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막귀도 쉽게 알 수 있는 음향 평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황금귀|이제 원자력 발전소의 전기와 수력발전소의 전기를 소리만 듣고 구별할 수 있게 됐어요!]]}}<br /><small><small>{{색|black|... 는 훼이크고, 원래 제목은...}}<br /><br /></small></small>이제 그래프만 보고도 이게 어떤 소리를 낼 지 알 수 있어요!|}}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황금귀|이제 원자력 발전소의 전기와 수력발전소의 전기를 소리만 듣고 구별할 수 있게 됐어요!]]}}<br/><small><small>{{색|black|... 는 훼이크고, 원래 제목은...}}<br/><br/></small></small>이제 그래프만 보고도 이게 어떤 소리를 낼 지 알 수 있어요!|}}


이 글은 완전한 음덕이 아닌 사람이 주로 편집했기 때문에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정보가 보인다면 자신있게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완전한 음덕이 아닌 사람이 주로 편집했기 때문에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틀린 정보가 보인다면 자신있게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대표적인 소리로는 드럼의 쿵쿵거리는 베이스의 단단함이 있어요.  
대표적인 소리로는 드럼의 쿵쿵거리는 베이스의 단단함이 있어요.  
부족하면 드럼의 베이스가 탁하거나 물렁물렁하게 들려요. 요즘 나온 [[쿼드비트]]3가 극저음 강조 이어폰이에요.  
부족하면 드럼의 베이스가 탁하거나 물렁물렁하게 들려요. 요즘 나온 [[쿼드비트]]3가 극저음 강조 이어폰이에요.  
그리고 극저음은 사람의 취향을 잘 타지는 않아요.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고음 재생에서의 단점을 숨기기도 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극저음을 일반적으로 좋아해요. 하지만 너무 많으면 먹먹하고 어두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저가 스피커들은 극저음이 출력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극저음은 사람의 취향을 잘 타지는 않아요.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고음 재생에서의 단점을 숨기기도 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극저음을 일반적으로 좋아해요. 하지만 너무 많으면 먹먹하고 어두울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중저음(60 or 80~250 or 300)
;중저음(60 or 80~250 or 300)
아래에 있지만 깔리는 게 아니라 연주가 되거나 쿵쿵 울리는 저음을 의미해요. 대표적으로 베이스 기타를 들 수 있겠고, 드럼의 쿵쿵거리는 베이스에서 울렁거림을 담당하는 쪽도 중저음이에요. 중저음은 사람 취향을 많이 타는 편이에요. 많을 때 장점도 있는 반면에 적을 때 장점도 공존히기 때문이에요. 중저음이 많은 이어폰으로 이어팟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에 있지만 깔리는 게 아니라 연주가 되거나 쿵쿵 울리는 저음을 의미해요. 대표적으로 베이스 기타를 들 수 있겠고, 드럼의 쿵쿵거리는 베이스에서 울렁거림을 담당하는 쪽도 중저음이에요. 중저음은 사람 취향을 많이 타는 편이에요. 많을 때 장점도 있는 반면에 적을 때 장점도 공존히기 때문이에요. 중저음이 많은 이어폰으로 이어팟을 들 수 있습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해상도라는 빛과 치찰음이라는 어둠을 가진 대역이에요. 상당히 자극적인 음역대로서 여기도 상당히 취향을 많이 타는 편이에요. 이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악기로는 드럼의 탕탕거리는 북치는 소리,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 바이올린 소리, 인간의 숨소리(...) 등이 있어요. 고로 타격감에 작용하는 요소이기도 해요. 쿼드비트1에서는 강하게 강조되어 있지만 3에서는 아예 깎아내리기도 했지요. 특히 5~8k의 경우에는 매우 자극적이라 보통은 깎아내요. 그러나 그 이후에는 사람에 따라 달라요.  
해상도라는 빛과 치찰음이라는 어둠을 가진 대역이에요. 상당히 자극적인 음역대로서 여기도 상당히 취향을 많이 타는 편이에요. 이쪽의 영향을 많이 받는 악기로는 드럼의 탕탕거리는 북치는 소리,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 바이올린 소리, 인간의 숨소리(...) 등이 있어요. 고로 타격감에 작용하는 요소이기도 해요. 쿼드비트1에서는 강하게 강조되어 있지만 3에서는 아예 깎아내리기도 했지요. 특히 5~8k의 경우에는 매우 자극적이라 보통은 깎아내요. 그러나 그 이후에는 사람에 따라 달라요.  
;초고음 or 극고음(10k~20k)
;초고음 or 극고음(10k~20k)
여기는 일반적으로 극저음과 비슷하게 느낌이 중요해요. 그리고 자연음보다는 기계음이 많이 활용하는 음역대에요. 물론 자연음도 존재하긴 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드럼의 하이햇, 햄스터의 울음소리에요. 어떤 공간에서 스피커로 들을때는 많이 줄어서 들리는 특성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여기도 취향따라 다른 면이 있어요.
여기는 일반적으로 극저음과 비슷하게 느낌이 중요해요. 그리고 자연음보다는 기계음이 많이 활용하는 음역대에요. 물론 자연음도 존재하긴 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드럼의 하이햇이에요. 어떤 공간에서 스피커로 들을때는 많이 줄어서 들리는 특성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여기도 취향따라 다른 면이 있어요. <br />


