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성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방(方)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5,472가구, 81,71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의 인구순 성씨 목록|한국 성씨 인구]] 58위이다. 본관은 온양을 비롯하여 상주(尙州), 군위(軍威), 신창(新昌), 개성(開城), 강화(江華) 등 26본이 문헌에 전해지나 대종인 '''[[온양 방씨]]'''로 단일화되고 있다.
방(方)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25,472가구, 81,71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의 인구순 성씨 목록|한국 성씨 인구]] 58위이다. 본관은 온양을 비롯하여 상주(尙州), 군위(軍威), 신창(新昌), 개성(開城), 강화(江華) 등 26본이 문헌에 전해지나 대종인 '''[[온양 방씨]]'''로 단일화되고 있다.


'''[[온양 방씨]]'''(溫陽 方氏)의 시조 '''방지'''(方智)는 [[중국]] [[산둥성|산동]](山東) 출신이며, 방뢰(方雷)의 133세손 방군강(方君講)의 차남(次男)이다. 방지(方智)는 [[당나라|당(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669년]]([[당 고종]] 총장2, [[신라]] [[문무왕]] 9)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文化使節)로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설총]](薛聰)과 함께 구경(九經)의 회통(會統)을 국역하였고, 장씨(張氏)와 혼인하여 가유현(嘉猷縣: 현 경북 [[상주시]])에 정착하였다.
'''[[온양 방씨]]'''(溫陽 方氏)의 시조 '''방지'''(方智)는 [[중국]] [[산둥 성|산동]](山東) 출신이며, 방뢰(方雷)의 133세손 방군강(方君講)의 차남(次男)이다. 방지(方智)는 [[당나라|당(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669년]]([[당 고종]] 총장2, [[신라]] [[문무왕]] 9)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文化使節)로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설총]](薛聰)과 함께 구경(九經)의 회통(會統)을 국역하였고, 장씨(張氏)와 혼인하여 가유현(嘉猷縣: 현 경북 [[상주시]])에 정착하였다.


방지의 6세손 '''방운'''(方雲)이 고려 태조를 도와 후백제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워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중무장군(中武將軍)과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좌승지(左承旨), 지성사(知省事) 등을 역임한 후 좌복야(左僕射)에 이르렀다.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이 침입했을 때 방운은 공훈을 세워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지고 [[온양동|온양]](溫陽), [[신창면|신창]](新昌), [[아산시|아산]](牙山)의 3읍을 식읍(食邑)으로 하사 받으면서 온양을 관향으로 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1073 온양 방씨 - 네이버 지식백과]</ref>
방지의 6세손 '''방운'''(方雲)이 고려 태조를 도와 후백제를 정벌하는 데 공을 세워 성종 대에 이르기까지 중무장군(中武將軍)과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좌승지(左承旨), 지성사(知省事) 등을 역임한 후 좌복야(左僕射)에 이르렀다.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이 침입했을 때 방운은 공훈을 세워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지고 [[온양동|온양]](溫陽), [[신창면|신창]](新昌), [[아산시|아산]](牙山)의 3읍을 식읍(食邑)으로 하사 받으면서 온양을 관향으로 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91073 온양 방씨 - 네이버 지식백과]</ref>
21번째 줄: 21번째 줄:
20세손 '''[[방유령]]'''(方有寧)은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오르고, 148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淸宦)에 있다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로 파직당하였으나 다음해 4월 [[사헌부]]집의로 등용되었다. 1506년(중종 1) 함경남도[[절도사]], 1512년 좌부승지, 1515년 [[대사헌]](大司憲), 1516년 [[이조]][[참판]](吏曹參議), 1517년(중종 12년)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공조]][[참판]](工曹參判)을 거쳐 1519년 [[병조]][[참판]], 1520년 [[병조]][[판서]]에 특차되었고, 1523년 경상도[[관찰사]], 1524년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가 되었다.<ref>{{한민족백과|E0021765|방유령}}</ref>
20세손 '''[[방유령]]'''(方有寧)은 1486년(성종 17) 사마시에 오르고, 148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청환(淸宦)에 있다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로 파직당하였으나 다음해 4월 [[사헌부]]집의로 등용되었다. 1506년(중종 1) 함경남도[[절도사]], 1512년 좌부승지, 1515년 [[대사헌]](大司憲), 1516년 [[이조]][[참판]](吏曹參議), 1517년(중종 12년)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공조]][[참판]](工曹參判)을 거쳐 1519년 [[병조]][[참판]], 1520년 [[병조]][[판서]]에 특차되었고, 1523년 경상도[[관찰사]], 1524년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가 되었다.<ref>{{한민족백과|E0021765|방유령}}</ref>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고손녀 사위이자 증 병조판서 [[방윤]](方輪)의 아들인 '''[[방호의]]'''(方好義)는 1514년(중종 9)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525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 1536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1545년(명종 즉위년)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하고, 1554년 정2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56년 청홍도병마[[절도사]](淸洪道兵馬節度使)로서 왜구의 방어에 공헌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6746 방호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방호의]]의 손자이자 [[정언각]]의 외손자인 '''[[방덕룡]]'''(方德龍)은 1588년(선조 21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내고, 낙안[[군수]]로 재직할 때 [[이순신]]의 선봉으로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여 형조참의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처가도 방(方)씨였으며, [[이순신]]은 보성군수를 지낸 장인 [[방진]](方震)의 후원으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조선 선조|선조]] 때 방씨 부인을 정경부인으로 봉하면서 내린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는 보물 제1564-8호이다.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고손녀 사위이자 증 병조판서 [[방윤]](方輪)의 아들인 '''[[방호의]]'''(方好義)는 1514년(중종 9)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525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 1536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 1545년(명종 즉위년)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하고, 1554년 정2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1556년 청홍도병마[[절도사]](淸洪道兵馬節度使)로서 왜구의 방어에 공헌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6746 방호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방호의]]의 손자이자 [[정언각]]의 외손자인 '''[[방덕룡]]'''(方德龍)은 1588년(선조 21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내고, 낙안[[군수]]로 재직할 때 [[이순신]]의 선봉으로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여 형조참의에 추증되고,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처가도 방(方)씨였으며, [[이순신]]은 보성군수를 지낸 장인 [[방진]](方震)의 후원으로 무과에 급제하였다. [[조선 선조|선조]] 때 방씨 부인을 정경부인으로 봉하면서 내린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는 보물 제1564-8호이다.  


