라 정부에 보고하자 소인배라고 까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