여기까지 보셔도 잘 모르겠다면, 이퀄라이저로 해당 음역대를 크게 늘려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어요.
여기까지 보셔도 잘 모르겠다면, 이퀄라이저로 해당 음역대를 크게 늘려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어요.
35번째 줄: 35번째 줄:
기음은 우리가 본 적이 있을 악보에 수록된 음을 뜻해요. 배음은 기음에 따라 붙어서 기음의 배수의 진동수로 발생하는 음이에요. 악기의 특성은 배음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돼요.<ref>실질적으로는 파형의 영향이 제일 크지만, 배음의 영향도 상당히 큰 편이에요.</ref>
기음은 우리가 본 적이 있을 악보에 수록된 음을 뜻해요. 배음은 기음에 따라 붙어서 기음의 배수의 진동수로 발생하는 음이에요. 악기의 특성은 배음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돼요.<ref>실질적으로는 파형의 영향이 제일 크지만, 배음의 영향도 상당히 큰 편이에요.</ref>


=== 플랫 vs. 강조형 ===
=== 음향기기는 특징이 없다 ===
기본적으로 음질이 좋다는 것은 원음을 제대로 구현해낸다는 것이고, 이는 곧 모든 대역폭에서 소리가 고르게 들려야 한다는 것이에요. 다만 제품에 따라서 특정한 대역폭의 소리를 강조해서 튜닝할 수는 있고, 일부러 [[EQ]]를 통해 특정한 대역을 강조하거나 반대로 특정한 대역폭이 강조된 제품의 소리를 고르게 만들기도 해요. 개판으로 꼽히는 백두대간 유형은 빼고 음질에 신경쓰기 시작한 유형만 알려드릴게요.
음향기기에 유형이 있다는 건 잘 못된 상식입니다. 물론 제조사가 특정 대역폭 소리를 강조해서 튜닝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음질이 좋다는 건 원음과 같다는 뜻이며, 원음은 현실에서 단 하나 모든 대역폭에서 똑같은 소리가 나는 것이에요.플랫은 심심한 소리니 V자는 자극적이니 하는 것은 잘 못된 상식이며,원음에 가깝고 음질이 좋은 것을 플랫하다고 말하는 것이에요


;플랫
다만 스피커의 경우 플랫은 측정하면 일자로 뻗는가 매우 쉽게 알 수 있으나 이어폰 헤드폰의 경우는 다르다.우리의 뇌와 귀는 바로 옆에서 듣도록 설계되지 않았기에 이어나오는 경우 뇌가 음을 조금 다르게 해석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선호도 조사를 해서 실제 플랫으로 들을려면 이럴것이다라고 예측해서 만든 여러 타겟이 있는데 타겟들 자체가 정확한가라는 논란이 있긴 하다.
:영어 단어에서 '평평함'을 뜻해요. 즉, 모든 대역폭이 고르게 있음을 뜻해요. 매우 좋은 소리인 한편 다른 강조형 음향 기기를 즐겨 듣던 사람들은 심심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답니다. 대표적인 예로 애플 인이어와 에티모틱이 있어요.
;저음 강조형
:보통 저음을 강조하는 게 대중적이다 보니 저음 강조형이 상당히 많은 편이에요. 이름에서도 짐작이 가겠지만 극저음이나 중저음이 매우 많은 편이에요. 중저음이 많을 경우 다른 음을 가리기도 해요. 대표적인 예로 [[이어팟]]이 있어요.
;고음 강조형
:저음보다 고음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를 뜻해요. 보통 [[해상도]]라고 불리는 개념<ref>악기를 세밀하게 표현하는 능력이에요. </ref>을 노리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예로 쿼드비트1이 있어요.
;V자형
:저음과 고음을 둘다 늘리고 중음만 적은 유형이에요. 상당한 자극성이 있는 유형이어서 취향을 많이 타요. 유명한 제조사로 Beats, JVC, 스컬캔디, 울트라손 등이 있어요.
 
