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사드(THAAD)

Caeruleum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16일 (토) 14:27 판 (일상과학 WiKi - wikidok>dream16 | 사드(THAAD)(http://ko.experiments.wikidok.net/사드(THAAD)))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일:/api/File/Real/58be003eea612fe33b1fdd04

제원[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8be0ae2ea612fe33b1fdd10

종류 탄도탄 요격 유도탄
국가 미국
역사
사용국가 미국
개발 록히드 마틴
개발년도 1987년
생산년도 2008년~현재
가격

발사대 1조5천억 이상, 미사일 한 대 110억원 1|-

생산개수 요격기 24대 (첫 배치)
제원
중량 900kg (발사중량)
길이 6.17m
지름 0.34m
작전반경 200km
최고속도 마하 8.2 (2.8km/s)
최대고도 150km
요격고도 40~150km
탐지범위 600~1800km
기폭장치 직격
주무장 운동에너지탄
추진체 프랫 & 휘트니 1단식 고체 로켓
항법장치 인듐 안티몬 이미징 적외선 탐색기 헤드

출처: 위키피디아/사드

개요[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8be3473ea612fe33b1fdd7d

날아오는 미사일을 요격, 파괴하기 위한 일종의 방어 무기.

사드 혹은 싸드라고 부르고 있으며 정확한 명칭은

'

종말고고도지역방어(終末高高度地域防禦)

영어 명칭은 THAAD로써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의 약어이다.

말그대로 대륙간 탄도탄이 발사되었을때를 가정하며 종말단계 중 높은 고도에서 떨어지고 있는 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무기로 최소사거리가 40km라 그 이하는 패트리어트와 같은 저고도지역방어 무기로 해결을 해야한다.

미사일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들을 묶어 파는 일종의 세트상품이다. 어차피 한 가지라도 없으면 쓸모가 없다!

파일:/api/File/Real/58be35d6ea612fe33b1fdd81

사드의 가장 큰 특징은 미사일이지만 광범위한 지역을 파괴하기 위한 무기가 아니기에 자체에 폭발물은 싣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다만 날아오는 탄도탄을 말그대로 '때려서' 저지하는 무기이다. 뒤에 로켓을 달고는 있지만 요격직전에는 이 로켓을 버리고 직격비행체(Kill Vehicle)만이 남게되며 실제 미사일과 부딪치는 것은 이 부분이다. 실제 사드의 양산단계에선 요격에 거의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적외선 영상 탐색기(IIR Seeker)[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8be3db0ea612fe33b1fdd89

사드의 구조. booster는 비행도중 버리고 미사일을 직접 때리는 부분은 직격비행체(Kill Vehicle). 왼쪽 밑의 그림은 이 직격비행체의 구조.

파일:/api/File/Real/58be44b7ea612fe33b1fdd96

밑에 있는 것이 사드이다. 정확히는 사드의 직격비행체 부분.

사드는 직격비행체에 장착되어 있는 적외선영상탐색기(IIR Seeker: Imaging Infrared Seeker)를 사용하여 목표물을 추적할 수 있는데 바로 이 적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드의 최저사거리는 40km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알다시피 사드의 속도는 마하 8.2, 2.8km/s이며 시속으로 환산했을 경우 10,080km/h가 나온다. 이런 어마무시한 속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사드의 앞부분은 수백도 이상의 엄청난 열을 받게 되고 고열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덮개가 있을 정도이다. 적외선을 이용하는 탐색기 앞에 이런 고열이 발생하면 그야말로 무용지물이 되버린다. 표면의 고열로 인한 신호와 표적의 신호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열은 물론 빠른 속도로 비행할 때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것이므로 공기가 희박한 고고도(40km이상)로 올라가게되면 그나마 적외선영상탐색기는 잘 작동하게 된다. 올라오면서 발생한 열은 앞의 보호덮개가 대신 맞아주며 고고도로 올라와 표적을 찾기 직전에 이 덮개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리하여 깨끗한 영상으로 목표를 추적, 파괴하는 것이다. 물론 공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기에 상대의 미사일은 식별가능한 만큼 충분히 뜨거워져있기 마련이니까.

자세제어 로켓[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8be4638ea612fe33b1fdd9b

사드에 사용된 자세제어 로켓, THAAD-DACS System

DACS: Divert and Attitude Control System

사드는 40km이상의 고고도에서 작동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날개를 사용할 수 없다. 날개 자체가 공기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기 때문. 그래서 사드는 우주선과 유사하게 옆으로 분사되는 로켓을 사용한다. 사드를 만든 록히드 마틴 에어로 제트의 말에 따르면 사드의 DACS는 무게중심 부근에 궤도자체를 바꾸기 위한 4개의 큰 노즐이 옆으로 붙어 있으며, 직격 비행체의 꼬리 부분에 자세수정을 위한 6개의 작은 노즐이 옆으로 붙어 있다고 한다.

이 장치들은 추진력을 조절하거나, 차단하여 직격 비행체의 궤도 및 자세를 수정한다. 이 장치에 쓰이는 동력은 액체연료인데, 액체 로켓 방식의 장점인 액체 상태인 연료를 밸브를 통해 조절하여 추력을 크게 하거나, 줄이거나, 혹은 중단 했다가 재 점화 하는 것 등이 가능하기 때문.

같이보기[원본 편집]

사드는 북한 미사일을 요격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