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슬러그 디펜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분류:모바일 게임]]
|게임이름 = 메탈슬러그 디펜스
[[분류:메탈슬러그 시리즈]]
|원어이름 = METAL SLUG DEFENSE
{{넘겨주기 있음|MSD}}
|배경색  =
{{넘겨주기 있음|메슬디}}
|글자색  =
 
|그림    = [[파일:METAL SLUG DEFENSE logo.png|300px]]
== 개요 ==
|그림설명 = 로고
메탈슬러그 디펜스는 [[SNK Playmore|SNK]](디펜스가 나올 당시는 SNK playmore))에서 개발한 디펜스 게임이다. 요즘 디펜스가 그러하듯이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하라는 디펜스는 안하고.]] 적의 기지를 파괴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정말로 기지를 사수해야 하는 이벤트 모드나, 작정하면 아예 우주방어만 할 수 있는 등 자유도가 높은 편이다.
|배급사  = [[SNK]]
|개발사  = [[SNK Playmore]]
|제작    =
|작가    =
|미술    =  
|작곡가  =  
|장르    = [[타워 디펜스]]
|출시일  = [[2014년]] [[5월 1일]]
|종료일  =
|플랫폼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Windows]]
|모드    = 멀티플레이
|언어    = [[일본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엔진    =
|시리즈  = [[메탈슬러그 시리즈]]
|이전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http://game.snk-corp.co.jp/official/metalslug_defense/ 공식 사이트]
|비고    =
}}
《'''메탈슬러그 디펜스'''》(METAL SLUG DEFENSE)는 [[일본]]의 [[SNK Playmore|SNK]](디펜스가 나올 당시는 SNK Playmore)에서 개발한 디펜스 게임이다. 요즘 디펜스가 그러하듯이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하라는 디펜스는 안하고.]] 적의 기지를 파괴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정말로 기지를 사수해야 하는 이벤트 모드가 있거나 작정하면 아예 우주방어만 할 수 있는 등 자유도가 높은 편이다.


== 시스템 ==
== 시스템 ==
97번째 줄: 77번째 줄:


