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방식

Idb725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5일 (목) 17:06 판 (→‎적산법)

원가방식(cost apporach)

정의

비용성에 의거 대상 부동산의 신축, 조성, 매립등 재조달에 소요되는 원가에 주목하여 가격이나 임료를 구하는 방법


원가법

가격시점에서 대상물건을 재생산 또는 재취득 하는데 소요되는 재조달원가[1]에 감가수정을 가해 대상물건이 가지는 현재 가격을 산정하는 방법. 복성가격법이라고도 부른다

- 복성가격: 재조달원가 - 감가수정액

- 재조달 원가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다

- 감가요인에는 물리적 감가요인과 기능적 감가요인이 있다

  • 물리적 감가요인: 내 주변이 노후환경이 되는 것
  • 기능적 감가요인: 건축기술과 관련된 감가요인

- 감가수정방법: 경제적 내용연수 중심 내용연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 정률법, 정액법, 상환기금법

적산법

적산임료: 기초가격 x 기대이율 + 필요 제경비

  • 기초가격: 대상 물건의 원본가격
  • 기대이율: 임대수익/투하자본
  • 필요제경비: 감가상각비, 유지관리비, 손해보험료, 제세공과(도시계획세 등), 결손준비비, 공실등에 의한 손실상당액, 정상운전자금 이자

{각주}

  1. 동일한 물건을 가격시점에서 만들어낼 때 소요되는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