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라시아주의

Librestanley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0일 (일) 20:06 판 (새 문서: == 구 유라시아주의의 탄생 == 구 유라시아주의는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가 주장한 언어학 이론에서 출발한다. 트루베츠코이의 논리를 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구 유라시아주의의 탄생

구 유라시아주의는 니콜라이 트루베츠코이가 주장한 언어학 이론에서 출발한다. 트루베츠코이의 논리를 요약하면 러시아,중앙아시아 일대를 유라시아로 구분, 서유럽과 차별 되는 문화적 정체성을 지녔다고 주장했으며 기본의 러시아 위주의 범슬라브주의를 대신할 이념적 가치로 내세웠다. 이를 통해 유라시아를 기점으로 서유럽과 영미의 대서양주의에 대항하는 지역 맹주가 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트루베츠코이는 몽골과의 역사를 오히려 긍정적으로 여겼다. 그리고 진정한 유라시아를 위해선 인종과 민족 사이의 차별을 없애야 한다며 역설했다. 비록 트루베츠코이는 민족주의에 기반하지만 한편으론 차별에 기반을 두지 않고 평화적인 입장을 견지한 셈이다.

신 유라시아주의의 탄생

소련 붕괴 이후 등장한 신 유라시아주의는 러시아 민족의 패권에 기반을 둔 팽창주의적 관점인데 대표적인 극우주의자이자 신 유라시아주의자인 알렉산드르 두긴의 이론을 보면 무력을 써서 러시아를 발판으로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고 이를 궁극적으로 유라시아 전체로 판도를 넓혀 미국을 비롯한 열강과 맞서자는 입장을 내세운다. 신 유라시아주의는 사실상 범슬라브주의가 이름만 유라시아로 바뀐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