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독: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Caeruleum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16일 (토) 14:19 판 (일상과학 WiKi - wikidok>dailysciences | 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http://ko.experiments.wikidok.net/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일:/api/File/Real/598a88c9bb84bd2667b2c73a

사물이 거울게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

Objects in mirror are closer than they appear

백미러[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8a89c3bb84bd2667b2c74c

백미러

rearview mirror

흔히 자동차에 붙어서 뒤의 상황을 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거울로, 잘 살펴보면 왼쪽(운전석)과 오른쪽(조수석)의 백미러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역시 조수석쪽에 '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음'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는 것으로 이는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다른 거울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 운전석쪽에는 평면거울로, 조수석쪽에는 볼록거울로 백미러를 만들었는데 이는 운전자의 시야각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것이다.

파일:/api/File/Real/598a8d62bb84bd2667b2c776

조수석쪽의 백미러를 볼 때는 거의 고개를 돌려야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눈알만 굴려 볼 수도 있지만 눈도 피곤할뿐더러 곁눈질로 보게 되어 상황판단이 더 힘들 수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고개 자체를 돌리게 된다. 이때 조수석쪽의 백미러에 평면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면 시야가 매우 좁아진다. 평면거울은 입사각 = 반사각 원리에 의해 눈의 각도에 따라 보이는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파일:/api/File/Real/598a8f88bb84bd2667b2c780

그리하여 오른쪽 거울에는 볼록거울을 설치하게 된다. 더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볼록거울을 설치하면 생기는 문제점이 바로 거리감의 상실이다.

파일:/api/File/Real/598a91a6bb84bd2667b2c796 파일:/api/File/Real/598a916fbb84bd2667b2c793

거리를 잘 못 재면 공룡밥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평면거울 vs 볼록거울 vs 오목거울[원본 편집]

파일:/api/File/Real/598a92d8bb84bd2667b2c7a3

오목거울은 (초점거리보다 가까이 가면) 실제보다 커보이고 볼록거울은 실제보다 작아보이게 된다.

파일:/api/File/Real/598a935bbb84bd2667b2c7a8

이는 상이 맺히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Convex mirror는 볼록거울, Concave mirror는 오목거울이다. 오목거울의 경우에는 초점보다 더 들어가게 되면 거꾸로 된 상이 작게 맺히고 초점거리 안으로 들어가면 실제보다 큰 상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이 실제보다 작아보이는 상은 우리가 볼 때 더 멀어보이게 된다. 우리는 물체의 상의 크기를 기준으로 원근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파일:/api/File/Real/598a951abb84bd2667b2c7b4

아주 심한 볼록거울도 보조백미러 형식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것을 보면 같은 거리에 있는 자동차의 크기가 엄청나게 차이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정리하자면 시야각을 상쇄하기 위해 볼록거울을 설치했는데, 볼록거울은 필연적으로 물체를 원래보다 작아보이게 만든다. 그리고 원근법에 따라 우리는 물체가 원래보다 더 멀리 있다고 느끼게 되는데 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사물이 거울에 보이는 것 보다 가까이 있음'이라는 문구를 적어놓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