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혁명 우테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개요===
|영상물이름  = 소녀혁명 우테나
소녀혁명 우테나(일본어:少女革命ウテナ, 영어:Revolutionary Girl Utena)는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중심이 된 창작 그룹 "Bepapas"의 오리지널 기획으로, [[사이토 치호]]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원안을 맡았으며,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애니메이션의 감독을 맡았다. 만화, TVa, 소설, 극장판 애니메이션, 게임 등으로 미디어 믹스가 전개되었으나, 일반적으로는 TVa를 가리킨다.
|원어이름    = {{일본어=|少女革命ウテナ}}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Revolutionary Girl Utena logo 20170127.png|200px]]
|그림설명    = 로고
|배급사      =
|방송채널    = [[TV 도쿄]]
|제작사      = [[J.C.STAFF]]
|감독        = 이쿠하라 쿠니히코
|제작        =
|작가        =
|출연        =
|해설        =
|장르        = 학원, 변신 히로인, [[백합 (장르)|백합]]
|나라        = {{나라|일본}}
|언어        = [[일본어]]
|연작제목    =
|개봉일      =
|방영일      = 1997년 4월 2일~12월 24일
|방영시각    =  
|시즌수      =
|화수        = 전 39화
|시간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소녀혁명 우테나 애들레슨스 묵시록]]
|웹사이트    =
|캐릭터원안  =
|캐릭터디자인 = 하세가와 신야
|연출        =
|미술        =
|촬영감독    =
|음악        = 미츠무네 신키치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대원동화]]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소녀혁명 우테나'''》({{일본어=|少女革命ウテナ}})는 [[J.C.STAFF]]에서 제작을 담당해 [[1997년]]에 방영한 전 39화 구성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이다.


== 상세 ==
만화는 1996년 6월부터 만화잡지 챠오(ちゃお)에 연재되었으며, TVa와 스토리가 조금 다르다. 이를 테면 쥬리와 삼각관계를 이루던 시오리 타카츠키는 만화판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TV 애니메이션은 1997년 4월에 방영을 시작하여 동년 12월 총 39화로 종영되었다. 이후 1999년, 「소녀혁명 우테나  Adolescence 묵시록」이란 이름으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었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총집편이 아닌 이른바 '완전신작'이지만, TVA에서 연대기적으로 이어지는 속편 또한 아니다. 굳이 성격을 말하자면, TVA의 설정과 줄거리를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리뉴얼, 리메이크에 가깝다.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중심이 된 창작 그룹 "Bepapas"의 오리지널 기획으로, [[사이토 치호]]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원안을 맡았으며 이쿠하라 쿠니히코가 애니메이션의 감독을 맡았다. [[만화]], [[TVa]], [[소설]], [[극장판 애니메이션]], [[게임]] 등으로 [[미디어 믹스]]가 전개되었으며 TVa가 대표적이다.  


[[페미니즘]]에 대한 고찰이 담긴 작품으로 [[동화]]를 교묘하게 비튼 스토리와 실험적인 음악, [[순정만화]]스러운 작풍, 연극적인 연출과 각종 상징으로 도배된 것이 특징이다. 소녀혁명 우테나는 초현실적인 배경과 상황을 제시히지만, 이는 [[학원물]]이나 [[마법소녀물]] 등의 만화/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한 메타픽션적인 접근이며 이를 통해 페미니즘적 테마를 알레고리(우의, 우화)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퀴어]], [[페미니즘]] 장르의 일종인 [[클래스 S]](Class S, クラスS)로 분류되고 있다.  
===성격===
소녀혁명 우테나는 초현실적인 배경과 상황을 제시히지만, 이는 학원물이나 마법소녀물 등의 만화/애니메이션 장르에 대한 메타픽션적인 접근이며, 이를 통해 페미니즘적 테마를 알레고리(우의, 우화)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일본에서는 퀴어, 페미니즘 장르의 일종인 [[클래스 S]](Class S, クラスS)로 분류되고 있다.


[[이쿠하라 쿠니히코]]의 연출 스타일이 많이 반영되어 영상적으로도 독특한 작품이 완성되었다. 같은 장면을 여러 화에 걸쳐서 사용하는 '뱅크 씬'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던가, '그림자 소녀'들을 등장시켜 그림자 연극을 통해 해설을 넣는다거나, 전위 연극을 연상케하는 오브제의 배치나 이미지의 충돌 등을 그러한 스타일의 예로 들 수 있다. J A 시저의 락 음악을 베이스로 하면서도 특징적인 코러스가 삽입된, 강렬하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 또한 이 작품의 특징이다.  
[[이쿠하라 쿠니히코]]의 연출 스타일이 많이 반영되어 영상적으로도 독특한 작품이 완성되었다. 같은 장면을 여러 화에 걸쳐서 사용하는 '뱅크 씬'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던가, '그림자 소녀'들을 등장시켜 그림자 연극을 통해 해설을 넣는다던가, 전위 연극을 연상케하는 오브제의 배치나 이미지의 충돌 등을 그러한 스타일의 예로 들 수 있겠다.  


