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원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역사 ==
== 역사 ==
[[네덜란드]]의 안경 제조가였던 한스 리페르셰이(1570~1619)는 어느 날 자신의 아들이 자기 작업실의 안경들을 갖고 놀다가
{{인용문|아빠, 이렇게 하니까 멀리 있는 교회 탑이 크게 보여요!|한스 아들}}
이라고 소리쳤고 한스는 아들의 말을 듣고는 뭔가 삘을 받아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사용해 망원경을 발명하게 된다. 원리는 후술할 갈릴레오식과 동일하다.<ref>http://www.sciencetimes.co.kr/?news=%EB%A8%BC-%EB%B3%84%EB%8F%84-%EB%8B%B9%EA%B2%A8-%EB%B3%B4%EC%9E%90-%EB%A7%9D%EC%9B%90%EA%B2%BD</ref>
망원경이 발명되자 난리가 났는데, 특히 군사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전쟁에서는 멀리 있는 적을 먼저 보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ref>멀리 갈것 없이 영화에서 해군이나 해적들이 접히는 망원경을 들고 다니는 걸 생각해 보자.</ref>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로 알려져있다. 그는 망원경을 직접 만들고 개량하여 그것으로 [[갈릴레이 위성]]이라 불리는 목성의 4대 위성을 발견하였다. 현대에는 그의 망원경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로 알려져있다. 그는 망원경을 직접 만들고 개량하여 그것으로 [[갈릴레이 위성]]이라 불리는 목성의 4대 위성을 발견하였다. 현대에는 그의 망원경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13번째 줄: 19번째 줄:
굴절 망원경은 빛의 매질간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휘어 모으는 방식으로 만든 망원경이다.  
굴절 망원경은 빛의 매질간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휘어 모으는 방식으로 만든 망원경이다.  
==== 갈릴레오식 ====
==== 갈릴레오식 ====
[[File:0010030-2.jpg|200px]][[파일:망원경광학계-굴절-갈릴레오.jpg]]<br>
한쪽에는 볼록 렌즈를, 한쪽에는 오목 렌즈를 썼으며 이 때문에 상의 도립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쪽에는 볼록 렌즈를, 한쪽에는 오목 렌즈를 썼으며 이 때문에 상의 도립이 일어나지 않는다.  
==== 케플러식 ====  
==== 케플러식 ====  
[[File:a20101223142238.jpg|400px]][[파일:망원경광학계-굴절-케플러.jpg]]<br>
두쪽 다 볼록 렌즈를 끼웠기에 위아래,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두쪽 다 볼록 렌즈를 끼웠기에 위아래,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 아크로매틱, 아포크로매틱 ====
==== 아크로매틱, 아포크로매틱 ====
24번째 줄: 32번째 줄:
제임스 그레고리가 1663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다. 두 거울 다 오목거울을 이용하였다.  
제임스 그레고리가 1663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다. 두 거울 다 오목거울을 이용하였다.  
==== 뉴턴식 ====  
==== 뉴턴식 ====  
[[File:CAA10040_b.gif|400px]][[File:92233_strategicdh.jpg|400px]][[파일:망원경광학계-굴절-뉴턴.jpg]]<br>
[[아이작 뉴턴]]이 1668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며, 오목 거울이 반사한 빛을 평면 거울을 통해 경통 밖으로 끄집어내는 방식을 택하였다.  
[[아이작 뉴턴]]이 1668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며, 오목 거울이 반사한 빛을 평면 거울을 통해 경통 밖으로 끄집어내는 방식을 택하였다.  
==== 카세그레인형 ====  
==== 카세그레인형 ====  
33번째 줄: 42번째 줄:
===== 리치 크레티앙 식 =====  
===== 리치 크레티앙 식 =====  
1910년 조지 윌스 리치에 의해 개발된 방식이며, 두 면의 거울을 전부 쌍곡선으로 연마하여 구면 수차를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다만, 쌍곡선으로 거울을 연마하는 것은 겁나 돈이 많이 까이기 때문에망원경에 탑재하기는 꺼려지는 방식이기도 한다. 특히 중대형의 경우, 국내는 물론<ref>[[경희대학교]] 천문대에 760mm 리치-크레티앙 반사 망원경이 존재한다.</ref>이고 외국에서도 이것을 탑재한 경우는 드물다.  
1910년 조지 윌스 리치에 의해 개발된 방식이며, 두 면의 거울을 전부 쌍곡선으로 연마하여 구면 수차를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다만, 쌍곡선으로 거울을 연마하는 것은 겁나 돈이 많이 까이기 때문에망원경에 탑재하기는 꺼려지는 방식이기도 한다. 특히 중대형의 경우, 국내는 물론<ref>[[경희대학교]] 천문대에 760mm 리치-크레티앙 반사 망원경이 존재한다.</ref>이고 외국에서도 이것을 탑재한 경우는 드물다.  
===== 카세그레인 식=====  
===== 카세그레인 식=====
[[File:MCT.jpg|400px]][[파일:망원경광학계-굴절-카세그레인식.jpg]]<br>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의 일종인 막스토프-카세그레인. 에걔걔? 싶겠지만 분명 이것도 '''천체망원경 맞다.'''
==== 축 변경형 ====
==== 축 변경형 ====
===== 허셜 식 =====
===== 허셜 식 =====
51번째 줄: 62번째 줄:
== 기타 망원경 ==
== 기타 망원경 ==
=== 전파 망원경 ===
=== 전파 망원경 ===
뉴턴 망원경과 비슷한 원리로, 안테나에서 전파 수신을 잡아 전기 신호로 바꾸어 관측하는 것이다. 가장 큰 것으로는 아레시보 천체망원경이 있다.
=== 입자 망원경 ===
=== 입자 망원경 ===
=== X 레이 망원경 ===
=== X 레이 망원경 ===


[[분류:도구]]
[[분류:도구]]
{{각주}}

2015년 12월 16일 (수) 13:50 판

망원경은 멀리서 날아오는 빛을 증폭하여 먼 곳에 있는 대상을 관측하기 쉽게 해주는 도구다. 주로 렌즈거울을 굴절시켜 관측대상을 확대하여 보여주곤 하지만, 전파망원경처럼 렌즈나 거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 전 세계에서 현재 건설중인 가장 큰 망원경은 Giant Magellan Telescope이다. 현재 가장 큰 망원경은 Large Binocular Telescope이다.