[[조선 정조]] 때 무과에 급제한 [[방우정]](方禹鼎) 장군은 서정군(西征軍)의 좌초관(左哨官)으로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 《서정일기(西征日記)》는 역사적인 사료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조선 정조]] 때 무과에 급제한 [[방우정]](方禹鼎) 장군은 서정군(西征軍)의 좌초관(左哨官)으로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 《서정일기(西征日記)》는 역사적인 사료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27번째 줄: 27번째 줄:
[[방우정]](方禹鼎)의 동생 방우준(方禹準)의 5대손인 소파(小波) [[방정환]](方定煥) 선생은 일제 강점기에 민족사상 혁명의 선구자로서 짧은 일생을 나라를 위해 바쳤다. 그는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신문」을 인쇄하여 돌렸고, 아동문학가로도 활동하였다. 이 밖에 독립운동가 [[방한민]],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방순희]], 한족회 총관 [[방기전]] 등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하였다.
[[방우정]](方禹鼎)의 동생 방우준(方禹準)의 5대손인 소파(小波) [[방정환]](方定煥) 선생은 일제 강점기에 민족사상 혁명의 선구자로서 짧은 일생을 나라를 위해 바쳤다. 그는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신문」을 인쇄하여 돌렸고, 아동문학가로도 활동하였다. 이 밖에 독립운동가 [[방한민]],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방순희]], 한족회 총관 [[방기전]] 등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하였다.


근현대 인물로는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방우영]], [[방일영]], [[방상훈]], 대법원 대법관 [[방준경]], [[방순원]], 국회의원 [[방만수]], [[방성출]], [[방일홍]], [[방용석]], [[기획재정부 차관]] [[방문규]] 등이 있다. 학계의 주요 인물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영주]] 교수, KAIST [[방효충]] 교수 등이 있다. 체육계에는 대한농구협회 회장 [[방열]], 농구 선수 [[방성윤]], 배구 선수 [[방신봉]], 올림픽 배드민턴 금메달리스트 [[방수현]] 선수가 있다. 방송인으로는 아나운서 [[방현주]], 배우 [[성준 (배우)|방성준]], 가수 걸스데이 [[민아|방민아]], 틴탑 [[방민수]] 등이 있다. 종교인으로는 천주교 신부 [[방유룡]]이 있다.
근현대 인물로는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방우영]], [[방일영]], [[방상훈]], 대법원 대법관 [[방준경]], [[방순원]], 국회의원 [[방만수]], [[방성출]], [[방일홍]], [[방용석]], [[기획재정부 차관]] [[방문규]] 등이 있다. 학계의 주요 인물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영주]] 교수, KAIST [[방효충]] 교수 등이 있다. 체육계에는 대한농구협회 회장 [[방열]], 농구 선수 [[방성윤]], 배구 선수 [[방신봉]], 올림픽 배드민턴 금메달리스트 [[방수현]] 선수가 있다. 방송인으로는 아나운서 [[방현주]], 배우 [[성준 (배우)|방성준]], 가수 걸스데이 [[민아|방민아]], 틴탑 [[방민수]] 등이 있다.


