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연(延)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8,44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78위이다. 본관은 [[곡산 연씨|곡산]](谷山) 단본이다.
연(延)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8,44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78위이다. 본관은 [[곡산 연씨|곡산]](谷山) 단본이다.


'''[[곡산 연씨]]'''(谷山延氏)는 중국 홍농(弘農) 출신인 연계령(延繼笭)의 7세손 연수창(延壽菖)이 [[제국대장공주]]를 배종(陪從)하고 고려에 들어와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ㆍ좌복야(左僕射)를 역임하고 곡산(谷山)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독특한 사실은 경주 김씨 대안군파(경주, 구안동, 김해) 4, 5, 6, 7세 이름과 곡산 연씨 1, 2, 4, 6세 이름이 동일하다고 한다. 수창(壽昌)의 아들 연경(鏡)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삼중대광 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과 태사(太師)를 역임하였다. 연경의 증손자 연주(延柱)가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오르며 조선 태종 때 곡성군(谷城君)에 추봉되었다.
'''[[곡산 연씨]]'''(谷山延氏)는 중국 홍농(弘農) 출신인 연계령(延繼笭)의 7세손 연수창(延壽菖)이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배종(陪從)하고 고려에 들어와 은자광록대부(銀紫光祿大夫)ㆍ좌복야(左僕射)를 역임하고 곡산(谷山)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독특한 사실은 경주 김씨 대안군파(경주, 구안동, 김해) 4, 5, 6, 7세 이름과 곡산 연씨 1, 2, 4, 6세 이름이 동일하다고 한다. 수창(壽昌)의 아들 연경(鏡)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삼중대광 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과 태사(太師)를 역임하였다. 연경의 증손자 연주(延柱)가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오르며 조선 태종 때 곡성군(谷城君)에 추봉되었다.


곡산 연씨의 실질적인 시조인 12세조 '''[[연사종]]'''(延嗣宗)은 1388년(우왕 14) 요동 정벌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李成桂)의 군진무(軍鎭撫)로 종군한 공으로 조선이 건국되자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으며, 1393년(태조 2)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401년(태종 1)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군파(定安君派)에 가담했고, 정안군이 세제로 책봉되고 등극하는 과정에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 1402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에 임명되고, 1407년 판한성부사 겸 우군총제가 되었으며, 뒤에 상장군·호조전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0년 동북면병마도절제사로 야인의 침입을 방어했으며, 이 해에 길주도도안무찰리사가 되어 경원부(慶源府)와 경성(鏡城)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1413년 영흥부윤(永興府尹)을 겸직했으며, 위의 공로로 곡산군(谷山君)에 봉해졌다. 1416년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가 되고, 이어 의정부참찬·중군총제(中軍摠制)를 역임하였다. 1418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19년(세종 1) 훈신에 대한 예우로서 판중군도총제부사에 오르고, 1422년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훈봉되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da_11605008_009 세종실록 64권, 16년(1434 갑인 / 명 선덕(宣德) 9년) 5월 8일(갑신) 9번째기사]</ref>  
곡산 연씨의 실질적인 시조인 12세조 '''[[연사종]]'''(延嗣宗)은 1388년(우왕 14) 요동 정벌 때 우군도통수 이성계(李成桂)의 군진무(軍鎭撫)로 종군한 공으로 조선이 건국되자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으며, 1393년(태조 2) 회군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401년(태종 1) 제2차 왕자의 난 때 정안군파(定安君派)에 가담했고, 정안군이 세제로 책봉되고 등극하는 과정에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 1402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에 임명되고, 1407년 판한성부사 겸 우군총제가 되었으며, 뒤에 상장군·호조전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0년 동북면병마도절제사로 야인의 침입을 방어했으며, 이 해에 길주도도안무찰리사가 되어 경원부(慶源府)와 경성(鏡城)을 수복하는 전과를 올렸다. 1413년 영흥부윤(永興府尹)을 겸직했으며, 위의 공로로 곡산군(谷山君)에 봉해졌다. 1416년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가 되고, 이어 의정부참찬·중군총제(中軍摠制)를 역임하였다. 1418년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419년(세종 1) 훈신에 대한 예우로서 판중군도총제부사에 오르고, 1422년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훈봉되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url.jsp?id=kda_11605008_009 세종실록 64권, 16년(1434 갑인 / 명 선덕(宣德) 9년) 5월 8일(갑신) 9번째기사]</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