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365일, 24시간, 60분, 60초

Caeruleum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16일 (토) 14:30 판 (일상과학 WiKi - wikidok>dailysciences | 365일, 24시간, 60분, 60초(http://ko.experiments.wikidok.net/365일, 24시간, 60분, 60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일:/api/File/Real/59e83aaaefd54336606a7557

1년은 365일, 하루는 24시간,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이다.

365일[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e83db3efd54336606a7584

연도 유형
346.62 일식년
354.37 음력
365 일상적으로 쓰는 달력
365.24219 평균 태양년, 봄부터 그다음 봄까지의 평균
365.2425 그레고리력의 평균
365.25 율리우스력
365.25636 항성년, 태양의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
365.2596 근점년, 지구가 근일점을 통과했을 때부터 다음 통과때까지 걸리는 시간

자연적인 단위 중,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긴 단위이다. 이보다 긴 세기나 밀레니엄은 사람이 10진법에 맞게 만들어낸 것들이다. 이 단위들은 100년, 1000년이라는 긴 시간으로 인해 경험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비슷한 경우로 태양은 우리은하를 2억 5천만년 마다 한 바퀴 도는데 이것 역시 사람이 느낄 수 없는 천문학적인 시간 단위이다.

현재 쓰이고 있는 달력은 그레고리력으로 1582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시행했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서 그레고리력이라고 부른다. 그전까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제정한 율리우스력을 사용했었는데 이 달력의 1년은 365.25일이기때문에 그는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여 이를 윤년이라고 했다. 그런데 이 역법은 태양년인 365.24219일보다 0.0078일(11분 14초)이 길어서 128년마다 하루의 오차가 났다.

그리하여 그레고리오 13세는 이를 개정하여 400년에서 3일을 없애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였다. 그레고리력의 1년 길이는 365.2425일로 태양력보다 0.0003일(26초)이 길어서 약 3,300년마다 하루의 오차가 난다.

24시간[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e8445defd54336606a75b9

하루는 24시간이다. 언뜻 이것도 자연적인 시간체계라고 볼 수도 있으나 여기서부터는 사람이 임의적으로 정한 것이다. 현재 우리는 10진법 체계를 사용하고 있지만 유독 시간을 셀때만큼은 24진법과 60진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양식 시간체계가 들어오기 전에는 12진법(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을 사용한 전례가 있다. 각 시간 단위는 현재 사용하는 단위의 2배인 약 2시간에 해당되는 시간이다.

시간 단위가 12진법, 24진법, 60진법으로 정해진데에는 많은 설들이 있다. 그 중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처음부터 12시간제를 선호했다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가설 중 하나는 손가락 마디의 개수를 증거로 내세우고 있다.

파일:/api/File/Real/59e84667efd54336606a75ce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 마디마디는 총 12개로 손가락 셈법이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다른 가설 중 하나는 역시 이집트인들에게서 출발한다.

파일:/api/File/Real/59e84712efd54336606a75d9

이집트인들은 처음에는 10진법을 이용해 하루를 10등분했다고 한다. 그리고 각 끝에 한 시간씩을 더했다. 하나는 황혼을 나타내는 시간이며, 하나는 하루의 끝을 나타내는 시간이라고 했다. 그리고 일출과 일몰 사이의 시간을 12 등분하기 위해 T자형 막대를 발명하기에 이른다.

여기까지만 본다면 그들은 하루가 아니라 낮시간만 12등분한 셈이 된다. 밤에는 햇빛이 없으므로 이 막대를 이용해서 시간을 재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그들은 밤에 별을 관찰하며 시간을 나타냈다.

파일:/api/File/Real/59e84828efd54336606a75e4

이들은 지금과 같이 아주 정교한 관측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지구가 회전할때 지평선을 따라 상승하는 '데칸(decans)'이라고 부르는 36개의 별자리를 선택했다. 이들은 또 이 36개의 별자리를 이용해 1년을 360일로 측정했다. 이 별자리들은 밤시간 동안 총 12개가 밤하늘을 가로질렀고 이집트인들은 이를 기록하여 밤에도 12시간을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서양식 시간체계말고도 동양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시간측정이 이루어졌는데 그것이 바로 십이간지를 기초로 한 시간체계이다.

파일:/api/File/Real/59e84a4eefd54336606a75ef

현시간부 아재라면 알고 있을 꾸러기 수비대. 원제는 '십이전지 폭렬 에토레인저'라는 놀라운 제목이다.

동양에서도 역시 12진법이 발달하였다.

동물 간지 시간
자子 23 - 01
축丑 01 - 03
호랑이 인寅 03 - 05
토끼 묘卯 05 - 07
진辰 07 - 09
사巳 09 - 11
오午 11 - 13
미未 13 - 15
원숭이 신申 15 - 17
유酉 17 - 19
술戌 19 - 21
돼지 해亥 21 - 23

또한 12라는 숫자가 가지는 특징도 한 몫한다. 12는 1,2,3,4,6,12로 나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산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예로부터 완벽한 도형이라고 하는 원을 등분하는데도 10보다는 12가 훨씬 편리하다는 이유도 있다.

파일:/api/File/Real/59e84e5eefd54336606a75fb

원을 정확히 반씩 잘라 4등분 하면 3,6,9의 시간이 생기고

파일:/api/File/Real/59e84e80efd54336606a75ff

각 3,6,9,12를 원점으로 하는 원을 그리게 되면 아주 쉽게 12등분을 할 수 있다.

이렇듯 많은 이유로 인해 12와 24를 사용하여 하루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이렇다할 가설일뿐 딱히 이거다 하는 것은 없는 상태이다.

60분, 60초[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e84f2cefd54336606a7605

60분과 60초 또한 바빌로니아에서 시작된다. 이들은 처음부터 60진법을 사용했었고 이것이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 왔다는 것이다. 이 사람들이 왜 하필 60진법을 사용했는지는 알려져있지 않다. 하지만 12와 마찬가지로 60이라는 숫자가 가지는 수학적 특성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이것은 1,2,3,4,5,6과 더불어 10,12,15,20,30 등으로 나누어지는 최초의 수이며 12와도 매우 잘 맞는 수였다. 지금 시계를 보면 숫자 12와 60의 연관성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