'''방'''(方, Fāng)성은 중국 백가성(百家姓) 제56위이다. 역사 인물로는 중국 [[명나라]] 때의 학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02170 방이지(方以智)], [[청나라]] 때의 학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02142 방동수(方東樹)] 등이 유명하다. [[중국]]의 「방씨원류역사연구회」, 방씨전족통보이사회(方氏全族統譜理事會)와 한국의 [[온양 방씨|온양방씨]]중앙종친회는 인적·물적 교류를 해오고 있다.
'''방'''(方, Fāng)성은 중국 백가성(百家姓) 제56위이다. 역사 인물로는 중국 [[명나라]] 때의 학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02170 방이지(方以智)], [[청나라]] 때의 학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02142 방동수(方東樹)] 등이 유명하다. [[중국]]의 「방씨원류역사연구회」, 방씨전족통보이사회(方氏全族統譜理事會)와 한국의 [[온양 방씨|온양방씨]]중앙종친회는 인적·물적 교류를 해오고 있다.
53번째 줄: 53번째 줄:
호조좌랑 [[방귀화]](房貴和)의 손자 [[방응현]](房應賢)은 학자로 유명했고, 그가 세운 [[사계정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6호로 지정되어 있다.<ref>{{문화재청 문화재|31,01660000,35|사계정사}}</ref> [[방응현]]의 손자 [[방원정]](房元井)은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1646년(인조 24) 문과에 급제한 후 삼례찰방(參禮察訪)에 임명되어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었으며, 국가의 시장정책(市場政策)의 허점을 지적하며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나라가 부강해지도록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외에도 외교정책(外交政策) 등 다방면에 깊은 식견을 지녔으며, 저서로 《지족와집(知足窩集)》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6691 방원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방원정]]의 형 방원진(房元震)과 창평 [[현령]](昌平縣令) [[방원량]](房元亮)도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키고 정묘호란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하였으며, 병자호란 때도 의병을 일으켰다. [[방복령]](房復齡)은 1601년(선조 34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전농시주부(典農寺主簿)를 거쳐, 1604년 제주판관(濟州判官), 강상현감(康翔縣監)을 지내다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왔다.
호조좌랑 [[방귀화]](房貴和)의 손자 [[방응현]](房應賢)은 학자로 유명했고, 그가 세운 [[사계정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6호로 지정되어 있다.<ref>{{문화재청 문화재|31,01660000,35|사계정사}}</ref> [[방응현]]의 손자 [[방원정]](房元井)은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1646년(인조 24) 문과에 급제한 후 삼례찰방(參禮察訪)에 임명되어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었으며, 국가의 시장정책(市場政策)의 허점을 지적하며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나라가 부강해지도록 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외에도 외교정책(外交政策) 등 다방면에 깊은 식견을 지녔으며, 저서로 《지족와집(知足窩集)》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6691 방원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방원정]]의 형 방원진(房元震)과 창평 [[현령]](昌平縣令) [[방원량]](房元亮)도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키고 정묘호란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하였으며, 병자호란 때도 의병을 일으켰다. [[방복령]](房復齡)은 1601년(선조 34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전농시주부(典農寺主簿)를 거쳐, 1604년 제주판관(濟州判官), 강상현감(康翔縣監)을 지내다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왔다.


현대 인물로는 법조인 [[방극성]], 제4대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 작곡가 [[방시혁]], 배우 [[고은아]](방효진), 가수 엠블랙 [[미르 (가수)|미르]](방철용) 등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법조인 [[방극성]], 제4대 [[대한민국의 고용노동부 장관|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 작곡가 [[방시혁]], 배우 [[고은아]](방효진), 가수 엠블랙 [[미르 (가수)|미르]](방철용) 등이 있다.  
 