==== 이벤트 스테이지 ====
==== 이벤트 스테이지 ====
업데이트에 따라 바뀌는 스테이지로, 현재 버전의 이벤트 스테이지는 협력 전투이다. 협력 전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덱의 총합 AP를 통해 난이도를 선택한뒤, 스테이지를 선택한 뒤 WIFI를 통해 같이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사람 1명을 구하고, 스테이지 클리어시 얻는 협력 포인트로 여러 가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협력). 또한 스테이지 선택을 제외한 방법도 있고(출격), S랭크로 클리어한 스테이지+각각의 스테이지에서 획득한 2000협력 포인트로 유닛을 바로 입수할 수 있다. 아래는 그 목록. 괄호 안에 처져 있는 건 가격이다.
업데이트에 따라 바뀌는 스테이지로, 현재 버전의 이벤트 스테이지는 협력 전투이다. 협력 전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덱의 총합 AP를 통해 난이도를 선택한뒤, 스테이지를 선택한 뒤 WIFI를 통해 같이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사람 1명을 구하고, 스테이지 클리어시 얻는 협력 포인트로 여러가지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협력). 또한 스테이지 선택을 제외한 방법도 있고(출격), S랭크로 클리어한 스테이지+각각의 스테이지에서 획득한 2000협력 포인트로 유닛을 바로 입수할 수 있다. 아래는 그 목록. 괄호 안에 처져 있는 건 가격이다.
* 상점에서 구매
* 상점에서 구매
연구원(100)<br />
연구원(100)<br>
아마데우스 로봇(100)<br />
아마데우스 로봇(100)<br>
아마데우스 타입 a(2000)
아마데우스 타입 a(2000)
아마데우스 타입 b(2000)<br />
아마데우스 타입 b(2000)<br>
알렌 오닐(분노)(1000)<br />
알렌 오닐(분노)(1000)<br>
샌드마린(1000)<br />
샌드마린(1000)<br>
포워(200)<br />
포워(200)<br>
발로르(300)<br />
발로르(300)<br>
눈사람 마르코<br />
눈사람 마르코<br>
눈사람 타마(10)
눈사람 타마(10)
눈사람 에리(10)
눈사람 에리(10)
눈사람 피오(10)
눈사람 피오(10)
눈사람 트레버(10)
눈사람 트레버(10)
눈사람 나디아(10)<br />
눈사람 나디아(10)<br>
좀비 에리(100)
좀비 에리(100)
좀비 피오(150)
좀비 피오(150)
좀비 타마(250)
좀비 타마(250)
좀비 트레버(500)
좀비 트레버(500)
좀비 나디아(500)<br />
좀비 나디아(500)<br>
타르만(레드) (300)<br />
타르만(레드) (300)<br>
달마뉴(3000)<br />
달마뉴(3000)<br>
슬러그 기간트(2000)<br />
슬러그 기간트(2000)<br>
다이만지(500)<br />
다이만지(500)<br>
정규군 헬기(1000)<br />
정규군 헬기(1000)<br>
모덴 원수(디 코카.ver)
모덴 원수(디 코카.ver)
대마왕: 계급 대마왕을 달성하면 상점에 출연하며, 마르코/타마/에리/피오의 종류가 있다.(10000)<br />
대마왕: 계급 대마왕을 달성하면 상점에 출연하며, 마르코/타마/에리/피오의 종류가 있다.(10000)<br>
크라켄: 스테이지5의 모든 난이도를 클리어 해야 상점에 출연한다.(5000)<br />
크라켄: 스테이지5의 모든 난이도를 클리어 해야 상점에 출연한다.(5000)<br>
정규군 코어(200)
정규군 코어(200)
모덴군 코어(200)
모덴군 코어(200)
131번째 줄: 111번째 줄:
마즈피플 코어(200)
마즈피플 코어(200)
무소속 코어(200)
무소속 코어(200)
KOF 코어(200)<br />
KOF 코어(200)<br>
10000 MSP(100)
10000 MSP(100)
50000 MSP(500)
50000 MSP(500)
100000 MSP(1000)<br />
100000 MSP(1000)<br>
10 MEDAL(100)
10 MEDAL(100)
30 MEDAL(500)
30 MEDAL(500)
50 MEAL(1000)
50 MEAL(1000)
100 메달(5000)<br />
100 메달(5000)<br>


* 포인트로 입수
* 포인트로 입수
월터 라이언<br />
월터 라이언<br>
타이라 엘슨<br />
타이라 엘슨<br>
김렛<br />
김렛<br>
레드 아이<br />
레드 아이<br>
이멘 마하<br />
이멘 마하<br>
정규군 트럭
정규군 트럭
===== 포로/이벤트 스테이지 =====
===== 포로/이벤트 스테이지 =====


==== 삭제된 이벤트 ====
==== 삭제된 이벤트 ====
;다이만지 스테이지
* 다이만지 스테이지
:다이만지를 얻을 수 있었던 스테이지다. 포로를 구출하는 것으로 다이만지를 입수 가능하며, 그 당시 기준으로 어려운 편에 속한다.
다이만지를 얻을 수 있었던 스테이지다. 포로를 구출하는 것으로 다이만지를 입수 가능하며, 그당시 기준으로 어려운 편에 속한다.
 
