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E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3일 (일) 09:52 판 (불필요한 공백 제거)
PoE 인젝터

Power over Ethernet(PoE)는 일반적인 랜 케이블에 48V의 전원을 실어 보내는 기술로, IEEE 802.3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다.

개요

감시카메라인터넷 전화 단말 등 이더넷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면서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기기에서 주로 볼 수 있다. PoE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장비라도 스플리터를 통해 데이터와 전원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PoE 대응 허브가 없더라도 인젝터를 통해 데이터와 전원을 하나로 합칠 수 있다. 이것이 적용된 장비는 PoE 인젝터나 PoE 대응 허브에 랜 케이블만 끼우면 전원이 들어오므로, 선로 소요 감소와 미관 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종류

  • 802.3at Type1(802.3af): 최대 57V, 350mA로 15W를 보낼 수 있다.
  • 802.3at Type2: 최대 57V, 600mA로 30W를 보낼 수 있다.
  • 802.3bt Type3: 최대 57V, 2400mA로 60W를 보낼 수 있다.
  • 802.3at Type4: 최대 57V, 3840mA로 100W를 보낼 수 있다.

패시브

전원도 네트워크도 같은 구리선을 통해 전달하므로, 4페어 중 쓰지 않는 통신선을 양쪽에서 잘라 전원선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콘센트가 없는 구형 단자함에서 쓰지 않는 포트에 연결된 내장배선을 통해 허브나 모뎀에 전원을 공급하는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전원과 단말기가 멀어질 경우, 즉 전원과 단말기를 잇는 선이 길어질 경우 단말기의 정격 입력보다 강력한 전원을 넣는 것이 필요하며, 어디까지나 가느다란 배선이기 때문에 과전류를 유입할 경우 화재의 원인이 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