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IAO 법칙

Caeruleum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16일 (토) 14:31 판 (일상과학 WiKi - wikidok>dailysciences | IAO 법칙(http://ko.experiments.wikidok.net/IAO 법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일:/api/File/Real/5a70119f21f08f3a75839c2d

숨겨진 영어 문법

IAO rule

ablaut duplication

개요[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7011f721f08f3a75839c3e

IAO 법칙은 영어원어민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은 영어의 숨겨진 문법1 중 하나이다. King Kong이나 Tick Tock 등 비슷한 발음의 단어 두개를 붙이고 모음을 변형할 때 IAO법칙을 따르게 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King Kong은 있는데 Kong King은 없다. Zig-Zag는 있지만 Zag-Zig는 없으며 Pong Ping이 아니라 Ping Pong이다. 종소리는 Ding Dong이지 결코 Dong Ding하고 울리지 않으며 시계는 Tock Tick이 아니라 Tick Tock대며 움직인다. 또한 우리는 Kat-kit대신 Kit-Kat을 먹고 Hip-Hop을 듣지 Hop-Hip을 듣지는 않는다. 즉 이런식으로 모음이 변형될 때 대부분 I가 가장 처음에 온 뒤 A나 O가 온다. 물론 문법이라는 것이 으례 그렇듯이 Ding Dong Dang / Ding Dang Dong 같은 예외도 얼마든지 있다.

이 법칙은 어려운 말로 ablaut duplication라고 하며 아직 한국어로 번역조차 되어있지 않은 말이다. 심지어 구글 번역에서 영어-한국어로 설정해놓아도 그대로 ablaut duplication로 뜨며 발음 재생을 눌러보면 악센트 제로의 한국식 영어억양으로 '아브라우트 듀플리케이션'이라는 정직한(?) 소리가 튀어나온다. 다만 단어 하나하나는 번역이 되어 있는데 ablaut는 모음 교체 duplication은 복제 또는 반복을 의미한다. 뜻은 대충 이해가 가지만 아직 정식 용어는 없는 상태이다.

IAO 법칙[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a7019ff21f08f3a75839cc9

2016년이라는 비교적 최근에 BBC에 올라온 기사이며이곳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사의 제목은 『The language rules we know - but don't know we know』로 『우리가 아는 언어 법칙 -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이다.

기사에는 IAO 법칙말고도 '형용사의 순서'와 같은 유용한 문법도 있으니 영어에 관심이 있다면 링크에 들어가보자. 여담으로 이 기사에 따르면 영어 형용사의 순서는 의견 - 크기 - 연령 - 모양 - 색상 - 원산지 - 재료 - 목적 명사(opinion-size-age-shape-colour-origin-material-purpose Noun) 순이라고 한다. 그리하여 사랑스럽고 작고 오래된 사각형의 녹색 프랑스산 은색으로 새긴 칼(lovely little old rectangular green French silver whittling knife)이라고 표현하게 된다.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은 아무런 자각없이 이 순서대로 표현하게 되지만 이것이 왜 이런 순서인지는 누구도 알지 못한다. 거기다가 이들은 이 순서가 어긋나면 어색함마저 느낀다고 한다!

해당 기사는 재밌게도 형용사 순서와 IAO 법칙이 충돌하는 순간을 Big Bad Wolf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사실상 형용사 순서에 맞게 하려면 Bad Big Wolf라고 해야 한다. Bad는 의견이며 Big이 크기이기 때문. 하지만 IAO법칙에 의하면 Big Bad Wolf가 또 맞게 된다. 정확히 IAO 순서대로 가기 때문이다. 즉 이런 경우에는 형용사 순서보다 IAO 법칙이 판정승한 경우이다.

다시 IAO 법칙으로 돌아오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의 경우, 자기도 모르게 IAO법칙을 습득하고 있으며 시계가 Tick Tock 대신 Tock Tick하고 흘러간다면 뭔가 어색하고 불편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형용사의 순서와 마찬가지로 아무도 왜 IAO법칙이 성립하는지 모른다. IAO 법칙을 설명하는 가설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직 완전히 이거다하는 설명은 없는 단계이다.

몇 가지 가설 중 하나는 I 발음이 보통의 경우 톤이 높으며 나머지 발음은 톤이 낮기 때문에 발음상으로 안정감을 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흐르듯이 자연스러운 발음을 한 후에 무언가 끝마치는 느낌으로 종료되기 때문에 IAO 법칙이 성립한다고 한다. 반대로 낮은 곳에서 높은 톤으로 올라가는 발음 Pong-Ping과 같은 발음을 했을 때는 뭔가 더 있어야 될 것같은 막연한 불안감을 조성하게 된다. 이때 한국어를 생각하면 안된다. IAO법칙은 영어관련 문법이기 때문이다. 그 사람들이 그렇게 느낀다는 데 외국인으로써 뭐라 말할 수 있으랴.

또 한가지는 인간 혀가 움직일 수 있는 경로가 IAO 패턴을 따랐을 때 가장 자연스럽다는 것이다. 물론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는 만큼 이것도 언어학계에서 끝없는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다.

IAO 법칙을 따르는 몇 가지 단어들[원본 편집]

영어에는 이러한 단어가 수없이 많다. 또한 Big Bad Wolf는 ablaut duplication가 아니지만 IAO패턴을 따르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이러한 ablaut duplication가 아니더라도 '자연스러움'의 관점에서 많은 표현들이 IAO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 chit chat
  • clip clop
  • crisscross
  • dilly dally
  • ding dong
  • fiddle faddle
  • flimflam
  • flip flop
  • hip hop
  • jibber jabber
  • jingle jangle
  • King Kong
  • Kit-Kat
  • knickknack
  • mishmash
  • ping pong
  • pitter patter
  • riffraff
  • singsong
  • splish splash
  • Tic Tac
  • tick tock
  • tip top
  • zig z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