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58.122.72.100 (토론)님의 2015년 11월 1일 (일) 21:46 판
옛날 텔레비전 모델명은 Hungarian ORION 1957!

텔레비전(television)은 동영상 및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대중 매체이다. 흑백 또는 컬러로 된 정보를 전송하며 흑백TV!소리까지 포함하여 전달 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원거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τῆλε(텔레)와 보는 것을 뜻하는 라틴어인 visio(비시오)가 합쳐져 만들어진 말이다. 내가 알던 그리스어는 오직 μ's 뿐이었는데... 너무 무식한거 아냐? 분명 취소선 긋는글 보고 찾아온 사람 있을걸

저요

역사와 발전방향

기계식 텔레비전

1817년 스웨덴의 과학자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가 셀렌을 발견하고, 56년 후인 1873년에 아일랜드의 전신 기사 조지프 메이가 셀렌의 광전 효과를 발견하고, 2년 후인 1875년에 미국의 조지 케리가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케리의 텔레비전은 좋은 화상을 얻기 위하여 많은 전구가 전선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단점을 1884년 독일의 전기 기술자 파울 고틀리에 닙코프가 셀렌판 앞에 24개의 구멍이 뚫린 원판을 세우고 이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으로 개선하였다. 그는 영화의 기술과 같이 빛이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재현하더라도 사람들은 잔상 때문에 이를 전체 이미지로 기억한다는 것을 이용하였다. 닙코프의 장치는 닙코프 디스크라고 불렸고, 1925년, 영국의 사업가인 존 로지 베어드는 닙코프 디스크를 이용한 사업을 시작했다. 존 로지 베어드가 텔레바이저라고 이름붙인 이 기계는 훗날 전자식 텔레비전과 구분하여 기계식 텔레비전이라고 부른다. 1929년 영국의 BBC가 기계식 텔레비전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로 방송을 시작했다.

전자식 텔레비전

전자식 텔레비전은 1897년에 카를 페르디난드 브라운이 전자를 쏘아서 형광 물질을 때리게끔하여 형상을 나타내게 하는 음극선관을 발명하였다. 이 음극선관은 발명가의 이름을 따 브라운관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그 후 1921년, 미국의 팔로 판스워스가 완전한 전자식 텔레비전을 개발한다. 이후 1936년 BBC를 시작으로 여러 방송국에서 전자식 텔레비전을 택하면서 기계식 텔레비젼은 3년 뒤인 1939년에 완전히 사라졌다.

컬러 텔레비전

컬러 텔레비전은 기계식 텔레비전에서부터 이미 시도되었다. 존 로지 베어드는 1928년 7월 3일, 삼원색을 이용한 세 개의 닙코프 디스크를 조합하여 컬러 영상을 송출하는 기계식 텔레비전을 만들었고, 1938년 2월 역국의 도미니언 극장에서 210개의 라인으로 된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 방송을 하였다. 첫 컬러 정규방송은 1950년 미국 CBS가 시작하였으나 얼마가지 못하고 중단되었고, 컬러방송이 재개된건 1954년에 들어와서 부터였고, 1950년대 당시에 미국에서 컬러TV의 가격이 비싸서 별로 보급이 안되었지만 1960년대 들어 일본과 필리핀등 컬러방송을 시작한 점점 늘어나가 되고 미국에서도 컬러TV의 보급이 널리 진행되더니 1967년에 소련과 서독, 프랑스, 영국에서 컬러방송이 시작된걸 기점으로해서 컬러방송을 시작한 국가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고 일본과 서유럽에서 이 시기를 기점으로 컬러TV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컬러TV가 널리 퍼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의 텔레비전이 처음으로 들어온 것은 1954년, 보신각에 텔레비전 수상기가 1대 설치된 것이었다고 한다. 이후 1956년 5월, 미국 RCA사와 한국 대리점이 합작하여 KORCAD-TV를 만드나, 이는 1961년 체널 '9'번을 국영 TV(KBS)에 넘겨주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1961년 12월에 KBS가 개국하고 뒤이어 1964년 12월에 TBC가 개국, 1969년 8월에 MBC가 개국하고, 1970년에 KBS는 공영방송이 된다.

현재

1990년대에는 DVD라는 매체가 등장, 이후에는 HD와 함께 양방향 서비스를 지닌 TV가 등장하여 전화를 하지 않고 홈쇼핑 물건을 시킬 수 있는 기술까지 등장했다. 뭐긴 뭐야 지름신이지

아래는 TV의 발전 방향을 간단하게 정리한 표이다.

구분 아날로그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
SDTV HDTV
화면비율 4:3 4:3(16:9) 16:9
해상도 525 704(640) X 480 1920 X 1080

1280 X 720

음성다중 2 채널 5.1 채널 5.1 채널
부가서비스 자막, 음성다중 양방향 방송, 전자 프로그램
한국어 위키백과 텔레비전 항목 참조

현재의 TV란?

현재의 티비는 매우 종류가 다양한데 HDTV부터 3DTV, 대형TV, 스마트TV(커다란 태블릿PC, 즉 컴퓨터의 화면역할과 스마트폰의 기능을 같이 쓸 수 있다는 것이다(지금 수정중인 필자는 PC로도 쓸 수 있다는 이야기을 들었다. 아니라면 이 괄호안에 있는 글을 삭제하기 바람.)). 하지만 스마트TV는 매우 비싸기때문애 보통 현재는 HDTV를 많이 구입한다. 아님말구.. 그리고 요즘에는 아날로그보단 디지털을 사용하기때문에 좀 더 화면이 선명해지고 좋아졌다. 3DTV는 말그대로 3D다. 어떤TV는 스마트와 동시에 3D까지 있다니 그야말로 TV의 먼치킨. 특히 이 3DTV는 대형스크린인 경우가 매우 많아서 영화를 볼 때는 그야말로 집에서 팝콘만 있으면 된다. 콜라도 포함헤서 말이지

기타

이 문서는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의 하나인 위키 작성, 당신도 할 수 있다! 문서와 그 역사를 같이한다. 실험용 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