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카드

Hwangjy9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1월 11일 (수) 10:01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보드 게임을(를) 삭제함, 분류:보드게임을(를) 추가함)

개요

트럼프 카드로 진행하는 보드게임의 일종. 트럼프 카드 게임 중 일반적으로 가장 보편적이며, 또 그만큼 지역별로 룰도 다양하다.

게임 방법

  • 어디까지나 원카드는 재미를 위한 게임이며, 규칙은 정하기 나름이다. 규칙이 안 맞는다고 싸울 것이 아니라 게임 전에 규칙을 명확하게 정해 놓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 기존에 알고 있던 룰이 익숙해져서 재미가 없다면 변형 룰을 참고해 색다른 규칙으로 게임을 하거나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볼 수도 있다.

표준 룰

전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룰. 일부 변형의 여지가 있다. 표준 룰이 없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엔 ()안에 다른 룰도 동시에 설명하였다. 다른 룰과 비교하기 귀찮다면 이대로 진행해도 무방하다.

  • 주석이 없다면-고정 룰

전국 어디를 가나 똑같은, 원카드라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정 룰. 바꾼다고 누가 잡아가는 건 아니지만 재미가 심각하게 떨어진다.

  • 주석이 있다면-가변 룰

표준 룰이니만큼 보편적으로 쓰이긴 하지만, 지역별로 변형될 여지가 있는 룰.

진행 방법

  1. 카드 뭉치를 섞은 뒤 바닥에 뒷면이 보이도록 놓고 주위에 2~5명[1]의 사람이 둘러앉는다.
  1. 카드 뭉치로부터 카드를 1인당 5장(또는 7장)[2]씩 받아온다. 자기 카드는 다른 플레이어가 볼 수 없도록 한다.
  1. 분배가 끝나면 남은 카드 뭉치에서 카드 한 장을 뒤집어 카드 뭉치 옆에 앞면이 보이게 둔다.[3]
  1. 선과 차례를 넘길 방향(시계방향or반시계방향)을 정하고, 선에게 가장 먼저 차례가 돌아간다. 자기 차례가 되면 규칙에 따라 카드를 내려놓은 후 차례를 옆 사람[4]에게 넘긴다.
  1. 어떤 플레이어가 카드를 내려놓고 손에 남은 카드가 1장이 되는 경우, "원카드!"라고 외친다. 이때 카드를 내려놓은 플레이어가 가장 먼저 원카드를 외치면 게임을 계속하고, 다른 사람이 먼저 외치면 카드를 내려놓은 사람은 뒷면 뭉치에서 카드 1장을 가져와야 한다. 아무도 원카드가 아닌 상황에서 "원카드"를 잘못 외치게 되면 외친 사람이 벌칙으로 카드를 한 장 가져온다.

[5]

  1. 손에 있는 카드를 모두 내려놓으면 승리이며, 반대로 손에 있는 카드가 20[6]장이 넘어가면 패배이다.

카드 놓는 규칙

바닥에 놓인 앞면 카드 중 맨 위에 있는 카드와 모양 또는 숫자(당연히 영어도 포함한다)가 같은[7] 카드를 그 위에 한 장 놓는다.[8] 낼 수 있는 카드가 없는 경우엔 뒷면 뭉치에서 카드 한 장을 가져온다. 이것을 -"원카드"나 공격 카드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카드를 먹는다'라고 한다.묵는다라고도 한다 낸 경우 차례를 넘기지 않고 그 카드와 같은 숫자의 카드를 이어서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9를 냈다면 ♣9나 ♠9, ◆9 중 한 장을 이어서 낼 수 있다. 네 장을 모두 가지고 있다면 줄줄이 이어서 낼 수도 있다.[9]

카드를 먹었거나 더 이상 카드를 내고 싶지 않으면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넘긴다.[10]

특수 카드[11]

  • 공격 카드

a와 2, 조커가 해당된다. 다음 차례의 사람에게 강제로 카드를 몇 장 먹게 한다.

a는 3장, 2는 2장, 흑백과 컬러 조커는 각각 7장과 10장(5장과 7장)을 먹일 수 있다. ♠A는 따로 5장짜리로 치는 경우도 있다.

공격을 받은 사람은 위 규칙에 맞는 다른 공격 카드를 내서 다음 차례에게 공격을 넘기거나 방어 카드로 공격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 다른 카드를 내는 것은 금지되며, 낼 수 있는 카드가 없으면 공격받은 만큼 카드를 먹고 차례를 넘긴다.

