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MT/연습장/0: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 범주론적 극한 =
[[범주론]]에서, '''극한'''은 (category의 object들의) [[곱 (범주론)|곱]], [[당김 (범주론)|당김]](pullback), [[역극한]](inverse limit) 등의 공통적인 [[보편 성질]](universal property)을 말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 범주론적 극한은 위상적인 극한을 포함한다. 즉, 위상적인 극한은 범주론적 극한의 특수한 경우이다.  
[[범주론]]에서, '''극한'''은 (category의 object들의) [[곱 (범주론)|곱]], [[당김 (범주론)|당김]](pullback), [[역극한]](inverse limit) 등의 공통적인 [[보편 성질]](universal property)을 말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 범주론적 극한은 위상적인 극한을 포함한다. 즉, 위상적인 극한은 범주론적 극한의 특수한 경우이다.  



2016년 12월 6일 (화) 01:56 판

범주론에서, 극한은 (category의 object들의) , 당김(pullback), 역극한(inverse limit) 등의 공통적인 보편 성질(universal property)을 말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념이다. 범주론적 극한은 위상적인 극한을 포함한다. 즉, 위상적인 극한은 범주론적 극한의 특수한 경우이다.

정의

극한의 정의는 universal cone, 즉 보편 성질을 만족하는 이다. 다이어그램 [math]\displaystyle{ F: \; J \to \mathcal C }[/math] [math]\displaystyle{ (N, \psi) }[/math]이란 [math]\displaystyle{ J }[/math]의 임의의 대상 [math]\displaystyle{ X, Y }[/math]에 대하여 다음이 가환이게 하는 대상과 함수족의 쌍이다. 즉, 그려지는 모든 삼각형이 가환이게 하는 것이다:

Cone.png

그러한 뿔 중,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을 가지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를 다이어그램(covariant functor) [math]\displaystyle{ F }[/math]극한이라고 한다: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임의의[math]\displaystyle{ (N, \psi)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N, L, F(X) }[/math] (F(X)는 주어진 다이어그램의 object)로 이루어진 아래 다이어그램을 가환하게 하는 사상 [math]\displaystyle{ u: \; N \to L }[/math](factorization)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Cone

즉, 다음을 가환하게 하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이다. (이는 [math]\displaystyle{ (L, \varphi) }[/math][math]\displaystyle{ (N, \psi) }[/math]이 cone임에서 나온다.)

Commutative diagram for Categorical Limit

기존의 극한 개념으로 봤을 때 참으로 뜬금없는 정의인데, 왜 이름은 극한인 것인가? 그리고 이 개념을 정의한 이유는 무엇인가?

범주론적 구조와 그 공통성, 보편 성질

성질

해석학과 위상수학의 극한과의 관계

위상공간 [math]\displaystyle{ (X,\mathcal O) }[/math]이 주어져 있다고 하자. [math]\displaystyle{ \mathcal F(X) }[/math]를 X의 필터들의 ⊆-반순서집합이라고 하고, 작은 범주로 간주하자. [math]\displaystyle{ x\in X }[/math][math]\displaystyle{ F\in\mathcal F(X) }[/math]가 주어져 있을 때 [math]\displaystyle{ \mathcal U_X(x) }[/math][math]\displaystyle{ x }[/math]근방 필터라고 하고, [math]\displaystyle{ \mathcal F_{x}^f(X) }[/math][math]\displaystyle{ \{G\in\mathcal F(X):\; F\cup\mathcal U_X(x)\subseteq G\} }[/math]가 생성하는 [math]\displaystyle{ \mathcal F(X) }[/math]의 충만한 부분범주(포함 함자충만한 부분범주)라고 하자. [math]\displaystyle{ E:\mathcal F_{x}^f\hookrightarrow\mathcal F(X) }[/math]는 자명한 충실한 다이어그램이고, [math]\displaystyle{ \Delta }[/math]는 대각 함자이며 [math]\displaystyle{ \lambda:\; \Delta(F)\Rightarrow E }[/math][math]\displaystyle{ G\in\mathcal F_{x}^f }[/math]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lambda(G):\; F\hookrightarrow G }[/math]가 포함 함자가 되게 하는 자연 변환이다. 그러면 [math]\displaystyle{ F }[/math][math]\displaystyle{ (X, \mathcal O) }[/math]에서 [math]\displaystyle{ x }[/math]로 수렴하는 것과 [math]\displaystyle{ \lambda }[/math]가 다이어그램 [math]\displaystyle{ E }[/math]의 극한인 것이 동치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