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의 가격탄력성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1일 (토) 01:26 판 (비전공자가 쓰려니 ㅁㄴㅇㄹ하군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틀:학술 틀:토막글

개요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 PED)는 가격이 변할 때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나는 지표다.

공식

수요곡선에서 변화 전의 점을 [math]\displaystyle{ (P_1,Q_1) }[/math], 변화 후의 점을 [math]\displaystyle{ (P_2,Q_2) }[/math]라고 하자. 즉, 가격이 [math]\displaystyle{ P_1 }[/math]이고 수요가 [math]\displaystyle{ Q_1 }[/math]인 재화가 어떤 이유로 가격과 재화가 각각 [math]\displaystyle{ P_2,Q_2 }[/math]로 변했을 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수요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눈 수치이다. 식으로 나타내면,

[math]\displaystyle{ PED=\frac{(Q_2-Q_1)/Q_1}{(P_2-P_1)/P_1} }[/math]

호탄력성

일반적으로 수요곡선 위의 두 점 [math]\displaystyle{ (P_1,Q_1),(P_2,Q_2) }[/math] 사이의 탄력성을 구할 때 변화 전과 후인 점을 무엇으로 두느냐에 따라 탄력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호탄력성(arc elasticity)을 이용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PED=\frac{(Q_2-Q_1)/\{(Q_2+Q_1)/2\}}{(P_2-P_1)/\{(P_2+P_1)/2\}} }[/math]


점탄력성

수요곡선 위의 한 점에서 탄력성의 미소 변화를 구하려고 할 때 점탄력성(point elasticity)을 이용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PED=\frac{dQ/Q}{dP/P} }[/math]

예시

탄력성의 구분

  • 만약 [math]\displaystyle{ PED =\infty }[/math]이면 수요는 완전탄력적(perfectly elastic)이라고 한다.
  • 만약 [math]\displaystyle{ PED \gt 1 }[/math]이면 수요는 탄력적(elastic)이라고 한다.
  • 만약 [math]\displaystyle{ PED = 1 }[/math]이면 수요는 단위탄력적(unic elastic)이라고 한다.
  • 만약 [math]\displaystyle{ 0 \lt PED \lt 1 }[/math]이면 수요는 비탄력적(inelastic)이라고 한다.
  • 만약 [math]\displaystyle{ PED = 0 }[/math]이면 수요는 완전비탄력적(perfectly inelastic)이라고 한다.

결정 요인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1]

  • 밀접한 대체재의 존재: 어느 재화에 밀접한 대체재가 존재한다면 소비자들은 마음을 잘 바꿀 수 있게 되므로 그 재화의 수요는 탄력적일 것이다.
  • 필수품과 사치품: 필수품의 수요는 비탄력적이고, 사치품의 수요는 탄력적일 것이다.
  • 재화의 범위: 재화의 범위가 좁을수록 대채제를 찾기 쉬우므로 탄력성이 높아진다. '유제품'에 비해 '초코우유'의 대채제를 찾기 더 쉬우므로, '유제품'보다는 '초코우유'의 탄력성이 더 높을 것이다.
  • 기간: 가격 변화가 유지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요가 탄력적으로 변할 것이다.

각주

  1. 그레고리 맨큐 (2009). 《맨큐의 경제학》. 김경환 · 김종석 옮김. ISBN 978899399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