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쉽게 배우는 프로그래밍 입문/Rust: 두 판 사이의 차이

15번째 줄: 15번째 줄:
==== 명령어 입력 ====
==== 명령어 입력 ====
그리고 열린 터미널/CM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그리고 열린 터미널/CM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source lang="vim">
<pre>
cargo new (프로젝트 이름) --bin
cargo new (프로젝트 이름) --bin
</source>
</pre>
 
그러면 연재 터미널/CMD에서 열린 폴더에 프로젝트 이름으로 된 폴더가 생기며, 안에 Rust의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파일과 cargo 프로젝트 속성 파일이 생깁니다.
그러면 연재 터미널/CMD에서 열린 폴더에 프로젝트 이름으로 된 폴더가 생기며, 안에 Rust의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파일과 cargo 프로젝트 속성 파일이 생깁니다.



2015년 10월 26일 (월) 23:44 판

프로그래밍 언어 러스트(Rust)의 튜토리얼.

개발환경 만들기

러스트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컴파일러를 설치합니다

Hello, world!

프로젝트 만들기

Rust의 경우 기본적인 프로젝트와 라이브러리관리를 Cargo라는 것으로 관리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파일:Rust-menu.PNG 에서 Rust (버전) shell을 실행합니다.

우분투의 경우

터미널을 열닙다.

명령어 입력

그리고 열린 터미널/CMD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cargo new (프로젝트 이름) --bin

그러면 연재 터미널/CMD에서 열린 폴더에 프로젝트 이름으로 된 폴더가 생기며, 안에 Rust의 Hello, world를 출력하는 코드파일과 cargo 프로젝트 속성 파일이 생깁니다.

컴파일하기

cargo run

을 할경우 컴파일 한 후, 컴파일 된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변수 선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