만화 작가 사이토 치호와 애니메이션 감독 이쿠하라 쿠니히코의 대담<ref>https://flowers.shogakukan.co.jp/news/news_20180510.html
만화 작가님과 애니메이션 감독님의 대담을 통해 드러나는 사실은 우테나의 시초 자체가 '여성은 이 사회의 조연인가?'는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때문에 우테나의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된 감정은 절망임을 시사한다.  


<br />이쿠하라 : 당시 스스로가 놓인 위치에 대한 절박한 심정이, 작품에 반영되었던 부분도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또, "여자아이가 있어야 할 곳"같은 이야기로, 그것도 모두의 마음에 남은 것일까 하고. "여자아이는 어떻게 되고 싶은 거야?" "여자아이는 이 사회에서 조역에 불과한 거야?"같은 자문이랄까. 결국 <nowiki><</nowiki>우테나>의 가장 중심에 있는 것은 '좌절'이라고 생각해요. 그 좌절이란 게, 만드는 쪽인 우리들의 좌절 이야기라는 것도 있고요.</ref>
J A 시저의 락 음악을 베이스로 하면서도 특징적인 코러스가 삽입된, 강렬하고 사이키델릭한 사운드 또한 작품의 특징이다.
을 통해 드러나는 사실은 우테나의 시초 자체가 '여성은 사회의 조연인가?'는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때문에 우테나의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된 감정은 절망임을 시사한다.  


[[만화]]는 1996년 6월부터 만화잡지 [[챠오]](ちゃお)에 연재되었으며 TVa와 스토리가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쥬리와 삼각관계를 이루던 시오리 타카츠키는 만화판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TV 애니메이션은 1997년 4월에 방영을 시작하여 동년 12월 총 39화로 종영되었다. 이후 [[1999년]] 「소녀혁명 우테나  Adolescence 묵시록」이란 이름으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었다.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총집편이 아닌 이른바 '완전신작'이지만, TVA에서 연대기적으로 이어지는 속편 또한 아니다. 굳이 성격을 말하자면 TVA의 설정과 줄거리를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리뉴얼, [[리메이크]]에 가깝다.
===스토리===


== 줄거리 ==
{{빈 문단}}


==등장인물==
===등장인물===
; 텐죠 우테나 (天上 ウテナ)
* '''미카케 소우지'''
:{{배지|성우}} [[카와카미 토모코]]


; 히메미야 안시 (姫宮 アンシー)
* '''사이온지 쿄이치'''
:{{배지|성우}} [[후치자키 유리코]]


; 키류 토가 (桐生 冬芽)
* '''시노하라 와카바'''
:{{배지|성우}} [[코야스 타케히토]]


; 사이온지 쿄이치 (西園寺 莢一)
* '''시오리 타카츠키'''
:{{배지|성우}} [[쿠사오 타케시]]


; 아리스가와 쥬리 (有栖川 樹璃)
* '''아리스가와 쥬리'''
:{{배지|성우}} [[미츠이시 코토노]]


; 카오루 미키 (薫 幹)
* '''아키오 오오토리'''
:{{배지|성우}} [[히사카와 아야]]


; 키류 나나미 (桐生 七実)
* '''카오루 미키'''
:{{배지|성우}} [[시라토리 유리]]


; 오토리 아키오 (鳳 暁生)
* '''키류 토가'''
:{{배지|성우}} [[코스기 쥬로타]]


; 디오스 (ディオス)
* '''키류 나나미'''
:{{배지|성우}} [[유키 히로]]


; 미카게 소우지 (御影 草時)
* '''텐조 우테나'''
:{{배지|성우}} [[미도리카와 히카루]]


; 치다 마미야 (千唾 馬宮)
* '''히메미야 안시'''
:{{배지|성우}} [[카와무라 마리아]]


; 치다 토키코 (千唾 時子)
===스태프===
:{{배지|성우}} [[히다카 노리코]]
===삽입곡===
===각화 리스트===


; 시노하라 와카바 (篠原 若葉)
:{{배지|성우}} [[이마이 유카]]


; 카오루 코즈에 (薫 梢)
===미디어 믹스===
:{{배지|성우}} [[혼다 치에코]]
 
; 타카츠키 시오리 (高槻 枝織)
:{{배지|성우}} [[니시하라 쿠미코]]
 
; 츠치야 루카 (土谷 瑠果)
:{{배지|성우}} [[사사키 노조무]]
 
; 츠와부키 미츠루 (石蕗 美蔓)
:{{배지|성우}} [[야지마 아키코]]
 
== 용어 ==
{{빈 문단}}
 
== 주제가 ==
{{빈 문단}}
 
== 에피소드 ==
{{빈 문단}}
 
== 애니메이션 영화==
{{본문|소녀혁명 우테나 애덜레슨스 묵시록}}
[[1999년]]에 애니메이션 영화 《[[소녀혁명 우테나 애덜레슨스 묵시록]]》이 개봉했다.
 
== 파생 작품 ==
 
=== 만화 ===
{{빈 문단}}
 
=== 소설 ===
{{빈 문단}}
 
=== 게임 ===
{{빈 문단}}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king-cr.jp/special/utena/ 소녀혁명 우테나 - 킹 어뮤즈먼트 크리에이티브]
 
{{각주}}
[[분류:1997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
[[분류:학원 애니메이션]]
[[분류:J.C.STAFF]]
[[분류:마법소녀물]]
[[분류:백합 (장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