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붙여진 " 문자열을 "붙은 " 문자열로)
6번째 줄: 6번째 줄:


==민중가요를 자주 들을 수 있는 곳==
==민중가요를 자주 들을 수 있는 곳==
* 집회나 시위 현장 : 특히 반정부적인 성향이나 노동운동과 관련된 시위에는 빠짐없이 등장한다
* 집회나 시위 현장 : 특히 반정부적인 성향이나 노동운동과 관련된 시위에는 빠짐없이 등장한다.
* 대학의 운동권 동아리 : 원래 독자적으로 민중가요를 구전으로 보급(?)하던 곳이 바로 대학이었다.
* 대학의 운동권 동아리 : 원래 독자적으로 민중가요를 구전으로 보급(?)하던 곳이 바로 대학이었다.
* 성당에서 열리는 행사의 경우, 나오는 곳이 몇 있다.
* 성당에서 열리는 행사의 경우, 나오는 곳이 몇 있다.
* 시국예배: [[개신교]] 사회선교 단체에서 예배나 기도회의 이름으로 데모를 벌일 때 자주 등장한다. 아예 특별찬양을 민중가요로 부르기도 한다.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2015년 6월 12일 (금) 01:28 판

개요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대중가요를 비롯한 주류 노래문화에 대한 비판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구전 등의 독자적 유통구조를 통해 발달한 노래[1] 1980년대 이전까지는 민중가요라는 특별한 장르가 있지는 않았었다. 다만 해당 시기에 민주화 운동이나 노동운동 등을 통하여 민중가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아예 이쪽 장르의 음악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결과 일반적인 대중음악과의 장르 분리를 하여 구분을 지어야 할 필요성에 따라 민중가요라는 명칭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민중가요의 기원은 멀리 보면 일제강점기에 불렀던 항일 관련 노래와 해방 이후의 금지곡들[2]까지 포함이 되며,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농가나 노동요 같은 것도 여기에 들아갈 수 있다.

민중가요를 자주 들을 수 있는 곳

  • 집회나 시위 현장 : 특히 반정부적인 성향이나 노동운동과 관련된 시위에는 빠짐없이 등장한다.
  • 대학의 운동권 동아리 : 원래 독자적으로 민중가요를 구전으로 보급(?)하던 곳이 바로 대학이었다.
  • 성당에서 열리는 행사의 경우, 나오는 곳이 몇 있다.
  • 시국예배: 개신교 사회선교 단체에서 예배나 기도회의 이름으로 데모를 벌일 때 자주 등장한다. 아예 특별찬양을 민중가요로 부르기도 한다.

외부 링크

각주

  1. 한국민족문화대박과 인용
  2. 주로 높으신 분들의 마음에 들지 않는 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