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장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승강장은 [[철도역]]에 설치되는 시설물로서, 여객의 승강 또는 화물의 적하를 위한 구조물이다. [[철도차량]]의 승차공간 또는 적재공간은 대개 차륜과 대차의 위에 설치되어 있어 지면을 기준했을때 단차가 상당히 발생하게 된다. 이런 단차를 그냥 극복하려면 상당히 불편할 뿐더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만큼, 편리하게 열차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지면을 돋구거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승강장은 [[철도역]]에 설치되는 시설물로서, 여객의 승강 또는 화물의 적하를 위한 구조물이다. [[철도차량]]의 승차공간 또는 적재공간은 대개 차륜과 대차의 위에 설치되어 있어 지면을 기준했을때 단차가 상당히 발생하게 된다. 이런 단차를 그냥 극복하려면 상당히 불편할 뿐더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만큼, 편리하게 열차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느 정도 지면을 돋구거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강장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홈"({{일본어=|ホーム|호무}})이라고 한다. 영어에서 유래된 플랫폼({{일본어=|プラットホーム|프랏토호무}})을 축약하다 "홈"이라는 용어로 변형된 것. 승강장으로 순화용어가 지정되어 공식 안내에서 홈이라는 표현은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나, 단어가 짧고 발음하기 편해서인지 구어로 많이 쓰인다.
통상적으로 승강장은 일본어에서 유래된 "홈"({{lang|ja|ホーム|호무}})이라고 한다. 영어에서 유래된 플랫폼({{lang|ja|プラットホーム|프랏토호무}})을 축약하다 "홈"이라는 용어로 변형된 것. 승강장으로 순화용어가 지정되어 공식 안내에서 홈이라는 표현은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나, 단어가 짧고 발음하기 편해서인지 구어로 많이 쓰인다.


==특징==
==특징==
139번째 줄: 139번째 줄:
*[[저상 승강장]]
*[[저상 승강장]]
*: 높이 500mm 이하의 승강장을 저상 승강장(저상홈)이라고 한다. 저상 승강장은 건설비가 적게 들고, 승객의 선로 추락시 자력으로 올라오거나 구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베리어프리에 있어서는 좋지 않다.
*: 높이 500mm 이하의 승강장을 저상 승강장(저상홈)이라고 한다. 저상 승강장은 건설비가 적게 들고, 승객의 선로 추락시 자력으로 올라오거나 구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베리어프리에 있어서는 좋지 않다.
*[[고상 승강장]]
*[[고상 승강장]]
*: 높이 1,135mm 이상의 승강장을 고상 승강장(고상홈)이라고 한다. 고상 승강장은 베리어프리에 있어서 저상 승강장보다 유리하나, 승객의 선로 추락시 구조가 쉽지 않고 차량 진입시 차량 측면이 플랫폼에 긁힐 수 있다.
*: 높이 1,135mm 이상의 승강장을 고상 승강장(고상홈)이라고 한다. 고상 승강장은 베리어프리에 있어서 저상 승강장보다 유리하나, 승객의 선로 추락시 구조가 쉽지 않고 차량 진입시 차량 측면이 플랫폼에 긁힐 수 있다.
* 겸용 승강장  
* 겸용 승강장  
*: 저상과 고상의 중간 정도로 하여 양쪽 차량이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경우. 중상 승강장이라고도 불린다.
*: 저상과 고상의 중간 정도로 하여 양쪽 차량이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경우. 중상 승강장이라고도 불린다.
*[[적하장]]
*[[적하장]]
*: [[철도 소화물|소화물]]을 부리기 위한 전용 플랫폼. 카트를 쉽게 밀어넣으려면 [[소화물차]] 바닥과 높이가 맞아야 하기 때문에 저상 승강장보다 높게 올린다. 한국 기준 1,100mm.
*: [[철도 소화물|소화물]]을 부리기 위한 전용 플랫폼. 카트를 쉽게 밀어넣으려면 [[소화물차]] 바닥과 높이가 맞아야 하기 때문에 저상 승강장보다 높게 올린다. 한국 기준 1,100mm.
151번째 줄: 154번째 줄:
반대로 차량한계보다 지나치게 작은 차량을 투입하거나 곡선 상에 승강장을 설치한 경우 승강장과 차량 사이가 과도하게 멀어지거나 높이 차이가 지나치게 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측에 가동식 발판을 설치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걸 그냥 몸으로 때워버리는 경우도 개발도상국 철도에서는 존재하기도 한다.
반대로 차량한계보다 지나치게 작은 차량을 투입하거나 곡선 상에 승강장을 설치한 경우 승강장과 차량 사이가 과도하게 멀어지거나 높이 차이가 지나치게 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차량측에 가동식 발판을 설치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걸 그냥 몸으로 때워버리는 경우도 개발도상국 철도에서는 존재하기도 한다.


한국철도에서 사용하는 승강장 규격은 고상승강장과 저상승강장, 그리고 적하장의 3종류가 존재한다.  원칙적으로 도시철도·광역철도는 고상 승강장, 여객철도는 저상 승강장을 이용하나, [[누리로]]와 최근에 도입된 [[KTX-이음]](EMU-250)차량이 고상·저상 승강장 겸용으로 제작되어 이용되고 있다. (누리로는 과거 신창역과 서울역에서 고상홈 취급을 했었고 KTX-이음을 취급하는 대부분 역들은 고상 승강장을 기본 승강장으로 선택하고 있다.)  그리고 [[ITX-청춘]]에서 여객열차 최초로 고상 승강장을 전면 채택함에 따라 여객철도 승강장의 고상화 논의가 간간히 나오고 있다. 근래 도입 예정인 EMU-150과 EMU-320 차량에서는 고상홈과 저상홈 겸용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국철도에서 사용하는 승강장 규격은 고상승강장과 저상승강장, 그리고 적하장의 3종류가 존재한다.  원칙적으로 도시철도·광역철도는 고상 승강장, 여객철도는 저상 승강장을 이용하나, [[누리로]]에서 고상·저상 승강장을 모두 사용하며 [[ITX-청춘]]에서 여객열차 최초로 고상 승강장을 전면 채택함에 따라 여객철도 승강장의 고상화 논의가 간간히 나오고 있다. 근래 도입 예정인 EMU-250차량에서는 고상 승강장을 기본 승강장으로 선택하고 있다.