다만 그렇다고 해서 언제나 그래프를 곧이곧대로만 해석하는 것은 아니에요. 우리가 소리를 항상 완벽한 공간에서만 듣는 것은 아니고, 또 이어폰과 헤드폰의 경우 귀와 맞붙어서 들리기 때문에 실제로는 스피커와 다르게 들린다는 해석도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선호도를 조사하며 실제로 사람에게 들릴 소리를 보정해서 만든 여러 타겟이 있어요. 자세한 내용은 그래프 해석 문단에서 다룰게요.


=== 피크와 딥 ===
=== 피크와 딥 ===
56번째 줄: 47번째 줄:


== 저, 그래프를 해석합니다. ==
== 저, 그래프를 해석합니다. ==
제목은 [[시리즈:뭘 할지, 뭘 볼지 헤매는 당신을 위한 지침서/애니메이션#12.1.1|작화를 망친]] [[저, 트윈테일이 됩니다|어떤 애니메이션]]의 패러디에요. 최대한 쉽게 쓸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출처로 [http://www.seeko.co.kr/zboard4/zboard.php?id=review&page=1&divpage=5&no=26398 여기]를 참고했어요. 하지만 이걸 그대로 보면 내용이 어려워서 상당히 머리가 아플거예요. 애초에 저건 측정 개요 혹은 기준이지 '''해설서가 아니에요.''' 그러니까 이 내용을 쉽게 알려주도록 노력할게요. 추가로 주로 헤드폰을 다룬 [http://www.sclibrary.net/user_sound_tip/34368 이것]도 참고할 만한 레퍼런스예요. 이 곳에서는 타겟에 관한 엄밀한 설명이 들어 있어요.
제목은 [[뭘 할지, 뭘 볼지 헤매는 당신을 위한 지침서/애니메이션#12.1.1|작화를 망친]] [[저, 트윈테일이 됩니다|어떤 애니메이션]]의 패러디에요. 최대한 쉽게 쓸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출처로 [[http://www.seeko.co.kr/zboard4/zboard.php?id=review&page=1&divpage=5&no=26398 여기]]를 참고했어요. 하지만 이걸 그대로 보면 내용이 어려워서 상당히 머리가 아플거예요. 애초에 저건 측정 개요 혹은 기준이지 '''해설서가 아니에요.''' 그러니까 이 내용을 쉽게 알려주도록 노력할게요. 추가로 주로 헤드폰을 다룬 [[http://www.sclibrary.net/user_sound_tip/34368 이것]]도 참고할 만한 레퍼런스예요. 이 곳에서는 타겟에 관한 엄밀한 설명이 들어 있어요.
=== 주파수 응답 그래프, FR ===
=== 주파수 응답 그래프, FR ===
[[파일:Oktava319vsshuresm58.png|thumb|400px|이렇게 생긴게 주파수 응답 그래프다. ]]
[[File:Oktava319vsshuresm58.png|thumb|400px|이렇게 생긴게 주파수 응답 그래프다. ]]
FR은 음향 분석의 알파에요. 해석하기도 비교적 쉬우면서 상당한 의미를 갖고 있는 그래프니 꼭 해석법을 익히셔야 합니다. 기준은 레퍼런스인 시코에만 맞춘건 아니고 어떤 사이트에서 봐도 기본적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맞춰줬어요. <br />
FR은 음향 분석의 알파에요. 해석하기도 비교적 쉬우면서 상당한 의미를 갖고 있는 그래프니 꼭 해석법을 익히셔야 합니다. 기준은 레퍼런스인 시코에만 맞춘건 아니고 어떤 사이트에서 봐도 기본적인 해석을 할 수 있도록 맞춰줬어요. <br />
가로축은 주파수이고요, 일반적으로 [[로그]] 스케일<ref>10~100이 차지하는 길이와 100~1000이 차지하는 길이가 같도록 설계된 그래프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ref>이에요. 왜냐하면, 우리의 귀가 소리를 로그 스케일로 느끼기 때문이에요. 애초에 이 때문에 dB(데시벨)도 로그 스케일이에요. 세로는 소리의 세기 = 음압이고요, 세로 한칸당 기준은 딱히 정해져 있지 않아서 [[시코]]는 10dB, 골든이어스는 5dB씩이에요. 그러니까 해석에 주의하셔야 해요. <br />
