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7번째 줄: 107번째 줄:
;아키카와 야요이 (秋川 やよい)
;아키카와 야요이 (秋川 やよい)
:{{배지|성우}} [[미즈하시 카오리]]
:{{배지|성우}} [[미즈하시 카오리]]
:트레센 학원의 이사장. 어린 소녀의 모습이지만 언동이 호쾌하다. 2음절 한자어로 현재 심정을 강조하는 특유의 말투가 있다.
:트레센 학원의 이사장. 어린 소녀의 모습이지만 언동이 호쾌하다.
 
;카시모토 리코 (樫本 理子)
:{{배지|성우}} [[박로미]]
:트레센 학원의 이사장 대리.


== 용어 ==
== 용어 ==
126번째 줄: 122번째 줄:
:{{배지|정식 명칭}} '''일본 우마무스메 트레이닝 센터 학원''' (日本ウマ娘トレーニングセンター学園)
:{{배지|정식 명칭}} '''일본 우마무스메 트레이닝 센터 학원''' (日本ウマ娘トレーニングセンター学園)
:극중의 주무대가 되는 학원. 일본 [[도쿄도]] [[후초시]]에 위치한 전원 기숙사제 학원으로, 트윙클 시리즈 데뷔를 꿈꾸는 우마무스메들이 통학한다. 일본의 우마무스메 훈련 시설 중에서는 가장 크고 시설도 좋다.
:극중의 주무대가 되는 학원. 일본 [[도쿄도]] [[후초시]]에 위치한 전원 기숙사제 학원으로, 트윙클 시리즈 데뷔를 꿈꾸는 우마무스메들이 통학한다. 일본의 우마무스메 훈련 시설 중에서는 가장 크고 시설도 좋다.
;권총 존
:한 팬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311994 인공지능으로 2차 창작 소설을 쓴 내용]에서 스페셜 위크가 뜬금없이 존이라는 애칭을 붙인 권총을 가방 안에 집어넣는 [[병맛]]스러운 줄거리가 퍼지면서 유래된 용어.


== 게임플레이 ==
== 게임플레이 ==
{{빈 문단}}
{{빈 문단}}
=== 속어 ===
;철의 의지, 강철 같은 의지 (鋼の意志)
:레이스 초반에 앞이 막혔을 때 강한 의지를 품고 지구력을 회복하는 스킬. 키류인 아오이 서포트 카드로 습득할 수 있다. 초반에 스태미너가 소모되지 않아서 발동되어도 회복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없는 스킬 취급을 받는다. 2차 창작에서는 키류인 아오이가 철의 의지 습득 강매꾼으로 왜곡되기도 한다.
;권총 존
:한 팬의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311994 인공지능으로 2차 창작 소설을 쓴 내용]에서 스페셜 위크가 뜬금없이 존이라는 애칭을 붙인 권총을 가방 안에 집어넣는 [[병맛]]스러운 줄거리가 퍼지면서 유래된 용어. 마지막에 스페셜 위크의 미래를 암시하는 기발한 묘사법은 소설가 지망생들이 참고할 만한 명문이 되었다.
;맥퀴Eㄴ (マックEーン)
:메지로 맥퀸 육성의 통곡의 벽. 실수로 E등급을 달성하는 빈도가 높은 우마무스메라서 생긴 별명. 영미권 팬층이 잘 모르는 밈이다. 빠른 일일퀘스트 완료용으로 육성된다. 트레이너들에 의해 맥퀴Eㄴ 중 천하제일의 맥퀴Eㄴ을 가리는 비공식 개그 대회가 열리기도 하였으며 맥퀴Eㄴ를 누가 가장 빨리 육성하는지 스피드런(RTA) 영상이 올라오기도 하였다. 이름 개그를 위해 장잉정신을 발휘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MfW9ndsLtFQ 메E쇼 도토, F지 키세키, Gㅗㄹ드 쉽, 카레Eㄴ짱, 마루젠스키E] 등으로 키운 우마무스메들과 누가 1착에 도달하는지 경기를 짜기도 한다.
;존재하지 않는 기억 (存在しない記憶)
:만화 《[[주술회전]]》에서 유래된 밈 용어. 1차 pv의 초기 설정이었다가 사라진 것을 의미한다. 우마무스메들의 설정 변경을 놀리는 2차 창작에 많이 붙는 밈 태그.


== 주제가 ==
== 주제가 ==
147번째 줄: 133번째 줄:


* 이미지 송 『'''[[우마뾰이 전설]]'''』 (うまぴょい伝説)
* 이미지 송 『'''[[우마뾰이 전설]]'''』 (うまぴょい伝説)
** {{배지|노래}} 타이키 셔틀 (CV. [[오츠보 유카]]), 그래스 원더 (CV. [[마에다 레나]]), 히시 아마존 (CV. [[타츠미 유이코]])<ref>2016년 3월 26일자 프로모션 무비 버전.</ref> 외
** {{배지|노래}} 타이키 셔틀 ([[오츠보 유카]]), 그래스 원더 ([[마에다 레나]]), 히시 아마존 ([[타츠미 유이코]])<ref>2016년 3월 26일자 프로모션 무비 버전.</ref> 외
** {{배지|작사ㆍ작곡}} 혼다 아키히로 (Cygames)
** {{배지|작사ㆍ작곡}} 혼다 아키히로 (Cygames)
** 2016년에 공개된 첫 프로모션 무비 이후로 TV 애니메이션 제1기의 엔딩 테마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 2016년에 공개된 첫 프로모션 무비 이후로 TV 애니메이션 제1기의 엔딩 테마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었다.
154번째 줄: 140번째 줄:


