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 3호: 두 판 사이의 차이

(맞춤법 교정. 거희 → 거의)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금성 3호'''는 [[북한]]의 신형 아음속 [[대함 미사일]]이다.
'''금성 3호'''는 [[북한]]의 [[대함 미사일]]이다.  
 
기존의 스틱스나 실크웜 같은 구식 대함 미사일이 아닌 수면 밀착비행을 하는 현대적 수준의 대함 미사일이며, 러시아의 아음속 대함 미사일인 [[Kh-35]]과 거의 같은 외형으로 북한의 대함 탄도탄과 함께 유사시 [[대한민국 해군]]의 전투함대에 가장 큰 위협이 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이 처음 보유한 현대적 수준의 [[대함 미사일]]이며 구식 스틱스 계열을 교체하고 있다.
러시아의 [[Kh-35|우란]]을 역설계한 시 스키밍형 아음속 대함미사일로 북한 해군 현대화의 일환 중 하나이다.
==기원==
북한은 [[베트남]]을 비롯한 공산권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Kh-35을 입수하여 이를 카피해 대함 미사일을 개발한 것으로 보이며 우란의 특징인 작은 직삼각형 날개와 부스터의 안정핀까지 같아 이 미사일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한미연합당국은 러시아가 북한에 Kh-35를 수출한 줄 알았고 이후 북한이 러시아에서 정식으로 미사일을 수입한 게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 데드 카피임을 확인한다.
북한은 [[베트남]]을 비롯한 공산권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Kh-35을 입수하여 이를 카피해 대함 미사일을 개발한 것으로 보이며 우란의 특징인 작은 직삼각형 날개와 부스터의 안정핀까지 같아 이 미사일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한미연합당국은 러시아가 북한에 Kh-35를 수출한 줄 알았고 이후 북한이 러시아에서 정식으로 미사일을 수입한 게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 데드 카피임을 확인한다.
 
==기능==
2017년 발사에서 200km를 날아가 표적함을 명중시켰고 4발 중 2발이 목표에 명중하였다. 이번 발사에선 긴 사거리를 얻기 위해 미사일이 평소보다 높게 상승했고 이 때문에 추적이 용이했으며 북한이 무력 과시를 위해 미사일을 일부러 높이 발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2017년 발사에서 200km를 날아가 표적함을 명중시켰고 4발 중 2발이 목표에 명중하였다. 이번 발사에선 긴 사거리를 얻기 위해 미사일이 평소보다 높게 상승했고 이 때문에 추적이 용이했으며 북한이 무력 과시를 위해 미사일을 일부러 높이 발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주 플렛폼은 농어급과 해삼급 미사일 고속정의 주 무장으로 4발이 탑재되며 북한의 신형 함정인 남포급 초계함에 주 대함무장으로 사용된다. 최근 2017년에는 지대지 해안포형이 공개되었다.
주 플렛폼은 농어급과 해삼급 미사일 고속정의 주 무장으로 4발이 탑재되며 북한의 신형 함정인 남포급 초계함에 주 대함무장으로 사용된다. 최근 2017년에는 지대지 해안포형이 공개되었다.
 
==운용 현황==
==관련 문서==
[[분류:대함 미사일]]
[[분류:대함 미사일]]

2020년 5월 13일 (수) 15:56 판

금성 3호북한대함 미사일이다.

북한이 처음 보유한 현대적 수준의 대함 미사일이며 구식 스틱스 계열을 교체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란을 역설계한 시 스키밍형 아음속 대함미사일로 북한 해군 현대화의 일환 중 하나이다.

기원

북한은 베트남을 비롯한 공산권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Kh-35을 입수하여 이를 카피해 대함 미사일을 개발한 것으로 보이며 우란의 특징인 작은 직삼각형 날개와 부스터의 안정핀까지 같아 이 미사일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한미연합당국은 러시아가 북한에 Kh-35를 수출한 줄 알았고 이후 북한이 러시아에서 정식으로 미사일을 수입한 게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 데드 카피임을 확인한다.

기능

2017년 발사에서 200km를 날아가 표적함을 명중시켰고 4발 중 2발이 목표에 명중하였다. 이번 발사에선 긴 사거리를 얻기 위해 미사일이 평소보다 높게 상승했고 이 때문에 추적이 용이했으며 북한이 무력 과시를 위해 미사일을 일부러 높이 발사했을 가능성도 있다.

주 플렛폼은 농어급과 해삼급 미사일 고속정의 주 무장으로 4발이 탑재되며 북한의 신형 함정인 남포급 초계함에 주 대함무장으로 사용된다. 최근 2017년에는 지대지 해안포형이 공개되었다.

운용 현황

관련 문서