* 냥코 대전쟁 스테이지
;냥코 대전쟁 스테이지
여러가지 냥코 캐릭터를 얻을 수 있었던 스테이지다. 스테이지 난이도는 그당시 기준으로 고만고만하지만 일부 스테이지가 매우 어려운 편.
:여러 가지 냥코 캐릭터를 얻을 수 있었던 스테이지다. 스테이지 난이도는 그당시 기준으로 고만고만하지만 일부 스테이지가 매우 어려운 편.
* MSD MAX
 
프토레마이크 유닛들이 주가 되는 스테이지다. 스테이지 난이도는 그당시 기준으로 꽤나 어려운 편에 속하지만, 정규군 헬기를 얻기 위해 포로 구출을 하려면 그보다 어렵다.
;MSD MAX
* 한여름의 호러 나이트
:프토레마이크 유닛들이 주가 되는 스테이지다. 스테이지 난이도는 그당시 기준으로 꽤나 어려운 편에 속하지만, 정규군 헬기를 얻기 위해 포로 구출을 하려면 그보다 어렵다.
좀비 유닛들이 주가 되는 스테이지다. 포로를 구출하는 것으로 좀비 정규군과 레드 타르만을 얻을 수있고, 최종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할로윈병을 상점에서 출현시킬 수 있다.
 
* 슬러그 기간트 스테이지
;한여름의 호러 나이트
난이도를 선택해 포로 대용으로 부품들을 구할 수 있으며, 전부 구하면 슬러그 기간트를 준다. 괜히 확률 높다고 높은 난이도로 하지말고 낮은 난이도로 서너번 굴려도 부품이 나오니 헛고생 하지 말자. 그리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레벨 기간트를 상점에서 출연시킬 수 있지만, 현재는 그냥 삼정에 언락되어 있다.
:좀비 유닛들이 주가 되는 스테이지다. 포로를 구출하는 것으로 좀비 정규군과 레드 타르만을 얻을 수 있고, 최종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할로윈병을 상점에서 출현시킬 수 있다.
* 비보 탈환 대작전
 
상대 기지는 무적에다가 지속적으로 화염까지 뿜는데, 이 이벤트는 제한 시간동안 버티기+유닛들을 처치함으로써 확률적으로 얻는 비보로 여러 아이템을 구매할수 있다. 코어, 샌드 마린, 분노 알렌, 연구원, 아마데우스 로봇, 아마데우스 타입 시리즈 등등의 유닛의 구매가 가능하며 MSP(중복 구매 가능), 메달의 구매가 가능했다.
;슬러그 기간트 스테이지
* 전장의 멜티 크리스마스
:난이도를 선택해 포로 대용으로 부품들을 구할 수 있으며, 전부 구하면 슬러그 기간트를 준다. 괜히 확률 높다고 높은 난이도로 하지 말고 낮은 난이도로 서너 번 굴려도 부품이 나오니 헛고생 하지 말자. 그리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는 것으로 레벨 기간트를 상점에서 출연시킬 수 있지만, 현재는 그냥 삼정에 언락되어 있다.
위의 비보 탈환 작전과 비슷하지만, 스테이지가 바뀌었고 상대 기지(=냉장고)를 공격하는 것으로 크리스마스 코인을 얻을 수 있다. 카브라칸을 상점에서 출연시킬 수 있다. 눈사람 정규군과 포워가 추가되었고 비보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유닛들 또한 구매 할수 있지만, 메달 구매는 초기화되었다.  
 
;비보 탈환 대작전
:상대 기지는 무적에다가 지속적으로 화염까지 뿜는데, 이 이벤트는 제한 시간 동안 버티기+유닛들을 처치함으로써 확률적으로 얻는 비보로 여러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코어, 샌드 마린, 분노 알렌, 연구원, 아마데우스 로봇, 아마데우스 타입 시리즈 등등의 유닛의 구매가 가능하며 MSP(중복 구매 가능), 메달의 구매가 가능했다.
 
;전장의 멜티 크리스마스
:위의 비보 탈환 작전과 비슷하지만, 스테이지가 바뀌었고 상대 기지(=냉장고)를 공격하는 것으로 크리스마스 코인을 얻을 수 있다. 카브라칸을 상점에서 출연시킬 수 있다. 눈사람 정규군과 포워가 추가되었고 비보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유닛들 또한 구매할 수 있지만, 메달 구매는 초기화되었다.


