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집합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7일 (일) 17:39 판

틀:학술 관련 정보 틀:토막글

정의

공집합은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빈 상자에 비유할 수 있다.

원소를 가지지 않는 집합공집합(empty set)이라고 한다. [math]\displaystyle{ \emptyset }[/math]으로 나타낸다.

예시

  • 방정식 [math]\displaystyle{ x^2+1=0 }[/math]의 실근의 집합
  • [math]\displaystyle{ \{(x,y,z)\vert x^n+y^n=z^n,x\in \mathbb{N}, y\in \mathbb{N}, z\in \mathbb{N},n\in \mathbb{N},n\ge 3\} }[/math]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애인이 있는 위키러들의 집합

존재성과 유일성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는 존재공리(The axiom of existence)[1]

[math]\displaystyle{ \exists x \forall y[\neg(y\in x)] }[/math]

에 의해 공집합의 존재성을 보장받는다. 확장공리(The axiom of extensionality)

[math]\displaystyle{ \forall p \forall q[\forall x(x\in p \Leftrightarrow x\in q)\Rightarrow p=q] }[/math]

에 의해 공집합이 유일함을 증명할 수 있다.

AB를 공집합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A의 임의의 원소는 B의 원소이며, 마찬가지로 B의 임의의 원소는 A의 원소임을 안다. (뭐?)[2] 따라서 확장공리에 의해 A=B이다.

공집합이 유일함을 보이는 형식적 증명
번호 정당화
1 [math]\displaystyle{ \forall y[\neg(y\in A)] }[/math] 가설: A는 공집합.
2 [math]\displaystyle{ \forall y[\neg(y\in B)] }[/math] 가설: B는 공집합.
3 [math]\displaystyle{ \forall p \forall q[\forall x(x\in p \Leftrightarrow x\in q)\Rightarrow p=q] }[/math] 확장공리
4 [math]\displaystyle{ \neg(a\in A) }[/math] (1)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5 [math]\displaystyle{ \neg(a\in B) }[/math] (2)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6 [math]\displaystyle{ a\in A\Rightarrow a\in B }[/math] (4)에서 Negation introduction
7 [math]\displaystyle{ a\in B\Rightarrow a\in A }[/math] (5)에서 Negation introduction
8 [math]\displaystyle{ a\in A\Leftrightarrow a\in B }[/math] (6)과 (7)에서 Biconditional introduction
9 [math]\displaystyle{ \forall x[(x\in A)\Leftrightarrow (x\in B)] }[/math] (8)에서 Universal generalization
10 [math]\displaystyle{ \forall x[(x\in A\Leftrightarrow x\in B)]\Rightarrow A=B }[/math] (3)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11 [math]\displaystyle{ A=B }[/math] (10)과 (11)에서 Modus ponens

성질

같이 보기

각주

  1. 공집합 공리(The axiom of empty set)라고도 한다.
  2. 실제로는 무의미한 참(vacaously true)인 문장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