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0: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예시)
18번째 줄: 18번째 줄:


== 예시 ==
== 예시 ==
* [[끝 대상]]: <math>J = \mathbf 0</math>가 empty category일 때, <math>\mathbf 0</math>-형의 <math>\mathcal C</math>의 다이어그램은 자명하게 유일하며 이의 극한은 다름아닌 <math>\mathcal C>의 terminal object <math>1</math>이다.
* [[끝 대상]]: <math>J = \mathbf 0</math>가 empty category일 때, <math>\mathbf 0</math>-형의 <math>\mathcal C</math>의 다이어그램은 자명하게 유일하며 이의 극한은 다름아닌 <math>\mathcal C</math>의 '''terminal object''' <math>1</math>이다.
* [[곱 (범주론)|곱]]: <math>J</math>가 discrete category일 때, 다이어그램 <math>F: \; J \to \mathcal C</math>는 <math>\{X_\alpha \in \operatorname{ob} \mathcal C: \; \alpha \in J  \}</math>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때, 극한의 함수족 <math>\varphi_\bullet</math>이 projection mapping의 역할을 하게 되어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극한은 범주론적 곱이 된다.
* [[곱 (범주론)|곱]]: <math>J</math>가 discrete category일 때, 다이어그램 <math>F: \; J \to \mathcal C</math>는 <math>\{X_\alpha \in \operatorname{ob} \mathcal C: \; \alpha \in J  \}</math>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때, 극한의 함수족 <math>\varphi_\bullet</math>이 projection mapping의 역할을 하게 되어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극한은 '''범주론적 곱'''이 된다.
** 멱범주: <math>F</math>가 같은 것 <math>X</math>만 가리키는 함자이면, 즉 상수 다이어그램이면, 그 극한은 같은 대상을 여러 번 곱하는 것이므로 멱범주 <math>X^J</math>가 된다.
** 멱범주: <math>F</math>가 같은 것 <math>X</math>만 가리키는 함자이면, 즉 상수 다이어그램이면, 그 극한은 같은 대상을 여러 번 곱하는 것이므로 '''멱범주''' <math>X^J</math>가 된다.
* 이퀄라이저 (커널): If J is a category with two objects and two parallel morphisms from object 1 to object 2 then a diagram of type J is a pair of parallel morphisms in C. The limit L of such a diagram is called an equalizer of those morphisms.
* 이퀄라이저 (커널): 만약 <math>J= \{ \bullet\rightrightarrows \bullet \}</math>이면 다이어그램은 평행한(domain과 codomain이 같은) 두 morphism의 쌍을 나타낸다. 이때 그 극한은 두 morphism의 '''equalizer'''가 된다.
* [[당김]]: Let F be a diagram that picks out three objects X, Y, and Z in C, where the only non-identity morphisms are f : X → Z and g : Y → Z. The limit L of F is called a pullback or a fiber product. It can nicely be visualized as a commutative square:
* [[당김]]: Let F be a diagram that picks out three objects X, Y, and Z in C, where the only non-identity morphisms are f : X → Z and g : Y → Z. The limit L of F is called a pullback or a fiber product. It can nicely be visualized as a commutative square:
* [[역극한]]: Let J be a directed poset (considered as a small category by adding arrows i → j if and only if i ≤ j) and let F : Jop → C be a diagram. The limit of F is called (confusingly) an inverse limit or projective limit.
* [[역극한]]: Let J be a directed poset (considered as a small category by adding arrows i → j if and only if i ≤ j) and let F : Jop → C be a diagram. The limit of F is called (confusingly) an inverse limit or projective limit.
If J = 1, the category with a single object and morphism, then a diagram of type J is essentially just an object X of C. A cone to an object X is just a morphism with codomain X. A morphism f : Y → X is a limit of the diagram X if and only if f is an isomorphism. More generally, if J is any category with an initial object i, then any diagram of type J has a limit, namely any object isomorphic to F(i). Such an isomorphism uniquely determines a universal cone to F.
If J = 1, the category with a single object and morphism, then a diagram of type J is essentially just an object X of C. A cone to an object X is just a morphism with codomain X. A morphism f : Y → X is a limit of the diagram X if and only if f is an isomorphism. More generally, if J is any category with an initial object i, then any diagram of type J has a limit, namely any object isomorphic to F(i). Such an isomorphism uniquely determines a universal cone to F.


== 성질 ==
== 성질 ==

2017년 1월 21일 (토) 10:43 판

범주론에서, 극한은 (category의 object들의) , 당김(pullback), 역극한(inverse limit) 등의 공통적인 보편 성질(universal property)을 말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 범주론적 극한은 위상적인 극한을 포함한다. 즉, 위상적인 극한은 범주론적 극한의 특수한 경우이다.

