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영상물 정보
{{youtube|rZDLD-iQ97Q}}
|영상물이름  = 그것이 알고 싶다
 
|원어이름    =
오프닝
|배경색      =
 
|글자색      =
{{인용문|{{youtube|u5PZTe2KbWE}}<br>그런데 말입니다|배우 [[김상중]], 사건 개요를 마치고 본론을 이야기하며}}
|그림        =
 
|그림설명    =
{{정보상자/방송
|배급사      = [[SBS]]
|로고 =  
|방송채널    =
|구분 = 교양
|제작사      =
|장르 = 주간 시사프로그램
|감독        =
|시청등급 = (등급 없음)<ref>사실상 15세</ref>
|제작        =
|제목 = 그것이 알고 싶다
|작가        =
|원제 =  
|출연        = 김상중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밤 11시 10분
|해설        =  
|방송 분량 =  
|장르         = 주간 시사프로그램
|방송 기간 = [[1992년]] [[3월 31일]]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방송 횟수 =  
|언어        = [[한국어]]
|방송 시즌 =  
|연작제목    =  
|방송 국가 =  
|개봉일      =  
|방송 채널 = [[SBS]]
|방영일      = [[1992년]] [[3월 31일]] ~
|평균 시청률 =
|방영시각    = 매주 토요일 오후 11시 10분
|출연자 = 김상중
|시즌수      =  
|기획 = 박두선
|화수        =  
|제작 =  
|시간        =  
|촬영 =  
|시리즈      =  
|편집 =  
|이전작품    =  
|책임프로듀서 =  
|다음작품    =  
|프로듀서 =  
|웹사이트    = http://tv.sbs.co.kr/docu
|연출 = 정철원
|캐릭터원안  =  
|원작 =  
|캐릭터디자인 =  
|조연출 =  
|연출        = 정철원
|극본 =  
|미술        =  
|해설 =  
|촬영감독    =  
|음악 감독 =  
|음악        =  
|공식 홈페이지 = http://tv.sbs.co.kr/docu
|여는곡      =  
|닫는곡      =  
|영상포맷    =  
|음성포맷    =  
|번역배급사  =
|번역방송채널 =
|번역개봉일  =
|번역방영일  =
|번역방영시각 =
|비고        =  
}}
}}
{{youtube|rZDLD-iQ97Q|500||center|오프닝}}
{{인용문|{{youtube|Xf0-lrEbqxc}}<br />그런데 말입니다|배우 [[김상중]], 사건 개요를 마치고 본론을 이야기하며}}
== 개요 ==
== 개요 ==
'''그것이 알고 싶다'''》는 [[1992년]] [[3월 31일]]부터 방영된 [[SBS]]의 대표적 장수 교양 프로그램이다.
'''그것이 알고싶다'''[[1992년]] [[3월 31일]]부터 방영된 [[SBS]]의 대표적 장수 교양프로그램이다.


본래 초기 방송을 시작할 당시에는 [[신비한TV 서프라이즈]]처럼 [[도시전설]]을 다루는 예능 프로그램에 가까웠으나, 실제 살인 사건을 몇 번 다루다가 {{ㅊ|악명을 떨쳤던}} 유명 종교단체인 [[JMS]]을 다루면서 본격적인 시사 프로그램으로 변모하였다.
본래 초기 방송을 시작할 당시에는 [[신비한TV 서프라이즈]]처럼 [[도시전설]]을 다루는 예능프로그램에 가까웠으나, 실제 살인사건을 몇 번 다루다가 {{ㅊ|악명을 떨쳤던}} 유명 종교단체인 [[JMS]]을 다루면서 본격적인 시사프로그램으로 변모하였다.


역사가 역사이니만큼 시사 프로그램답지 않게 스토리텔링 위주로 진행되어 마치 범죄극이나 추리극을 보는 듯한 구성으로 [[인터넷]]상에서 화제를 많이 모으는 프로그램으로, [[일간베스트]]를 소재로 삼는 등 인터넷의 주요 사건도 의제로 다루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 TV 시청자들에게도 친숙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이 시간대 《그것이 알고 싶다》가 가지는 위상은 매우 크며, 그렇기 때문에 예능계에서 토요일 11시 예능은 유독 부진을 불러오기 때문에 기피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 잡힌다면 방송 초창기 [[네이버]], [[다음]]의 급상승 검색어를 점령하던 [[리즈시절]]의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50524114912448 겨우 경합을 벌일 정도].
역사가 역사이니만큼 시사프로그램 답지 않게 스토리텔링 위주로 진행되어 마치 범죄극이나 추리극을 보는 듯한 구성으로 인터넷상에서 화제를 많이 모으는 프로그램으로 실제로도 [[일간베스트]]를 소재로 삼는 등 인터넷의 주요 사건도 의제로 다루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 TV 시청자들에게도 친숙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이 시간대 '그것이 알고싶다'가 가지는 아성은 매우 크며, 그렇기 때문에 예능계에서 토요일 11시 예능은 유독 부진을 불러오기 때문에 기피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잘 안 잡힌다면 방송 초창기 [[네이버]], [[다음]]의 급상승 검색어를 점령하던 [[리즈시절]]의 [[마이 리틀 텔레비전]][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50524114912448 겨우 경합을 벌일 정도]


== 주요 에피소드 ==
== 주요 에피소드 ==
59번째 줄: 46번째 줄:
=== (에피소드 주제), (에피소드 회차) ===
=== (에피소드 주제), (에피소드 회차) ===
(에피소드 내용) -->
(에피소드 내용) -->
=== 대한민국에 정의를 묻다, 1000회 ===
==== 1부 담장 위를 걷는 특권 ====
[[교도소]]에 관한 에피소드. 감옥에 간 [[재벌]]들이 받는 특혜와, 그에 대조되어 생명까지 위협받는 보통 재소자들을 조명했다.


다른 에피소드는 [[추가바람]]
== 같이보기 ==
== 같이 보기 ==
* [[궁금한 이야기 Y]] - 금요일 밤 9시 편성, 15분씩 아이템을 나눈 형태는 [[시사매거진 2580]]과 비슷하지만 분위기는 '그것이 알고싶다'와 비슷하다.
* [[궁금한 이야기 Y]] - 금요일 밤 9시 편성, 15분씩 아이템을 나눈 형태는 [[시사매거진 2580]]과 비슷하지만 분위기는 '그것이 알고싶다'와 비슷하다.
* [[문화방송|MBC]] [[PD수첩]], [[한국방송공사|KBS]] [[추적 60분]] - 같은 장르로 경쟁하는 프로그램
* [[문화방송|MBC]] [[PD수첩]], [[한국방송공사|KBS]] [[추적 60분]] - 같은 장르로 경쟁하는 프로그램
70번째 줄: 53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교양 프로그램]]
[[분류:교양 프로그램]]
[[분류:S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