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주의 정리 (군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학술 틀 제거)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라그랑주의 정리(Lagrange's Theorem)'''는 군과 그 부분군의 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다.
'''라그랑주의 정리(Lagrange's Theorem)'''는 군과 그 부분군의 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 <math>|G|=k</math>이면 임의의 <math>g\in G</math>에 대해 <math>a^k=e</math>이다.
* <math>|G|=k</math>이면 임의의 <math>g\in G</math>에 대해 <math>a^k=e</math>이다.
* ''H'', ''K''가 유한군 ''G''의 부분군이고 ''K''⊆''H''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G:K]=[G:H][H:K]</math>이다.
* ''H'', ''K''가 유한군 ''G''의 부분군이고 ''K''⊆''H''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G:K]=[G:H][H:K]</math>이다.
== 관련 문서 ==
* [[실로우 정리]]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2016년 12월 2일 (금) 23:46 판

라그랑주의 정리(Lagrange's Theorem)는 군과 그 부분군의 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다.

진술

K유한군 G의 부분군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K위수 |K|는 G의 위수 |G|를 나눈다. 특히, 다음 식이 성립한다.

[math]\displaystyle{ |G|=|K|[G:K] }[/math]

이때 [math]\displaystyle{ [G:K] }[/math]G에 대한 K지표를 뜻한다.

증명

[math]\displaystyle{ [G:K]=n }[/math]이라고 하자. 그러면 지표의 정의에 의해 Gn개의 서로 다른 우잉여류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math]\displaystyle{ c_1,\cdots,c_n }[/math]을 서로 다른 G의 원소라고 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G=\bigcup_{i=1}^n Kc_i }[/math]

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Kc_1,\cdots,Kc_n }[/math]서로소이므로,

[math]\displaystyle{ |G|=\sum_{i=1}^n |Kc_i| }[/math]

이다. [math]\displaystyle{ |Kc_i|=|K|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G|=\sum_{i=1}^n |K|=n|K|=|K|[G:K] }[/math]

이다.

따름정리

  • g를 유한군 G의 원소라 하자. 그러면 g의 위수는 G의 위수를 나눈다.
  • [math]\displaystyle{ |G|=k }[/math]이면 임의의 [math]\displaystyle{ g\in G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k=e }[/math]이다.
  • H, K가 유한군 G의 부분군이고 KH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displaystyle{ [G:K]=[G:H][H:K] }[/math]이다.

관련 문서

참고문헌

  • Thomas W. Hungerford (2012). Abstract Algebra: An Introduction. (3rd ed). Cengage Learning. ISBN 1111573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