가로축은 주파수이고요, 일반적으로 [[로그]] 스케일<ref>10~100이 차지하는 길이와 100~1000이 차지하는 길이가 같도록 설계된 그래프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ref>이에요. 왜냐하면, 우리의 귀가 소리를 로그 스케일로 느끼기 때문이에요. 애초에 이 때문에 dB(데시벨)도 로그 스케일이에요. 세로는 소리의 세기 = 음압이고요, 세로 한칸당 기준은 딱히 정해져 있지 않아서 [[시코]]는 10dB, 골든이어스는 5dB씩이에요. 그러니까 해석에 주의하셔야 해요. <br />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1445 여기서 IEC 60318-4라는 국제 기준에 따라] 100Hz 미만과 16kHz 이상 극고음은 일반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은 응답이니 주의해야 돼요.<ref>단,레퍼런스로 단 시코에서는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17389 IEC 60711에 따라] 10KHz이상이 유효하지 않은 응답이라고 소개하고 있어요.</ref> 극고음이 대역폭에 들어간다와 안들어간다도 측정에 따라 달라집니다!<br />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1445 여기서 IEC 60318-4라는 국제 기준에 따라]] 100Hz 미만과 16kHz 이상 극고음은 일반적으로 유효하지는 않은 응답이니 주의해야 돼요.<ref>단,레퍼런스로 단 시코에서는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17389 IEC 60711에 따라]] 10KHz이상이 유효하지 않은 응답이라고 소개하고 있어요.</ref> 극고음이 대역폭에 들어간다와 안들어간다도 측정에 따라 달라집니다!<br />
한편, 스무딩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건 그래프를 얼마나 무디게 할 건지에 대한 옵션이에요. 많이 무뎌질수록 부정확해져요. 골든이어스는 1/3 옥타브 스무딩이고, 시코는 1/24 옥타브 스무딩이에요. 그리고 시코가 좀 더 날카롭게 그려지고 좀 더 정확하기도 해요. <br />
한편, 스무딩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건 그래프를 얼마나 무디게 할 건지에 대한 옵션이에요. 많이 무뎌질수록 부정확해져요. 골든이어스는 1/3 옥타브 스무딩이고, 시코는 1/24 옥타브 스무딩이에요. 그리고 시코가 좀 더 날카롭게 그려지고 좀 더 정확하기도 해요. <br />
추가로, 보통 이어폰과 헤드폰은 스피커의 그것과 달라서 원본(보통은 RAW라고 해요.)이 플랫하면 우리가 선호하지 않는 소리가 나올 가능성이 커요. 그래서 우리가 선호하는 소리에 가깝다고 하는 그래프로 원본의 값을 보정해줘요. 이때 보정하는 그래프를 '타겟'이라고 불러요. 현재 국제 기준은 확산음장 또는 DF라고 불리는 타겟이에요. 여기서 플랫함을 벗어난 부분을 선형 왜곡이라고도 불러요. 여러 가지 타겟이 있긴 하지만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있는지라 엄밀한 설명을 하면 여기의 제목이 무색해져요. 그러니까 주요 타겟만 간단히 설명해드릴게요. <br />
추가로, 보통 이어폰과 헤드폰은 스피커의 그것과 달라서 원본(보통은 RAW라고 해요.)이 플랫하면 우리가 선호하지 않는 소리가 나올 가능성이 커요. 그래서 우리가 선호하는 소리에 가깝다고 하는 그래프로 원본의 값을 보정해줘요. 이때 보정하는 그래프를 '타겟'이라고 불러요. 현재 국제 기준은 확산음장 또는 DF라고 불리는 타겟이에요. 여기서 플랫함을 벗어난 부분을 선형 왜곡이라고도 불러요. 여러 가지 타겟이 있긴 하지만 상당히 어려운 내용이 있는지라 엄밀한 설명을 하면 여기의 제목이 무색해져요. 그러니까 주요 타겟만 간단히 설명해드릴게요. <br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