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기의 성 정체성 장애

칭동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23일 (토) 15:46 판 (새 문서: 소아기의 성 정체성 장애(Gen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 어린이성 정체성 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ICD-10의 기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소아기의 성 정체성 장애(Gen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

어린이성 정체성 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ICD-10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disorder, usually first manifest during early childhood (and always well before puberty), characterized by a persistent and intense distress about assigned sex, together with a desire to be (or insistence that one is) of the other sex. There is a persistent preoccupation with the dress and activities of the opposite sex and repudiation of the individual's own sex. The diagnosis requires a profound disturbance of the normal gender identity; mere tomboyishness in girls or girlish behaviour in boys is not sufficient. Gender identity disorders in individuals who have reached or are entering puberty should not be classified here but in F66.0.

F64.2

자아 비친화성 성적 지향(F66.1, egodystonic sexual orientation), 성적 성숙 장애(F66.0, sexual maturation disorder)를 제외한다.

논란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는 다른 질병으로 보아 이런 어린이를 치료/교정해서 시스젠더로 가능한 한 바꿔 놓아야 하는지, 아니면 성인의 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질병으로 보고 정체성에 맞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야 하는지 논란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