==== 강화 ====
==== 강화 ====
185번째 줄: 159번째 줄:
아무리 초반이라도 업그레이드를 골고루 해야 하지만, 기지HP, 행거Lv, 메탈 슬러그 어택Lv은 최대한 뒤로 미루는 것이 좋다. 다만 언젠가는 출격 모드보다 어려운 스테이지를 위해 업그레이드를 전부 해야 한다.
아무리 초반이라도 업그레이드를 골고루 해야 하지만, 기지HP, 행거Lv, 메탈 슬러그 어택Lv은 최대한 뒤로 미루는 것이 좋다. 다만 언젠가는 출격 모드보다 어려운 스테이지를 위해 업그레이드를 전부 해야 한다.
===== 유닛(강화) =====
===== 유닛(강화) =====
유닛을 강화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유닛을 입수하면 레벨 1부터 시작되며, MSP를 소비함으로써 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보통 업그레이드를 전부 완료했을 시에는 대략 3배의 능력치를 지니게 되지만, 유닛 밑의 정보창에 쓰인 스펙, 예를 들어 이동 속도, 공격 범위등은 바뀌지 않는다. 유닛은 1~20레벨까지는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그 이후로는 제한이 걸리는데, 자물쇠 모양의 마크를 누르는 것으로 업그레이드 한도를 제거할 수 있다. 20레벨 이후로는 5레벨마다 제한이 있는데, 코어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으로 40레벨을 뚫을 권한이 주어질 수 있다. 다만 코어를 사면 30~40까지의 레벨업이 한번에 되는데, 기존의 35레벨에서 코어를 사면 또 MSP나 메달을 들여 35~40구간을 뚫어야 하니, 코어는 웬만하면 최대한 빨리 구매하자.
유닛을 강화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유닛을 입수하면 레벨 1부터 시작되며, MSP를 소비함으로써 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보통 업그레이드를 전부 완료했을 시에는 대략 3배의 능력치를 지니게 되지만, 유닛 밑의 정보창에 쓰인 스펙, 예를 들어 이동 속도, 공격 범위등은 바뀌지 않는다. 유닛은 1~20레벨까지는 바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그 이후로는 제한이 걸리는데, 자물쇠 모양의 마크를 누르는 것으로 업그레이드 한도를 제거할 수 있다. 20레벨 이후로는 5레벨마다 제한이 있는데, 코어 아이템을 구매하는 것으로 40레벨을 뚫을 권한이 주어질 수 있다. 다만 코어를 사면 30~40까지의 레벨업이 한번에 되는데, 기존의 35레벨에서 코어를 사면 또 MSP나 메달을 들여 35~40구간을 뚫어야 하니, 코어는 왠만하면 최대한 빨리 구매하자.
=====편성(DECK) =====
=====편성(DECK) =====
최소 1, 최대 10기의 유닛을 조합하여 하나의 덱을 짤 수 있다. 플레이어는 총 3 종류의 덱을 짤 수 있으며, 우측 상단에는 합계 AP가 표기되어 있고,  한번도 만지지 않은 덱에는 기본적으로 병사가 들어가 있다.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유닛을 선택하여 덱을 짤 수 있고, 이를 통해 여러 모드에서 유닛들을 출격시킬 수 있다.
최소 1, 최대 10기의 유닛을 조합하여 하나의 덱을 짤 수 있다. 플레이어는 총 3 종류의 덱을 짤 수 있으며, 우측 상단에는 합계 AP가 표기되어 있고,  한번도 만지지 않은 덱에는 기본적으로 병사가 들어가 있다.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유닛을 선택하여 덱을 짤 수 있고, 이를 통해 여러 모드에서 유닛들을 출격시킬 수 있다.
193번째 줄: 167번째 줄:
* 비슷한 순위와 대전: 말그대로 비슷한 순위와 대전한다. 순위가 올라갈수록 개성이 없어지는 덱들을 볼수 있다.
* 비슷한 순위와 대전: 말그대로 비슷한 순위와 대전한다. 순위가 올라갈수록 개성이 없어지는 덱들을 볼수 있다.
* 전체 순위와 대전: 전체 유저를 대상으로 검색한다. 가장 빨리 매칭이 잡히는 편이다.
* 전체 순위와 대전: 전체 유저를 대상으로 검색한다. 가장 빨리 매칭이 잡히는 편이다.
* 비슷한 AP와 대전: 덱의 AP가 가장 비슷한 대상으로 검색한다.
* 비슷한 AP와 대전: 덱의 AP가 가장 비슷한 대상으로 검색한다.  