중화권 영화 배우 [[성룡]]의 본명이 방사룡(房仕龍, 팡 스룽)이며, [[방현령]]의 후손이라고 한다.
중화권 영화 배우 [[성룡]]의 본명이 방사룡(房仕龍, 팡 스룽)이며, [[방현령]]의 후손이라고 한다.


==클 방 龐==
==클 방 龐==
방(庞, Páng)은 중국 백가성(百家姓) 제120위이다. '''방'''('''龐''')씨는 크게 [[주나라]] 희성 계열과 고대 [[전욱|전욱 고양]]의 영성 계열이 있다.
방(庞, Páng)은 중국 백가성(百家姓) 제120위이다. '''방'''('''龐''')씨는 크게 [[주나라]] 희성 계열과 고대 [[전욱|전욱 고양]]의 영성 계열이 있다.


방씨(龐氏)는 중국 시평(始平 : [[섬서성]] 관중도 흥평현의 진나라 때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다. 역사 인물로는 주(周)나라 현왕(顯王) 때 장군 방연(龐涓)과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 때 장군 방명(龐萌) 등이 있었다.
방씨(龐氏)는 중국 시평(始平 : [[섬서성]] 관중도 흥평현의 진나라 때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다. 역사 인물로는 주(周)나라 현왕(顯王) 때 장군 방연(龐涓)과 한(漢)나라 광무제(光武帝) 때 장군 방명(龐萌) 등이 있었다.
69번째 줄: 68번째 줄:


==나라 방 邦==
==나라 방 邦==
방씨(邦氏)는 중국 대군(代郡 : 산서성(山西省) 안문도 대현(鴈門道代縣)의 진나라 때 이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방씨(邦氏)는 중국 대군(代郡 : 산서성(山西省) 안문도 대현(鴈門道代縣)의 진나라 때 이름)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명나라 당왕(唐王) 때 진강(鎭江) 출신인 '''방포'''(邦苞)의 후손이 [[조선]]에 귀화하여 세계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나라 당왕(唐王) 때 진강(鎭江) 출신인 '''방포'''(邦苞)의 후손이 [[조선]]에 귀화하여 세계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75번째 줄: 74번째 줄:
방(邦)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81가구, 1,547명으로 조사됐다. 본관은 광주(廣州), 무안(務安), 수다(水多), 괴산(槐山) , 영흥(永興), 해주(海州), 예천(醴泉), 철원(鐵原), 파주(坡州), 풍기(豊基) 등 10본이다.
방(邦)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481가구, 1,547명으로 조사됐다. 본관은 광주(廣州), 무안(務安), 수다(水多), 괴산(槐山) , 영흥(永興), 해주(海州), 예천(醴泉), 철원(鐵原), 파주(坡州), 풍기(豊基) 등 10본이다.


역사 인물로는 [[무안 방씨|무안]](務安)을 본관으로 하는 방준상(邦俊相)이 [[조선 영조]] 26년(17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로 무과에 급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ref>《경오식년문무과방목(庚午式年文武科榜目)》</ref> 그의 아버지는 종6품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한 방필원(邦弼元)이며, 형은 방유언(邦有彦)이다.
역사 인물로는 [[무안 방씨|무안]](務安)을 본관으로 하는 방준상(邦俊相)이 [[조선 영조]] 26년(1750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로 무과에 급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ref> 《경오식년문무과방목(庚午式年文武科榜目)》 </ref> 그의 아버지는 종6품 부사과(副司果)를 역임한 방필원(邦弼元)이며, 형은 방유언(邦有彦)이다.  
 
근대 인물로는 기독교 장로회 최초의 7인 목사 중 한 사람인 [[방기창]](邦基昌, 1851년 ~ 1911년)이 있다.
근대 인물로는 기독교 장로회 최초의 7인 목사 중 한 사람인 [[방기창]](邦基昌, 1851년 ~ 1911년)이 있다.


{{각주}}
{{각주}}


{{한국인의 성씨}}
{{한국의 성씨}}
{{퍼온문서|방 (성씨)|15570816}}
{{퍼온문서|방 (성씨)|15570816}}


[[분류:중국의 성씨]]
[[분류: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분류:한국인의 성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