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기내식 대란: 두 판 사이의 차이

14번째 줄: 14번째 줄:


* 2018년 5월
* 2018년 5월
*: 기존 계약사인 LSG와 단기간 계약 연장을 논의했으나, LSG는 아시아나가 직접 계약해주실 원한 반면에 아시아나는 GGK의 하청으로 들어가라는 요구를 하면서 본계약은 물론 연장계약 협상도 결렬되었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51011131366611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공급 '비상'…"하도급 거래 방식 논란"], 아시아경제, 2018.05.30.</ref>
*: 기존 계약사인 LSG와 단기간 계약 연장을 논의했으나, LSG는 아시아나가 직접 계약해주길 원한 반면에 아시아나는 GGK의 하청으로 들어가라는 요구를 하면서 본계약은 물론 연장계약 협상도 결렬되었다.<ref>[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51011131366611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공급 '비상'…"하도급 거래 방식 논란"], 아시아경제, 2018.05.30.</ref>


* 2018년 6월
* 2018년 6월
21번째 줄: 21번째 줄:
* 2018년 7월
* 2018년 7월
*: 결국 LSG 기내식이 끊긴 7월 1일부터 기내식 출고가 늦어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및 아예 탑재하지 않고 가버리는(No meal) 사태가 연발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02/0200000000AKR20180702164751003.HTML '기내식 대란'…아시아나 이틀째 국제선 운항 지연 속출(종합)], 연합뉴스, 2018.07.02.</ref>. 사태 2일차에는 샤프도앤코의 협력업체 대표가 심적 부담으로 자살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02/0200000000AKR20180702170400065.HTML 아시아나 기내식 납품 협력업체 대표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2018.07.02.</ref>
*: 결국 LSG 기내식이 끊긴 7월 1일부터 기내식 출고가 늦어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및 아예 탑재하지 않고 가버리는(No meal) 사태가 연발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02/0200000000AKR20180702164751003.HTML '기내식 대란'…아시아나 이틀째 국제선 운항 지연 속출(종합)], 연합뉴스, 2018.07.02.</ref>. 사태 2일차에는 샤프도앤코의 협력업체 대표가 심적 부담으로 자살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02/0200000000AKR20180702170400065.HTML 아시아나 기내식 납품 협력업체 대표 숨진채 발견], 연합뉴스, 2018.07.02.</ref>
{{각주}}

2018년 7월 3일 (화) 11:57 판

틀:사건사고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대란아시아나항공에서 2018년 7월부터 기내식 공급지연으로 인한 항공편 지연 및 기내식 미탑재 비행이 연발한 사건이다.

진행 상황

  • 2003년
    9.11 테러 이후 계속 악화되는 시장에서 버티기 위해 아시아나항공은 자사 기내식 사업부를 루프트한자 계열사인 “LSG스카이세프(이하 LSG)”에 매각했다. 합작사 “LSG스카이세프코리아”는 LSG가 80%, 아시아나가 20%의 지분을 가지며 아시아나 기내식 공급 계약은 5년 단위로 2번 더 갱신하기로 했다.[1]
  • 2016년 ~ 2017년
    아시아나-LSG의 15년 계약의 종료 시점이 도래해 재계약 협상을 진행했으나, 당시 금호타이어 문제로 그룹 전체가 몸이 달아있던 상태에서 아시아나측이 금호홀딩스의 사채를 인수하라고 압박하자 LSG는 재계약을 거부한다.[2] 이에 아시아나는 “게이트고메스위스”와 계약하고 금호는 중국 하이난항공그룹의 투자를 받았다. 새로운 기내식 합작사는 “게이트고메코리아(이하 GGK)”로 아시아나가 지분 40%를 가지며 기내식 공급 계약은 30년간 유지된다.[3]
  • 2018년 3월
    새로운 기내식 공급사로 선정된 GGK는 한국 공장을 건설하였으나, 공사 막바지에 이르러 화재가 발생했다.[4] 반년은 있어야 공장이 복구된다는 결론이 나와 아시아나에서 LSG 계약 종료(6월 30일) 이후 단기간을 버틸 궁리를 시작하게 된다.
  • 2018년 5월
    기존 계약사인 LSG와 단기간 계약 연장을 논의했으나, LSG는 아시아나가 직접 계약해주길 원한 반면에 아시아나는 GGK의 하청으로 들어가라는 요구를 하면서 본계약은 물론 연장계약 협상도 결렬되었다.[5]
  • 2018년 6월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인 “샤프도앤코”(샤프도앤코코리아)와 3개월 계약을 맺었다.[6] 샤프도앤코의 한국공장 생산량이 일 3천식에 불과한 반면에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수요는 일 3만식에 달해, 차이를 메꾸는 데 GGK의 인력을 사용하기로 했다.
  • 2018년 7월
    결국 LSG 기내식이 끊긴 7월 1일부터 기내식 출고가 늦어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및 아예 탑재하지 않고 가버리는(No meal) 사태가 연발했다[7]. 사태 2일차에는 샤프도앤코의 협력업체 대표가 심적 부담으로 자살했다.[8]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