=== 상점 ===
=== 상점 ===
213번째 줄: 187번째 줄:
다른 게임의 보석 정도의 가치를 지닌 화폐. 현질로 얻거나, 각종 WI-FI 보상, 출석 보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고, 의외에 이벤트 포인트로 구매하거나 일정한 출격 모드를 클리어시 혹은 S급으로 특정 지역을 클리어시도 지급된다. 메달이 필요한 유닛을 구매하거나 레벨 제한 해제, MSP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항상 부족한 것이 메달이니 현명히 쓰도록.
다른 게임의 보석 정도의 가치를 지닌 화폐. 현질로 얻거나, 각종 WI-FI 보상, 출석 보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고, 의외에 이벤트 포인트로 구매하거나 일정한 출격 모드를 클리어시 혹은 S급으로 특정 지역을 클리어시도 지급된다. 메달이 필요한 유닛을 구매하거나 레벨 제한 해제, MSP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항상 부족한 것이 메달이니 현명히 쓰도록.
==== 이벤트 포인트 ====
==== 이벤트 포인트 ====
이벤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화폐, 여러 가지 코어나 유닛, MSP를 구매 가능하다. 이벤트 코인의 종류는 비보, 크리스마스 코인, 협력 포인트가 있으며 현재 '협력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화폐는 협력 포인트이다.
이벤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화폐, 여러가지 코어나 유닛, MSP를 구매 가능하다. 이벤트 코인의 종류는 비보, 크리스마스 코인, 협력 포인트가 있으며 현재 '협력 이벤트'에서 사용되는 화폐는 협력 포인트이다.
==== 출격 포인트 ====
==== 출격 포인트 ====
출격을 하기 위한
출격을 하기 위한
222번째 줄: 196번째 줄:
* AP MAX: 처음부터 AP 레벨이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1개당 20메달.
* AP MAX: 처음부터 AP 레벨이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1개당 20메달.
* 보상 UP: 쓸 수 있는 스테이지에 한해 보상이 1.5배 증가한다. MSP와 크리스마스 코인, 비보가 적용될 수 있다. 1개당 60 메달.
* 보상 UP: 쓸 수 있는 스테이지에 한해 보상이 1.5배 증가한다. MSP와 크리스마스 코인, 비보가 적용될 수 있다. 1개당 60 메달.
* 모빌 위성: 가장 앞의 유닛을 따라다니는 모빌 위성을 소환한다. 모빌 위성은 유닛 판정이 아니고 파괴도 안 된다. 1개당 30메달.
* 모빌 위성: 가장 앞의 유닛을 따라다니는 모빌 위성을 소환한다. 모빌 위성은 유닛 판정이 아니고 파괴도 안된다. 1개당 30메달.
* 황금 박쥐: 이제는 얻을 수 없는 아이템. 모든 유닛에게서 비보를 획득 가능하다.
* 황금 박쥐: 이제는 얻을 수 없는 아이템. 모든 유닛에게서 비보를 획득 가능하다.
* 잠금 해제 1: 월드 1의 스테이지를 모두 선택할 수 있다. 150메달.
* 잠금 해제 1: 월드 1의 스테이지를 모두 선택할 수 있다. 150메달.
294번째 줄: 268번째 줄:


== 초보자 가이드 ==
== 초보자 가이드 ==
기본적인 컨트롤만 어느 정도 된다면, 기본 제공 유닛+메달 유닛 1~2기의 추가로 월드 1~3의 클리어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스테이지의 클리어를 위해 굳이 메달값이 비싼 유닛을 살 필요는 없고, 출격이나 이벤트 스테이지에는 10~50메달 중에서도 쓸모있는 유닛들이 많고, 이벤트 스테이지에서 얻는 유닛도 초반에는 쓸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면 좋습니다.<br />
기본적인 컨트롤만 어느정도 된다면, 기본 제공 유닛+메달 유닛 1~2기의 추가로 월드 1~3의 클리어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스테이지의 클리어를 위해 굳이 메달값이 비싼 유닛을 살 필요는 없고, 출격이나 이벤트 스테이지에는 10~50메달 중에서도 쓸모있는 유닛들이 많고, 이벤트 스테이지에서 얻는 유닛도 초반에는 쓸모 있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면 좋습니다.<br>
MSP의 분배 또한 중요합니다. 보통 7:3의 비율로 아군 업그레이드:유닛 업그레이드를 하면 되고, 10레벨 정도만 찍어도 월드 1은 깨며, 월드2는 20레벨 정도면 됩니다. 월드 1을 깨면 100메달을, 또 월드 2를 깨면 100메달을 주는데, 이것으로 고 메달의 유닛을 노리던지, 다른 유닛을 사던지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요즘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유닛도 많고, 메달을 안쓰고 보스를 구입하는 것도 가능하니, 초반에는 무작정 유닛을 수집하기보다는 숙련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br />
MSP의 분배 또한 중요합니다. 보통 7:3의 비율로 아군 업그레이드:유닛 업그레이드를 하면 되고, 10레벨 정도만 찍어도 월드 1은 깨며, 월드2는 20레벨 정도면 됩니다. 월드 1을 깨면 100메달을, 또 월드 2를 깨면 100메달을 주는데, 이것으로 고 메달의 유닛을 노리던지, 다른 유닛을 사던지 마음대로 하시면 됩니다. 요즘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유닛도 많고, 메달을 안쓰고 보스를 구입하는 것도 가능하니, 초반에는 무작정 유닛을 수집하기보다는 숙련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br>
월드 3을 어느 정도 깨셨으면 슬슬 월드 1~2는 아무렇게나 깨실수 있을건데, 이들을 S랭크로 깨는 것과 동시에, 포로 구출로 메달과 포로 구출을 하는 겄이 중요합니다. 포로 구출을 어느 정도 하셨으면 비하인드 월드 1을 꺠는 것과 동시에 요일 보스를 공략하고, 긴급 지역의 포로를 구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br />
월드 3을 어느정도 깨셨으면 슬슬 월드 1~2는 아무렇게나 깨실수 있을건데, 이들을 S랭크로 깨는 것과 동시에, 포로 구출로 메달과 포로 구출을 하는 겄이 중요합니다. 포로 구출을 어느정도 하셨으면 비하인드 월드 1을 꺠는 것과 동시에 요일 보스를 공략하고, 긴급 지역의 포로를 구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br>
숙련도를 기르기 위해서, 미션 모드를 하는 것은, 미션 모드가 정해진 틀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하는 것이라 오히려 출격 모드를 클리어하는 것과 동시에 튜토리얼을 제대로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을 제대로 보여 주지 않는지라, 다른 커뮤니티에서 직접 질문을 하는 등의 방법을 쓰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숙련도를 기르기 위해서, 미션 모드를 하는 것은, 미션 모드가 정해진 틀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하는 것이라 오히려 출격 모드를 클리어하는 것과 동시에 튜토리얼을 제대로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을 제대로 보여 주지 않는지라, 다른 커뮤니티에서 직접 질문을 하는 등의 방법을 쓰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 팁 ==
== 팁 ==
{{빈 문단}}
== 공략 ==
== 공략 ==
{{본문|메탈슬러그 디펜스/공략}}
[[메탈슬러그 디펜스/공략]] 참고.
 
