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

Mkim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23일 (목) 22:45 판 (새 문서: 기억을 했던 정보가 약화되어 다시 정보를 인출할 수 없을 때 망각이라고 한다. 망각을 통해 필요하지 않은 잉여 정보를 소거할 수 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기억을 했던 정보가 약화되어 다시 정보를 인출할 수 없을 때 망각이라고 한다. 망각을 통해 필요하지 않은 잉여 정보를 소거할 수 있다. 망각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이 있는데, 쇠퇴(decay)이론, 간섭(interference)이론, 단서 의존 망각(cue-dependent forgetting)등이 대표적이다.

망각 이론

쇠퇴 이론

간섭이론

단서 의존 망각

기억에 부호화되어 저장된 정보에 적합한 인출 단서를 찾지못할 때 일어나는 망각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망각은 부호화나 저장 단계가 아니라 인출 단계에서 일어난다.

툭수한 망각

기억 상실(am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