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두 판 사이의 차이

15번째 줄: 15번째 줄:
대한민국 대양 진출의 발판이기도 하고 다른 국가들과 마주하고 있다는 특성상 해군 기지가 많다.
대한민국 대양 진출의 발판이기도 하고 다른 국가들과 마주하고 있다는 특성상 해군 기지가 많다.
제3함대의 관활구역에 속해 있으며 3함대 사령부는 서해에 위치해 있다.  
제3함대의 관활구역에 속해 있으며 3함대 사령부는 서해에 위치해 있다.  
이 외에도 부산에 위치한 해군작전사령부와 군항이 있으며 제주도 해군기지가 생기기 이전까지 전략기동함대인 제7기동전단의 모항이기도 했다.{{ㅊ|지금은 포항급 초계함 몇척만 있다.}}
이 외에도 부산에 위치한 해군작전사령부와 군항이 있으며 제주도 해군기지가 생기기 이전까지 전략기동함대인 제7기동전단의 모항이기도 했다 가끔가다 윗동네가 시끄러우면 니미츠급 항모가 왔다가기도 하는 곳이며 세종대왕급 이지스 순양함이나 다른 구축함들도 운이 좋으면 정박해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ㅊ|평상시에는 포항급 초계함 몇척만 있다.}}
해군작전사령부가 이전하기 전 사령부가 있었던 진해 또한 큰 규모의 군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잠수함 사령부가 주둔해 있어 해군 잠수함 전단의 모항이다.
해군작전사령부가 이전하기 전 사령부가 있었던 진해 또한 큰 규모의 군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잠수함 사령부가 주둔해 있어 해군 잠수함 전단의 모항이다.


더 남쪽으로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민군복합항에 제7기동전단이 주둔하며 제주도 방위를 위한 해병대 3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더 남쪽으로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민군복합항에 제7기동전단이 주둔하며 지상군으로는 제주도 방위를 위한 해병대 3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분류:바다]]
  [[분류:바다]]

2017년 3월 4일 (토) 15:22 판

한반도 남쪽에 있는 바다인 남해는 대한민국의 남쪽, 일본으로부턴 서쪽에 있으며 중국 방면으론 동쪽으로 동지나해라고도 한다.

범위

국제 수로기구에서는 제주도를 기점으로 하여 남해를 인정하지 않고 서해와 동해 그리고 동지나해를 나누었다.

우리나라의 기관인 해양수산부는 동해와의 경계를 울산 태화강 하구부터 일본 이즈모 시 까지의 선을 경계선으로 하였고 서해와의 경계는 진도와 차귀도라는 섬 까지의 선을 경계로 하였다. 그리고 동중국해와의 경계는 제주도의 우도부터 일본 규슈까지 이어지는 선으로 경계를 삼았다.

그러나 산하 기구인 국립해양조사원의 경우 상부와 분류 방식이 다르며 동해와의 경계를 오륙도로 정하고 서해와의 경계를 해남 남쪽을 기점으로 서해를 나누며 상부(해양수산부) 기준의 남해보다 축소되었다.

지리

남해의 해저는 대륙붕이며 최대 수심이 200미터 정도로 서해보다 깊고 동해보단 한참 얕다.

자원

군사

대한민국 대양 진출의 발판이기도 하고 다른 국가들과 마주하고 있다는 특성상 해군 기지가 많다. 제3함대의 관활구역에 속해 있으며 3함대 사령부는 서해에 위치해 있다. 이 외에도 부산에 위치한 해군작전사령부와 군항이 있으며 제주도 해군기지가 생기기 이전까지 전략기동함대인 제7기동전단의 모항이기도 했다 가끔가다 윗동네가 시끄러우면 니미츠급 항모가 왔다가기도 하는 곳이며 세종대왕급 이지스 순양함이나 다른 구축함들도 운이 좋으면 정박해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평상시에는 포항급 초계함 몇척만 있다. 해군작전사령부가 이전하기 전 사령부가 있었던 진해 또한 큰 규모의 군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잠수함 사령부가 주둔해 있어 해군 잠수함 전단의 모항이다.

더 남쪽으로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민군복합항에 제7기동전단이 주둔하며 지상군으로는 제주도 방위를 위한 해병대 3사단이 주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