== 문제점 ==
== 문제점 ==
;밸런스
* 밸런스
:비싼 메달 주고 사는 유닛이 기본 제공 유닛보다 못한 경우도 많으며, 아무리 디펜스 게임의 기본 상성이 있다 치더라도 동 AP 비율 스펙 차이가 너무나도 심한 유닛들이 많다. 이는 아무리 컨트롤이 좋아도 도저히 커버가 안되며, 대체로 신규 유닛에 가까울 수록, 그리고 메달수가 비싸거나 KOF 유닛이 이런 현상이 심한지라, KOF디펜스 혹은 보스디펜스 같은 비꼼식 여론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비싼 메달 주고 사는 유닛이 기본 제공 유닛보다 못한 경우도 많으며, 아무리 디펜스 게임의 기본 상성이 있다 치더라도 동AP 비율 스펙 차이가 너무나도 심한 유닛들이 많다. 이는 아무리 컨트롤이 좋아도 도저히 커버가 안되며, 대체로 신규 유닛에 가까울 수록, 그리고 메달수가 비싸거나 KOF유닛이 이런 현상이 심한지라, KOF디펜스 혹은 보스디펜스 같은 비꼼식 여론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 뒤죽박죽인 명칭
* 뒤죽박죽인 명칭
:같은 헤비머신건 이펙트인데 공격 명칭을 어느 곳은 발칸, 어느 곳은 기관총으로 표기하는 등 통일된 명칭이 없어 액션 뷰로 직접 유닛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또한 마즈피플도 어떤 곳에선 마스피플이라고 하는 등 같은 게임 내에서의 이름조차 엇갈리고 있다. 또한 "미사일" 이나 "돌진" 같이 너무 성의없이 뭉뚱그리는 공격 명칭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다.
같은 헤비머신건 이펙트인데 공격 명칭을 어느곳은 발칸, 어느곳은 기관총으로 표기하는 등 통일된 명칭이 없어 액션 뷰로 직접 유닛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또한 마즈피플도 어떤 곳에선 마스피플이라고 하는 등 같은 게임 내에서의 이름조차 엇갈리고 있다. 또한 "미사일" 이나 "돌진" 같이 너무 성의없이 뭉뚱그리는 공격 명칭도 어느정도 있는 편이다.


;여러 가지 표기 오류
* 여러가지 표기 오류
:미라 트레버나 불 드릴 같은 오타는 애교고, 브레인 로봇이나 발렌타인 나디아 같은 다른 유닛 설명 베껴 쓰기 같은 오류가 심심찮게 있다.
미라 트레버나 불 드릴 같은 오타는 애교고, 브레인 로봇이나 발렌타인 나디아 같은 다른 유닛 설명 배껴쓰기 같은 오류가 심심찮게 있다.


; 믿을 수 없는 스탯 표기
* 믿을 수 없는 스탯 표기
:같은 HP의 유닛 인데도 방어력이 낮아 먼저 파괴되는 유닛이 있는가 하면, 공격이 단식이라 표기되었는데 확산이라거나, 관통 판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상점에서 보여주는 스탯만으로는 유닛을 100% 알기가 어렵다는 것.
같은 hp의 유닛 인데도 방어력이 낮아 먼저 파괴되는 유닛이 있는가 하면, 공격이 단식이라 표기되었는데 확산이라거나, 관통 판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상점에서 보여주는 스탯만으로는 유닛을 100%알기가 어렵다는 것.


;무수한 버그
* 무수한 버그들
:꾸준히 버그 픽스가 이루어지긴 했으나, 아직도 몇몇 [[버그]]들이 있다. 몇몇 유닛의 사망 스프라이트가 계속해서 보이는 현상이나(예를 들어 빅 존) 랜덤한 유닛의 음성이 갑자기 빠르게 재생되거나, 몇몇 소환되는 유닛의 사망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오류, NPC가 정체불명의 유닛들을 소환하는 등 여러 오류들이 있다.
꾸준히 버그 픽스가 이루어졌긴 하지만, 아직도 몇몇 버그들이 있다. 몇몇 유닛의 사망 스프라이트가 계속해서 보이는 현상이나(예를들어 빅 존) 랜덤한 유닛의 음성이 갑자기 빠르게 재생되거나, 몇몇 소환되는 유닛의 사망 음성이 재생되지 않는 오류, NPC가 정체불명의 유닛들을 소환하는 등 여러 오류들이 있다.