* 게임 오프닝 테마 『'''GIRLS' LEGEND U'''』
* 게임 오프닝 테마 『'''GIRLS' LEGEND U'''』
** {{배지|노래}} 스페셜 위크 (CV. [[와키 이즈미]]), 사일런스 스즈카 (CV. [[코노 마리카]]), 토카이 테이오 (CV. [[Machico]]), 마루젠스키 (CV. [[Lynn]]), 오구리 캡 (CV. [[타카야나기 토모요]]), 골드 십 (CV. [[우에다 히토미]]), 보드카 (CV. [[오하시 아야카]]), 다이와 스칼렛 (CV. [[키무라 치사]]), 타이키 셔틀 (CV. [[오츠보 유카]]), 그래스 원더 (CV. [[마에다 레나]]), 메지로 맥퀸 (CV. [[오니시 사오리]]), 엘 콘도르 파사 (CV. [[타카하시 미나미]]), [[심벌리 루돌프]] (CV. [[타도코로 아즈사]]), 에어 그루브 (CV. [[아오키 루리코]]), 마야노 탑건 (CV. [[호시타니 미오]]), 메지로 라이언 (CV. [[하시 아후미]]), 라이스 샤워 (CV. [[이와미 마나카]]), 아그네스 타키온 (CV. [[우에사카 스미레]]), 위닝 티켓 (CV. [[와타나베 유이]]), 사쿠라 바쿠신 오 (CV. [[미사와 사치카]]), 슈퍼 크리크 (CV. [[유우키 카나]]), 하루우라라 (CV. [[슈토 유키나]]),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CV. [[닛타 히요리]]), 나이스 네이처 (CV. [[마에다 카오리]]), 킹 헤일로 (CV. [[사에키 이오리]])
** {{배지|노래}} 스페셜 위크 ([[와키 이즈미]]), 사일런스 스즈카 ([[코노 마리카]]), 토카이 테이오 ([[Machico]]), 마루젠스키 ([[Lynn]]), 오구리 캡 ([[타카야나기 토모요]]), 골드 십 ([[우에다 히토미]]), 보드카 ([[오오하시 아야카]]), 다이와 스칼렛 ([[키무라 치사]]), 타이키 셔틀 ([[오츠보 유카]]), 그래스 원더 ([[마에다 레나]]), 메지로 맥퀸 ([[오니시 사오리]]), 엘 콘도르 파사 ([[타카하시 미나미]]), [[심벌리 루돌프]] ([[타도코로 아즈사]]), 에어 그루브 ([[아오키 루리코]]), 마야노 탑건 ([[호시타니 미오]]), 메지로 라이언 ([[하시 아후미]]), 라이스 샤워 ([[이와미 마나카]]), 아그네스 타키온 ([[우에사카 스미레]]), 위닝 티켓 ([[와타나베 유이]]), 사쿠라 바쿠신 오 ([[미사와 사치카]]), 슈퍼 크리크 ([[유우키 카나]]), 하루우라라 ([[슈토 유키나]]),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닛타 히요리]]), 나이스 네이처 ([[마에다 카오리]]), 킹 헤일로 ([[사에키 이오리]])
** {{배지|작사}} 이가라시 모에 (Cygames) {{배지|작곡}} 혼다 아키히로 (Cygames) {{배지|편곡}} 히가시오지 켄타
** {{배지|작사}} 이가라시 모에 (Cygames) {{배지|작곡}} 혼다 아키히로 (Cygames) {{배지|편곡}} 히가시오지 켄타


160번째 줄: 146번째 줄:


=== 만화 ===
=== 만화 ===
이하 작품 외에도 2018년 10월 14일에 세이운 스카이가 주역인 만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BLUE SKY'''》의 연재가 고지되었지만 4년이 넘게 무소식이다.
{{간이 정보
{{간이 정보
|이미지 = Umamusume Pretty Derby Haruurara Ganbaru! banner.png
|이미지 = Umamusume Pretty Derby Haruurara Ganbaru! banner.png
207번째 줄: 191번째 줄:
}}
}}


{{간이 정보
=== 음반 ===
|이미지 = Umamusume Pretty Derby Umamusumeshi v01 jp.webp
{{빈 문단}}
|이름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시 (ウマ娘 プリティーダービー うまむすめし)
|만화 = 아사쿠사 츠쿠모
|설명 = 일상계 [[음식 만화]]. 사이코미에서 2023년 3월 1일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단행본은 우라 소년 선데이 코믹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스타 블로섬]]
:{{배지|각본}} 몬쥬 사키
:{{배지|만화}} 호타니 신
:사쿠라 로렐이 주인공인 만화. 슈에이샤의 웹코믹 서비스 [[소년 점프+]]ㆍ[[영점!]]ㆍ[[이웃집 영 점프]]에서 2023년 4월 10일부터 동시 연재를 시작했다.
:단행본은 영 점프 코믹스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 애니메이션 ===
=== 애니메이션 ===
248번째 줄: 221번째 줄: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KAI]]<br />{{배지|방영 기간}} 2023년~
:{{배지|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KAI]]<br />{{배지|방영 기간}} 2023년~
:TV 시리즈 제3기.
:TV 시리즈 제3기.
=== 게임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배지|기종}} [[플레이스테이션 4]] / [[닌텐도 스위치]] / [[Windows]]<br />{{배지|발매일}} 2024년
:스핀오프 멀티스포츠 게임.
== 음반 ==
{{빈 문단}}


== 비화 ==
== 비화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