공격을 넘기는 경우에는 공격이 누적된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인 경우)오른쪽 사람이 ♥a를 냈고 내가 ♣a를 냈는데 왼쪽 사람이 낼 수 있는 카드가 없으면 3+3=6장을 먹어야 한다. 만약 아무도 방어 카드를 내지 않고 공격이 계속해서 누적된다면 3+3+3+3+2+2+2+2+7+10=37장(...)짜리 공격을 만들 수 있다. 숫자가(a포함) 같다면 이어서 낼 수 있다. 조커에 대해서는 추가바람.

  • 방어 카드

보통 3을 쓴다. 같은 모양의 공격 카드가 맨 위에 있는 경우에 낼 수 있으며, 지금까지 누적된 공격이 모두 사라진다.

  • 변환 카드

보통 7을 쓴다. 이 카드를 맨 위에 올려놓고 차례를 넘길 땐 카드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7을 내고 '클로버'라고 말한 뒤 차례를 넘긴다면 다음 사람은 ♥나 ♠, ◆를 낼 수 없게 되며, 대신 ♣9는 낼 수 있다. 물론 모양에 관계없이 7은 낼 수 있다.

J
속칭 점프. 이 카드를 맨 위에 올려놓고 차례를 넘기면 한 명을 건너뛰고 그 다음 사람에게 차례가 돌아간다.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인 경우)오른쪽 사람이 ♣J를 내고 차례를 넘기면 나를 건너뛰고 왼쪽 사람의 차례가 된다.
Q
속칭 백. 이 카드를 맨 위에 올려놓고 차례를 넘기면 차례가 돌아가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 사람에게 차례를 넘겨받은 경우)(즉 시계방향)내가 ♣Q를 내고 차례를 넘기면 왼쪽 사람이 아닌 오른쪽 사람의 차례가 되며, 이후로도 Q가 다시 나올 때까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차례가 돌아간다.
K
이 카드를 맨 위에 올려놓고 차례를 넘기면 한 번 더 내 차례가 된다.

표준 룰이라고 보기 어려운 내용이나 빠진 부분이 있다면 토론 후 수정 바람. 그러나 단순히 자기 지역 룰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치는 것은 자제 바람.

변형 룰

변형 룰은 추가바람

각주

  1. 최대 인원수 제한은 달라질 수 있으나, 보통 8명을 넘어가면 게임 플레이가 힘들어진다.설마 혼자하는 사람은 없겠지
  2. 1장만 아니라면 시작 카드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3. 이때 특수 카드가 나오면 다른 카드가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카드를 뒤집는 룰도 있다.
  4. 특수 카드가 맨 위에 놓여 있을 경우 바로 옆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차례가 돌아갈 수 있다.
  5. 카드를 먹기 위해 고의적으로 원카드를 계속해서 외치는 것을 막기 위해 한 차례, 한 사람당 두 번까지로 제한을 두기도 한다.
  6. 제한이 적으면 게임이 빨리 끝나고 많으면 오래 간다. 룰은 정하기 나름이지만 25장을 넘기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7. 같은 숫자가 아닌 연속되는 숫자를 내는 룰(계단이라고 한다)도 있다.
  8. 특수 카드에 의해 일시적으로 낼 수 있는 카드의 조건이 바뀌거나 제한될 수 있다.
  9. 이때도 계단을 쓸 수 있다. 이 경우에는 9-8-7-6-5-4-3 같은 식으로 무지막지한 연계가 가능하다. 처음 낼 때는 같은 숫자, 이후에는 계단을 쓰기도 한다.
  10. 특수 카드에 따라 차례가 바뀌기도 한다.
  11. 특수 카드 규칙은 고정 룰이 없다. 각각의 규칙들이 변형된 정도가 너무 심하기 때문에 사전에 정해놓지 않는 이상 사람들끼리 룰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조커에 관련된 룰은 일치할 때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문단의 내용은 주석이 없더라도 모두 변형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12. A와 조커가 있으므로 귀족 카드라고 해야 하는 것이 맞지만 영어 카드(약칭 영어)나 그림 카드(약칭 그림)라는 말도 쓴다.
  13. 보통 따로따로 말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세 카드 모두 차례를 넘기는 규칙에 관여하므로 묶어서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