;뉴비에게 불친절한 시스템
* 뉴비에게 불친절한 시스템
:대표적으로 방어력. 제작자가 공인한 시스템인데, 직접 유닛을 사용해 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다. 그 외에도 탄환 상쇄, 무적기 등등 [[뉴비]]가 혼자서 알기 어려운 시스템으로 가득하다.
대표적으로 방어력. 제작자가 공인한 시스템인데, 직접 유닛을 사용해 보지 않고는 알수가 없다. 그 의외에도 탄환 상쇄, 무적기 등등 뉴비가 혼자서 알기 어려운 시스템으로 가득하다.


;일부 유닛의 조악한 완성도
* 일부 유닛의 조악한 완성도
:예를 들어 박격포병의 경우에는 숙이는 모션을 보일 시 바로 뒤에 또다른 박격포병이 보이며, 빅존의 마스크는 뒤의 본체가 튀어나왔고, 미니 주피터킹의 레이저는 이펙트가 원본 못지 않은 크기로 튀어나오는 현상까지 나온다.
예를 들어 박격포병의 경우에는 숙이는 모션을 보일 시 바로 뒤에 또다른 박격포병이 보이며, 빅존의 마스크는 뒤의 본체가 튀어나왔고, 미니 주피터킹의 레이저는 이펙트가 원본 못지 않은 크기로 튀어나오는 현상까지 나온다.


;막을 의지가 없는 핵  
* 막을 의지가 없는 핵  
:[[해킹 프로그램]]() 문제야 다른 게임에도 있는 문제고, 어차피 뚫리는 게 핵이긴 하지만, 막을 의지조차도 없다. 게임 초창기부터 제재가 거의 없다시피 했으며 보안 업데이트라고 하는 것이 너무나도 조악한 상황. 더미 데이터 소환 핵까지는 어찌어찌 막았으나 메달 핵, 유닛 소환 핵 같은 건 초창기부터 제제가 없었던 핵이다.
핵 문제야 다른 게임에도 있는 문제고, 어짜피 뚫리는 게 핵이긴 하지만, 막을 의지조차도 없다. 게임 초창기부터 제제가 거의 없다시피 했으며 보안 업데이트라고 하는 것이 너무나도 조악한 상황. 더미 데이터 소환 핵까지는 어찌어찌 막았으나 메달 핵, 유닛 소환 핵같은 건 초창기부터 제제가 안되었던 핵.


;업데이트 중단
* 1.46버전부터 업데이트를 안하고 있는데, 이유는 이 게임의 후속작인 메탈슬러그 어택 때문이다. 후속작만 계속 신경쓰고 디펜스는 아예 버려진 상황인데, 어느 유저가 SNK에 직접 문의를 해본 결과로는 아직 업데이트는 미정이라고 한다.
:1.46 버전부터 업데이트를 안 하고 있는데, 이유는 이 게임의 후속작인 《메탈슬러그 어택》 때문이다. 후속작만 계속 신경쓰고 디펜스는 아예 버려진 상황인데, 어느 유저가 SNK에 직접 문의를 해본 결과로는 아직 업데이트는 미정이라고 한다.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game.snk-corp.co.jp/official/metalslug_defense/ 메탈슬러그 디펜스|iPhone/Android|SNK 플레이모어]
* {{스팀|356310|메탈슬러그 디펜스 - 스팀}}
 
{{각주}}
[[분류:메탈슬러그 디펜스| ]]
[[분류:2014년 비디오 게임]]
[[분류:모바일 게임]]
[[분류:스팀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