역사

네덜란드의 안경 제조가였던 한스 리페르셰이(1570~1619)는 어느 날 자신의 아들이 자기 작업실의 안경들을 갖고 놀다가

아빠, 이렇게 하니까 멀리 있는 교회 탑이 크게 보여요!
— 한스 아들

이라고 소리쳤고 한스는 아들의 말을 듣고는 뭔가 삘을 받아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사용해 망원경을 발명하게 된다. 원리는 후술할 갈릴레오식과 동일하다.[2]

망원경이 발명되자 난리가 났는데, 특히 군사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전쟁에서는 멀리 있는 적을 먼저 보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3]

최초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로 알려져있다. 그는 망원경을 직접 만들고 개량하여 그것으로 갈릴레이 위성이라 불리는 목성의 4대 위성을 발견하였다. 현대에는 그의 망원경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광학 망원경

원리

FOV

집광력

굴절 망원경

굴절 망원경은 빛의 매질간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빛을 휘어 모으는 방식으로 만든 망원경이다.

갈릴레오식

0010030-2.jpg망원경광학계-굴절-갈릴레오.jpg
한쪽에는 볼록 렌즈를, 한쪽에는 오목 렌즈를 썼으며 이 때문에 상의 도립이 일어나지 않는다.

케플러식

A20101223142238.jpg망원경광학계-굴절-케플러.jpg
두쪽 다 볼록 렌즈를 끼웠기에 위아래,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아크로매틱, 아포크로매틱

색수차로 인한 오류를 렌즈를 여러개, 혹은 렌즈의 재질을 형석 등으로 바꾸어 보정하였다.

반사 망원경

반사 망원경은 오목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는 방식으로 만든 망원경이다.

그레고리안식

제임스 그레고리가 1663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다. 두 거울 다 오목거울을 이용하였다.

뉴턴식

CAA10040 b.gif92233 strategicdh.jpg망원경광학계-굴절-뉴턴.jpg
아이작 뉴턴이 1668년 개발한 망원경의 방식이며, 오목 거울이 반사한 빛을 평면 거울을 통해 경통 밖으로 끄집어내는 방식을 택하였다.

카세그레인형

수차를 줄이기 위해, 거울면을 수학적으로 연마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망원경을 말한다. 보통 단순히 카세그레인식이라고 하면, 1672년 카세그레인이 개발한 고전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이야기한다. 주경은 포물선이고, 부경이 쌍곡선으로서 구면 수차를 줄여준다.

폴-베이커 식 혹은 삼거울식 망원경

리치 크레티앙식에서 발전한 방법으로서, 세개의 거울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는 방식의 망원경이다. FOV가 훨신 크기 때문에 주로 쓰인다.

달-키르함 식

주경을 타원형으로 깎고, 부경을 구형으로 깎아 수차를 거의 없앴다. 이것은 리치-크레티앙식보다 더 저렴하다.

리치 크레티앙 식

1910년 조지 윌스 리치에 의해 개발된 방식이며, 두 면의 거울을 전부 쌍곡선으로 연마하여 구면 수차를 이론적으로는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다만, 쌍곡선으로 거울을 연마하는 것은 겁나 돈이 많이 까이기 때문에망원경에 탑재하기는 꺼려지는 방식이기도 한다. 특히 중대형의 경우, 국내는 물론[4]이고 외국에서도 이것을 탑재한 경우는 드물다.

카세그레인 식

MCT.jpg망원경광학계-굴절-카세그레인식.jpg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의 일종인 막스토프-카세그레인. 에걔걔? 싶겠지만 분명 이것도 천체망원경 맞다.

축 변경형

허셜 식

반사 망원경의 응용으로서, 빛을 경통 밖으로 꺼내는데에 거울을 하나만 쓴다.

Schiefspiegler 식

빛을 틸트하여 축을 두개로 만들기 위해 거울을 두개 사용한다

액체 망원경

수은이나 갈륨과 같이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오목 거울과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관측을 할 수 있다.

복합 망원경

보통, 빛을 보정하는 보정판을 앞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만드는 방식이 많다.

슈미트 형

막스토브 -카세그레인 식

아르고노브 형

메니시우스 형

기타 망원경

전파 망원경

뉴턴 망원경과 비슷한 원리로, 안테나에서 전파 수신을 잡아 전기 신호로 바꾸어 관측하는 것이다. 가장 큰 것으로는 아레시보 천체망원경이 있다.

입자 망원경

X 레이 망원경


각주

  1. 사실 전파망원경의 원리는 카세그레인식 망원경과 같다고 볼 수 있다.
  2.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A8%BC-%EB%B3%84%EB%8F%84-%EB%8B%B9%EA%B2%A8-%EB%B3%B4%EC%9E%90-%EB%A7%9D%EC%9B%90%EA%B2%BD
  3. 멀리 갈것 없이 영화에서 해군이나 해적들이 접히는 망원경을 들고 다니는 걸 생각해 보자.
  4. 경희대학교 천문대에 760mm 리치-크레티앙 반사 망원경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