정의

극한의 정의는 universal cone, 즉 보편 성질을 만족하는 이다. [math]\displaystyle{ J }[/math]-형의 [math]\displaystyle{ \mathcal C }[/math]다이어그램(공변 함자) [math]\displaystyle{ F: \; J \to \mathcal C }[/math] [math]\displaystyle{ (N, \psi) }[/math]이란 [math]\displaystyle{ J }[/math]의 임의의 대상 [math]\displaystyle{ X, Y }[/math]에 대하여 다음이 가환이게 하는 [math]\displaystyle{ \mathcal C }[/math]의 대상 [math]\displaystyle{ N }[/math]과 함수족 [math]\displaystyle{ \psi_\bullet }[/math]의 쌍이다. 즉, 그려지는 모든 삼각형이 가환이게 하는 쌍이다:

Cone.png

그러한 뿔 중,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을 가지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를 다이어그램 [math]\displaystyle{ F }[/math]극한이라고 한다: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임의의[math]\displaystyle{ (N, \psi)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N, L, F(X) }[/math] (F(X)는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object)
로 이루어진 아래 다이어그램을 가환하게 하는 사상 [math]\displaystyle{ u: \; N \to L }[/math](factorization)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Cone

즉, 다음을 가환하게 하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이다. (이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math]\displaystyle{ (N, \psi) }[/math]이 cone임에서 나온다.)

Commutative diagram for Categorical Limit

기존의 극한 개념으로 봤을 때 참으로 뜬금없는 정의인데, 왜 이름은 극한인 것인가? 그리고 이 개념을 정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많은 수의 범주론적 개념이 극한으로 일반화되기 때문이며, 범주론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인 보편 성질을 capture하기 때문이다.


예시

  • 끝 대상: [math]\displaystyle{ J = \mathbf 0 }[/math]가 empty category일 때, [math]\displaystyle{ \mathbf 0 }[/math]-형의 [math]\displaystyle{ \mathcal C }[/math]의 다이어그램은 자명하게 유일하며 이의 극한은 다름아닌 [math]\displaystyle{ \mathcal C }[/math]terminal object [math]\displaystyle{ 1 }[/math]이다.
  • : [math]\displaystyle{ J }[/math]가 discrete category일 때, 다이어그램 [math]\displaystyle{ F: \; J \to \mathcal C }[/math][math]\displaystyle{ \{X_\alpha \in \operatorname{ob} \mathcal C: \; \alpha \in J \} }[/math]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때, 극한의 함수족 [math]\displaystyle{ \varphi_\bullet }[/math]이 projection mapping의 역할을 하게 되어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극한은 범주론적 곱이 된다.
    • 멱범주: [math]\displaystyle{ F }[/math]가 같은 것 [math]\displaystyle{ X }[/math]만 가리키는 함자이면, 즉 상수 다이어그램이면, 그 극한은 같은 대상을 여러 번 곱하는 것이므로 멱범주 [math]\displaystyle{ X^J }[/math]가 된다.
  • 이퀄라이저 (커널): 만약 [math]\displaystyle{ J= \{ \bullet\rightrightarrows \bullet \} }[/math]이면 다이어그램은 평행한(domain과 codomain이 같은) 두 morphism의 쌍을 나타낸다. 이때 그 극한은 두 morphism의 equalizer가 된다.
  • 당김: Let F be a diagram that picks out three objects X, Y, and Z in C, where the only non-identity morphisms are f : X → Z and g : Y → Z. The limit L of F is called a pullback or a fiber product. It can nicely be visualized as a commutative square:
  • 역극한: Let J be a directed poset (considered as a small category by adding arrows i → j if and only if i ≤ j) and let F : Jop → C be a diagram. The limit of F is called (confusingly) an inverse limit or projective limit.

If J = 1, the category with a single object and morphism, then a diagram of type J is essentially just an object X of C. A cone to an object X is just a morphism with codomain X. A morphism f : Y → X is a limit of the diagram X if and only if f is an isomorphism. More generally, if J is any category with an initial object i, then any diagram of type J has a limit, namely any object isomorphic to F(i). Such an isomorphism uniquely determines a universal cone to F.

성질

해석학과 위상수학의 극한과의 관계

위상공간 [math]\displaystyle{ (X,\mathcal T) }[/math]이 주어져 있다고 하자. [math]\displaystyle{ \mathcal F(X) }[/math]를 X의 필터들의 ⊆-반순서집합이라고 하고, 작은 범주로 간주하자. [math]\displaystyle{ x\in X }[/math][math]\displaystyle{ F\in\mathcal F(X) }[/math]가 주어져 있을 때 [math]\displaystyle{ \mathcal U_X(x) }[/math][math]\displaystyle{ x }[/math]근방 필터라고 하고, [math]\displaystyle{ \mathcal F_{x,F}^f(X) }[/math][math]\displaystyle{ \{G\in\mathcal F(X):\; F\cup\mathcal U_X(x)\subseteq G\} }[/math]가 생성하는 [math]\displaystyle{ \mathcal F(X) }[/math]의 충만한 부분범주(포함 함자충만한 부분범주)라고 하자. [math]\displaystyle{ E:\mathcal F_{x,F}^f\hookrightarrow\mathcal F(X) }[/math]는 자명한 충실한 다이어그램이고, [math]\displaystyle{ \Delta }[/math]는 대각 함자이며 [math]\displaystyle{ \lambda:\; \Delta(F)\Rightarrow E }[/math][math]\displaystyle{ G\in\mathcal F_{x,F}^f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lambda(G):\; F\hookrightarrow G }[/math]가 포함 함자가 되게 하는 자연 변환이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F }[/math][math]\displaystyle{ (X, \mathcal T) }[/math]에서 [math]\displaystyle{ x }[/math]로 수렴하는 것과 [math]\displaystyle{ \lambda }[/math]가 다이어그램 [math]\displaystyle{ E }[/math]의 극한인 것이 동치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