=== 기준에 따른 분류 ===
=== 기준에 따른 분류 ===
176번째 줄: 179번째 줄:
*[[스크린도어]]/안전 펜스 [[파일:Sunreung02.jpg|thumb]]
*[[스크린도어]]/안전 펜스 [[파일:Sunreung02.jpg|thumb]]
*: 여객의 선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열차 규격 및 조성의 일원화가 되어 있고, 추락하면 혼자서 다시 올라오기 힘든 고상 승강장이 설치되는 도시철도에서 볼 수 있다. 안전펜스와 스크린도어가 동시기 들어왔으나<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354530 전국 지하철 안전펜스 의무설치], 머니투데이, 2003.12.17.</ref>, 효과가 좀 더 큰 스크린도어 보급이 철도 최순위 과제가 되면서 대부분의 철도역에서 스크린도어가 안전 펜스를 대체했다.
*: 여객의 선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열차 규격 및 조성의 일원화가 되어 있고, 추락하면 혼자서 다시 올라오기 힘든 고상 승강장이 설치되는 도시철도에서 볼 수 있다. 안전펜스와 스크린도어가 동시기 들어왔으나<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354530 전국 지하철 안전펜스 의무설치], 머니투데이, 2003.12.17.</ref>, 효과가 좀 더 큰 스크린도어 보급이 철도 최순위 과제가 되면서 대부분의 철도역에서 스크린도어가 안전 펜스를 대체했다.
* [[여객안내기|여객자동안내기·열차행선안내장치]]
* [[여객안내기|여객자동안내기·열차행선안내장치]]
*: 열차의 행선지 및 열차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 열차의 행선지 및 열차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 승차위치 안내표지
* 승차위치 안내표지
*: 열차 도착 전 질서 유지나, 지정석을 받은 여객이 지정호차를 정확히 찾아가기 위한 안내표지. 출입문의 위치를 미리 알 수 있어 질서 있는 줄서기가 가능하다. 하차 후에는 유실물이 있을 경우 하차 위치로 탑승차를 가늠할 수 있다.
*: 열차 도착 전 질서 유지나, 지정석을 받은 여객이 지정호차를 정확히 찾아가기 위한 안내표지. 출입문의 위치를 미리 알 수 있어 질서 있는 줄서기가 가능하다. 하차 후에는 유실물이 있을 경우 하차 위치로 탑승차를 가늠할 수 있다.
*점자블럭
*점자블럭
*: [[시각장애인]]의 유도 및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주요 경로의 유도를 위해 설치되는 선형 블록과, 경로의 종료 지점 및 승강장 테두리에 설치되는 점형 블록이 있다. 대부분의 철도 기관에서 이걸 안전선 대용으로 사용한다.
*: [[시각장애인]]의 유도 및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주요 경로의 유도를 위해 설치되는 선형 블록과, 경로의 종료 지점 및 승강장 테두리에 설치되는 점형 블록이 있다. 대부분의 철도 기관에서 이걸 안전선 대용으로 사용한다.
* 비상정지버튼 및 비상전화 [[파일:비상정지버튼.jpg|thumb]]
* 비상정지버튼 및 비상전화 [[파일:비상정지버튼.jpg|thumb]]
*: 승강장에서 [[역무원]]과 직통회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고 발생시 상황 전파 및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이용한다. 비상정지버튼은 뭔가 누르면 바로 장내 신호기에 빨간불이 들어올 것 같은 이름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역무원(로컬관제) 및 중앙관제로 1차 전파되어 관제에서 기관사에게 비상정지를 전파하는 방식이다. [[차내신호식]]이 설비된 경우 신호에 반응해 비상제동이 체결되기도 한다.
*: 승강장에서 [[역무원]]과 직통회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고 발생시 상황 전파 및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이용한다. 비상정지버튼은 뭔가 누르면 바로 장내 신호기에 빨간불이 들어올 것 같은 이름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역무원(로컬관제) 및 중앙관제로 1차 전파되어 관제에서 기관사에게 비상정지를 전파하는 방식이다. [[차내신호식]]이 설비된 경우 신호에 반응해 비상제동이 체결되기도 한다.
*승강장 지붕 및 고객대기실
*승강장 지붕 및 고객대기실
*: 비, 눈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이게 없는 역에서 열차를 기다려보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될 것이다. 승강장에 고객대기실(홈 맞이방)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과거에는 승강장 지붕이 없는 간이역에 간혹 설치되던 것을 근래에는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상역에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 비, 눈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이게 없는 역에서 열차를 기다려보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될 것이다. 승강장에 고객대기실(홈 맞이방)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과거에는 승강장 지붕이 없는 간이역에 간혹 설치되던 것을 근래에는 냉난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상역에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 반응등
* 반응등
*: [[신호기]]의 부속으로 출발 신호가 내려왔다는 것을 승무원이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신호기]]의 부속으로 출발 신호가 내려왔다는 것을 승무원이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